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노조 허용 및 노조전임자 임금지급금지제도 도입 이후, 노사협의회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수노조 허용 및 노조전임자 임금지급금지제도 도입 이후, 노사협의회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두 제도의 도입 vs 노사협의회
1. 노사협의회의 개념 및 기능 검토
2. 두 제도와 노사협의회
3. 두 제도의 틀 안에서의 노사협의회 주요이슈
Ⅲ. 노사협의회 국내운영사례 및 시사점
1. 노사협의회의 국내운영 사례
2. 국내사례분석의 시사점
Ⅳ. 노사협의회에 요구되는 기능과 역할
1. 제도검토 및 사례분석의 주요이슈 종합
2. 향후 노사협의회의 개선방향
Ⅴ. 결 론

본문내용

관련 법 제도의 개선이다. 현재 노사협의회 및 노동조합과 관련한 법은 양측 모두의 기능과 목적이 비슷한 부분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노사협의회와 노동조합의 기능 및 목적을 보다 명확히 정의하여 각각의 역할을 구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네 번째로 노조조직률이 감소추세에 있고 중소기업이 중심이 되는 국내의 산업구조 하에서는 노사협의회는 존속할 수밖에 없으므로 노사협의회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노사협의회가 노동조합의 기능을 대체하고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는 협력적 노사관계의 형성이 중요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무노조기업의 경우에도 역시 노사협의회가 노동조합의 기능을 하고 있는 바, 노사협의회에서 협의 및 합의된 사항이 강제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중요 과제일 것이다.
다섯 번째로 복수노조 허용에 따른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 선출과 관련된 쟁점의 처리이다. 절차적 공정성 확보 차원에서 소수노조, 비노조원, 비정규직 근로자의 대표성을 담보로 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근로자위원을 선출할 때 소수근로자집단을 대표하는 일정 수의 인원을 강제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소수근로자의 이익을 보장하는 방법이 있고, 근로자위원 활동 차원에서의 소수근로자의 이익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소수근로자집단의 이익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사항에 관한 활동에 대해서는 소수근로자의 의견을 청취하도록 강제하거나, 소수근로자집단의 대표를 참여시키는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노조전임자를 노사협의회의 근로자위원으로 보았을 때 노사협의회 활동업무시간에 대한 Time-off 제도를 적용하였을 경우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와 관련된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지만, 근참법에 개정 등 제도적 차원의 개선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지금까지 노사협의회의 의의 및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해 현행 노사협의회의 운영실태를 간략히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복수노조 허용과 노조전임자에 대한 임금지급을 금지에 의해 노사협의회의 가능 및 역할 변화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상으로 복수노조 허용 및 임금전임자 임금지급 금지와 관련하여 현재 노사협의회의 기능과 현재의 위치를 살펴보았고, 또한 노사협의회와 노동조합의 관계를 통한 노사협의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로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로 노사협의회와 노동조합에 대한 법적제도적 목적과 위상 및 기능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두 번째로 노사협의회의 기능을 강화하며 또한 효과성의 극대화를 위해 기업 내 협력적인 노사관계를 유지하고 형성해야 한다.
세 번째로 복수노조 허용에 따른 근로자위원 선출에 관한 쟁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로 근로자위원과 노조전임자의 위상을 법적으로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서 노조전임자 관련한 문제의 접근이 달라져야 한다.
끝으로 노사협의회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주인의식을 고취시키고, 경영참가라는 목적의식의 공유가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참고문헌 >
김유선(2006), “기업단위 복수노조 허용이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노동사회』, 2006년 6월
______(2010), “개정 노동조합법 평가와 대응방향”, 『노동사회』2010년 12월
김태기(2009), “복수노조 갈등 : 이론과 현실”, 「노동정책연구」, 한국노동연구원, 9(2), pp. 199-219.
김현기(2005), “복수노조 시대와 노사 상생의 길”, 『LG주간경제』
김형배(2005), 『노동법』, pp981, 박영사
김홍영(2009), “노조전임자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김훈이영면(1992), 「노사협의회의 운영과 그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분기별 노동동향 분석』, 3/4분기(1992):pp82-94
박준형(2009), “복수노조전임자 문제, 노동기본권이 쟁점이다 : 하반기 노동법 개정과 노동자운동의 대응 방향”, 공공노조
배규식노용진심상완(2007), 『무노조 기업의 고용관계: 노사협의회와 대안적 근로자대표기구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연제정(2004), “노사협의회 운영에 대하여”, 『Machinery Industry』 노무강좌
이달휴(2005), “단체교섭과 노사협의회의 차이점”, pp43~62, 法學論考 第22輯, 대법원
이영면이동진(2009), “성공적인 노사협의회 운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2009.제9권 제4호, pp83-118
이정봉(2008), “노사협의회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호남지역 사업장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이창호(2008), “노사협의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이태준 (2005), “기득권 세력된 삼성노동자협의회, 복수노조 돼도 노조 안 만들 것”, 「월간 ‘말’」, 229호
이형준(2009), “기업단위 복수노조 허용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임금연구』, 2009년 가을호
장영철(1997), 「노사협의회 사례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조성재(2010), “복수노조전임자 관련법 개정 후 노사관계”, 『월간노동리뷰』, 2010년 12월호, pp80~94
채혁(_____),
허찬영(2000), 『근참법 하에서의 노사협의회 운영실태』, 한국노동교육원
______(2001), 「노사협의회의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임금연구』 봄호(2001):pp138-154
노동부 http://www.molab.go.kr
한국노동연구원 http://www.kli.re.kr
김유성(1972), “韓國 勞使協議制度의 法理와 現實”, 서울대학교, 法學, 제255호, 217∼218.
김운희(2002), “노사협의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Machinery Industry.
김훈이승욱(2000), “노사협의회의 쟁점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노사정위원회(2003), "노사협의회 활성화 관련 논의자료“
신수식김동원이규용(2008), “현대고용관계론”, 제3판
양희주(2006), “ 우리나라 集團的 勞使關係法의 變遷에 대한 硏究”.
이승욱, “노사협의회제도 활성화”, 부산대학교 법학과.
이영면 외 3인(2007), “노사협의회 운영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연구”, 노동부.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1.07.20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0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