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레스토랑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패밀리레스토랑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1. 문제의 제기와 연구목적
가. 문제의 제기
나.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Ⅱ. 이론적 배경
1. 패밀리 레스토랑에 관한 이론적 고찰
가. 패밀리 레스토랑의 개념 및 정의
나.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의 현황
다.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의 인력관리 현황
2.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
가. 직무 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 설계
1. 조사의 목적
2. 연구의 가설
3. 설문지 구성
가. 설문지의 구성
나. 조사 절차
4. 신뢰성 검증 및 자료 분석방법
가. 신뢰성 검증
나. 자료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1. 조사자료 분석
가.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가설의 검증

Ⅴ. 결 론

본문내용

riday\'s, 씨즐러, 마르쉐, 칠리스 등이 있으며 국내 자본을 통해 국내에서 시작된 패밀리 레스토랑으로는 VIPS, Sky Lark, 우리들의 이야기, Han Cook 등이 있다. 이러한 국내의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는 부가 서비스, 새로운 메뉴 개발, 대폭적인 가격 할인 등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시도하며 고객 선점을 위해 적극적인 시장 공략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변화로는 지난해 패밀리 레스토랑업계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것은 바로 웰빙 메뉴 출시 및 식재의 고급화라 할 수 있다. 웰빙 붐에 따라 대부분 친환경 야채와 씨푸드 메뉴를 추가했으며, 냉장육 스테이크를 선보이기도 했다. 또한 가격 경쟁의 심화로 런치세트 출시 및 멤버십카드나 프로모션을 통한 가격할인 및 쿠폰 제공에 적극적이다.
이처럼 다양하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통해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체체에 있는 국내의 패밀리 레스토랑 업계 중 매출액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는 업체는 대부분이 해외에서 브랜드를 들여와 프랜차이즈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외국계 패밀리 레스토랑들이다.
이 업체들은 한국의 기업이 해외에서 성공한 패밀리 레스토랑 브랜드를 들여와 운영하고 있어 국내 자본을 바탕으로 시작된 한국형 패밀리 레스토랑에 비해 매뉴얼, 운영 시스템 등이 잘 갖추어져있고, 인지도 또한 매우 높아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 업체 중 상위권 업체의 매출액과 점포수를 비교해 보면 <표Ⅱ-1>과 같다.
브랜드명
회사명
매출액(억 원)
증감률 (%)
점포수 (개)
2003
2004
2005
03vs04
04vs05
2003
2004
2005
아웃백
스태이크하우스
(주)오지정
920
1,600
2,100
73.9
31.3
33
50
70
T.G.I. Friday\'s
(주)푸드스타
800
1,000
1,400
25.0
40.0
25
33
48
베니건스
롸이즈은(주)
760
826
1,000
8.7
21.0
19
20
25
VIPS
CJ 푸드빌
550
710
1,100
29.1
54.9
15
22
32
마르쉐
(주)아모제
400
300
300
-25.0
0.0
11
9
11
씨즐러
(주)바론즈
인터네셔널
140
180
220
28.6
22.2
5
6
7
토니로마스
(주)썬앳푸드
142
180
200
26.8
11.1
7
7
8
카후나빌
(주)싸보이
G&B
34.3
38
78
10.8
105.3
3
3
5

3,746.3
4,834
6,398
29.0
32.4
118
150
206
<표Ⅱ-1> 패밀리 레스토랑 업체별 매출액 및 점포수
* 자료: 월간식당,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 업체별 매출액 및 점포수 비교」, 2005년
현재 업계 선두를 유지하고 있는 업체는 (주)오지정에서 프랜차이즈로 운영하는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다.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는 97년 1호점을 오픈 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와 2005년 현재는 70개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다. 2004년도 매출액은 1천 600억 원으로 업계에서는 최초로 1천억 원을 넘어섰으며, 전년대비 73.9%의 성장을 하였다. 아웃백은 냉동육을 냉장육으로 교체한 결과 스테이크 매출이 약 30% 증가하는 효과를 보아 냉장육 판매를 전 매장으로 확대 실시하였다.
롯데그룹 계열인 (주)푸드스타에서 운영하는 T.G.I. Friday\'s는 1992년 1호점 오픈이후 “맛이 즐거운 곳, T.G.I Friday\'s\" 라는 슬로건 아래,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업계 1위를 고수하다가 2003년에 아웃백의 급속한 성장으로 업계 2위로 밀려났다. T.G.I. Friday\'s는 2005년 현재 48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출액이 전년대비 25.0% 성장함으로써 아웃백스테이크 하우스에 이어 매출액 1천억 원을 넘어선 회사가 되었다. T.G.I. Friday\'s는 메뉴강화에 주력하였고, 특히 여성고객을 위한 디저트 메뉴, 저탄수화물 메뉴 등을 출시하여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은 현대의 여성고객의 관심을 끄는 마케팅을 하소 있으며, 또한 자체 캐릭터를 개발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홍보 및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동양그룹 계열인 롸이즈온(주)에서 운영하는 베니건스는 1995년 1호점오픈을 이루로 현재 26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4년 매출은 826억 원으로 전년대비 8.7% 성장하였다. 베니건스는 고객들이 느끼는 가격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인기메뉴를 30%까지 할인한 파워런치를 출시하고, 멤버십제도를 개선하여 할인된 가격을 통해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최근 오픔 10주년을 맞이하여 오픈키친 설치, 벽화설치, 초대형 스테이크 메뉴 개발, 독특한 컨셉의 연예인을 통한 이미지 강화 마케팅 등 노력을 하고 있다.
(주)아모제에서 운영하는 마르쉐는 1996년 1호점을 오픈하였고, 현재 11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4년 매출액은 300억 원으로 전년대비 25.0%의 마이너스 성장을 하였다. 이는 다른 패밀리 레스토랑과는 차별화된 서비스 방식을 도입하여 Marche 즉 시장이라는 브랜드 네임의 뜻처럼 고객이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고 그 음식을 즉석에서 조리해 주는 독특한 서비스를 하고 있으나 마케팅 측면에서 고객에게 충분한 인지가 되지 않았으며, 서비스가 셀프에 가까워 현 서비스 추세와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주) CJ 푸드빌에서 운영하고 있는 VIPS와 Sky Lark은 국내에서 개발된 토종 패밀리 레스토랑으로서 VIPS는 35개, Sky Lark은 43개 매장을 운영 중에 있다. VIPS의 2004년 매출액은 710억 원으로 전년대비 29.1%성장 하였고, 스카이락은 2004년 매출액이 390억 원으로 전년대비 2.5% 마이너스 성장을 하였다. VIPS는 고객참여 마케팅을 적극 실시함으로 고객이 원하는 메뉴 트렌드를 파악하고, CRM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멤버쉽 프로그램을 진행, 포인트를 통한 공연관람, 계산, 쿠폰 구입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회원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또한 메뉴에 있어서는 씨푸드 메뉴의 추가와 샐러드 바에 다양한 건강 샐러드를 출시하였고, 스테이크 역시 냉장육을 이용하여 판매량을 늘이고 있다.
(주)
  • 가격4,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9.02.16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