|
협정은 그러한 통고가 있는 날부터 6월후에 종료하여, 그와 같이 종료하지 아니하는 한 계속 효력을 가진다.
제 17 조
1965년 6월22일 도오꾜오에서 서명된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어업에 관한 협정은 이 협정이 발효하는 날에 그 효력을 상실한
|
- 페이지 4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 어업 협정과 독도문제에 대하여는 앞으로도 계속 논의될 소지가 크다. 분명히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습관적으로 독도를 침탈하려고 엿보는 것은 우리 국가의 경제력과 군사력을 포함해 국민성까지도 얕보고 있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리 잘못 규정되어 결과적으로 어업협정(혹은 어업문제)과 독도영유권문제 양자를 분리하기는 커녕, 오히려 일본의 독도(=다케시마) 영유권 주장을 독도 영유권 주장과 등가(等價)의 가치와 수준으로 승격시키는 중대한 잘못을 저질렀다. 왜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8.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문제 발생 유발 가능성
어업 종사해온 27000명
실직
딸린 식구를 감안할 때 경제적, 정신적 고통
정부: 어업구조 조정
1,000억 지원
한ㆍ일 어업협정으로 인한 정부의 막대한 경제적 손실
(경제적인 피해 중 수산물 생산량의 변화는 어업종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업특성상 완벽한 통계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자료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장치는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7. (신) 한일 어업협정에 따른 독도 문제
7-1. 독도 영유권의 침해
①독도는 엄연히 국제법상 대한민국의 영토, 해양법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