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선교적 과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선교적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문제의 제기
2.연구의 목적
3.연구범위와 방법

제 2 장 본 론
1.남북분단의 과정
2.남북통일이 왜 우리의 과제가 되는가?
3.공산주의와 주체사상의 극복문제
4.민족통일을 위한 교회의 선교전략
5.북한복음화를 위한 교회의 과제

제 3 장 결 론

본문내용

상황을 분석하는 정치보다 더 힘이 있고 무한한 공간이 있다. 인간적인 계산보다 통일을 이루시는 하나님을 믿는 굳센 믿음이 관건이다. 이 성령을 믿는 기도의 힘은 통일의 추진력이 될 것이다. 박경서,“통일을 위한 남북교회의 역할”, 기독교사상 1991년 10월,pp.45-46.
우리는 기도할 때마다 우리 민족을 이 지구상의 마지막 분단국가로 남겨두심이, 하나님의 특별한 뜻을 이루기 위함인 줄을 확신하면서 우리의 무릎을 더욱 힘 있게 끓어야 할 것이다. 이만열,op.cit.,p.79
그렇때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는 약속의 땅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복음의 능력과 복음의 지혜가 나라의 정치와 정책을 지도하고, 충실한 선교의 역군들로서 사회 곳곳에서 선교사의 제역 활을 감당할 때 통일은 하나님의 전권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마치 야곱이 얍복강 가에서 환도 뼈가 부러지면서까지 하나님의 천사와 씨름을 하다 마침내 하나님의 은혜를 이었던 것처럼 끝내 신본주의로 기도하고 매진하면 통일과 민족복음화 세계복음화의 그 날은 반드시 하나님 손에서, 정치적으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방법으로” 브라더 앤드류, “억압받는 지역을 위한 우리의 사명”, 88북한선교 국제대회, 북한도 복음화하라(은석논장,1989),p.48
이루어지리라 믿는다.
참고문헌 (Reference)
2.영문저서
로봉린, Western Conservative Baptist Seminary강의, 1992, 1993.
Ayers, Lawrence W., Western Seminary Lecture, January 20, 1993.
Currah, Galen J., \"Methods and Use of social Research in Missio.\" Lecture, September 4,1993.
Kietzman, Dale W., Interview, March 16,1994
Neumann, Mikle, \"Evanglical and Church building,\" Lecture, February 23,1994.
Okuyama, Mivoru, 제3세계 선교단체 협의회 총외,1993.
Smith, Donald K., \"social Research in Mission,\" Lecture, August 2, 1993.
Lee, won sul, \"christianity in Korean Culture,\" The Third Force.
seoul : East-West Center, 1986.
McGavran, Morlin L., \"교회성장의 열단계“ 서울 : 신망애출판사, 1987.
Nelson, Morlin L., \"교회성장의 원리“ 서울 : 크리스챤 헤럴드,1974.
Cormack, David., Team Spirit, Grand Rapids : Zondervan, 1989.
Faure, Edagar, Learning To Be, Paris : UNESCO, 1972.
Gilliland, Dean S., Ed., THe Word Among Us, Dallas : World Publishing, 1989.
Grant, Gerald, On Competnece, San Francisco : Jossey-Bass, 1979.
Hind, James F., The Heart and soul of Effective Management, Wheaton : Victor Books, 1989.
Wilson, Frederick R., ed., The San Antonio Report, Geneva : WCC Publications, 1990.
Woodberry, J. Dudley, Muslims and Christians on the Emmaus Road, Monrovia : MARC, 1989.
2.한국어 저서
김명혁, 통일과 선교. 성광문화사, 1993.
강문규, 남북한 교회의 만남의 역사와 전망. 기독교 사상, 1991.
강문규, 인간 띠 잇기 대회와 통일 희년. 기독교사상, 1994.
김태우, 2000년대 통일 정책. 기독교사상, 1994.
특집대담, 민족통일의 장래와 한국교회. 월간목회, 1994.
유은상, 민족통일의 이념과 기독교. 한국사회문제연구소, 1992.
이덕주, 3.1운동이 통일운동에 주는 역사적 교훈. 기독교사상, 1992.
김영한, 개혁주의 평화통일신학. 목회와 신학, 1993.
강만길, 분단현실과 통일운동. 민중사, 1984.
이기백, 한국사 신론. 일조각, 1982.
허문영, 한반도의 통일과 우리의 과제. 통합연구 제2호, 1993.
박완신, 통일의 길목에서 본 오늘의 북한. 빛과 소금. 두란노서원, 1989.
박완신, 북한의 정치사회 심리적 이해. 은석논장, 1989.
이만열, 민족통일을 위해 어떤 간구를 드려야 하는가. 월간목회, 1994.
김용복, 한국 기독교 통일 운동과 정부의 통일정책. 기독교사상, 1994.
박종화, 통일신학의 평화신학적 틀로의 발전적 전환. 기독교사상, 1992.
박종화, 평화통일 신학의 쟁점과 전망. 목회와 신학, 1993.
한완상, 민족통일과 한국기독교.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4.
김영환, 통일과 선교. 서울대학교 기독교 동문회, 1988.
한명수, 민족통일을 위한 기반조성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월간목회,1994.
서경석, 한반도 통일 문제에 대한 교회의 대응. 기독교사상, 1994.
김민웅, 김일성 사후 동북아시아와 통일 체제. 기독교사상, 1994.
전호진, 포용론적 입장에서 본 북한선교의 대책. 목회와 신학, 1993.
조동진, 통일운동 50년사와 민족교회. 기독교학문연구회, 1994.
김성태, 북한선교의 실상. 생명의 말씀사, 1994.
손봉호, 한국교회의 간접선교. 엠마오, 1990.
박종구, 서계선교 그 도전과 갈등. 생명의 말씀사, 1994.
김 훈, 한국교회 통일의식 현주소는. 월간목회, 1994.
고왕인, 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프로그램. 목회와 신학, 1993.
박경서, 통일을 위한 남북교회의 역할. 기독교사상, 1991.
브라더앤드류, 억압받는 지역을 위한 우리의 사명. 은석논장, 1989.
죠나단챠오, 중국선교를 통하여 본 북한선교 전망과 전략. 은석논장, 1989.
  • 가격10,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3.23
  • 저작시기200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