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1. 문제 제기
2. 범위와 목적
II. 칼빈의 영성신학 형성의 배경
1. 칼빈의 영성, 인문주의적 배경
2. 칼빈의 영성, 말씀의 영성
3. 칼빈의 영성, 경건으로서 영성
III. 칼빈의 영성신학 이해
1. 경건과 영성
2. 경건과 신학
3. 경건과 삶
1) 자기부인
2) 십자가를 짊
3) 내세에 대한 묵상
4) 현세의 선용
5) 오직 하나님께 영광
IV. 킬빈의 신앙과 삶의 영성
1. 칼빈의 영성과 성령
2. 칼빈의 영성신학이 한국교회에 미치는 영향
3. 칼빈의 영성신학의 현대적 적용
V. 결 론
* 참고문헌
1. 문제 제기
2. 범위와 목적
II. 칼빈의 영성신학 형성의 배경
1. 칼빈의 영성, 인문주의적 배경
2. 칼빈의 영성, 말씀의 영성
3. 칼빈의 영성, 경건으로서 영성
III. 칼빈의 영성신학 이해
1. 경건과 영성
2. 경건과 신학
3. 경건과 삶
1) 자기부인
2) 십자가를 짊
3) 내세에 대한 묵상
4) 현세의 선용
5) 오직 하나님께 영광
IV. 킬빈의 신앙과 삶의 영성
1. 칼빈의 영성과 성령
2. 칼빈의 영성신학이 한국교회에 미치는 영향
3. 칼빈의 영성신학의 현대적 적용
V.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8) 경건한 삶의 출발인 자기 부인은 자기 스스로는 불가능하고 오직 성령의 역사로만 가능해진다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경건은 성령의 역사가 선행되지 않으면 안된다. 경건은 선행하는 성령의 역사에 응하여 성령의 은혜와 그 힘으로 거룩을 향해 나아가기로 결정한 삶의 양식인 것이다. \"모든 사람이 경건의 길에서 전진하려면 성령의 은밀한 역사가 있어야 된다.\"(3.24.13)
칼빈에 의하면 성령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연합시켜 주시는 띠다.(3.1.1) 우리는 성령에 의하여 그리스도와 그의 모든 유익을 누리게 된다. 성령은 그리스도의 것을 우리에게 적용하신다. 그리하여 그리스도로 하여금 우리를 위한 그리스도가 되게 하신다. 성령은 모든 하늘의 부가 우리에게 흘러 들어오는 샘이며, 하나님의 권능이 행사되는 하나님의 손이다. 성령을 배제하면 그리스도는 우리와 상관이 없는 분일 뿐이다. 그리스도의 유익과 은혜가 우리의 것이 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와 연합해야 하는데, 그리스도께서는 오직 성령에 의해서만 우리와 연합하신다. 칼빈은 이것을 우리와 그리스도와의 거룩한 혼인으로 비유하였다.(3.1.3) 성령은 그리스도 자신과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우리에게 전달하는 통로와 같다. \"성경은 우리가 그리스도에 참여하는 일을 말할 때, 그 전적인 힘을 성령께 돌린다.\"(4.17.12) 성령만이 우리로 하여금 그리스도를 완전히 소유하게 하고 그로 하여금 우리 안에 머물게 하신다. 또한 칼빈에 의하면 성령은 신자를 그리스도와의 친밀한 교제로 이끌고 그리스도와 함께 성장하게 하며, 그리스도와 온전히 하나 됨(unio cum Christo)으로 이끄신다. 그리스도와 함께 성장함은 중생할 때에 그리스도께서 신자의 삶 속에 함께 거하심으로 시작된다. 신자는 중생한 후에 그리스도와 함께 성장하여 결국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는 은혜를 체험한다: “그리스도께서 우리 바깥에 계시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에 거하신다는 사실이 바로 그것이다. 절대로 분리되지 않는 끈끈한 교제의 끈으로 그리스도는 우리와 밀착되실 뿐만 아니라 놀라운 연합을 통하여 날마다 점점 더 우리와 한 몸으로 자라나셔서 결국 우리와 완전한 하나가 되신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와 완전히 하나됨이란 그리스도와 인간의 혼합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리스도와의 신비적인 연합(mystica unio)이다. 이러한 신비적 연합은 “오로지 성령을 통해서만”(einzig und allein durch den Heiligen Geist) 이루어진다.“ 이러한 성령의 역사는 비가시적으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교회의 구체적인 은혜의 수단인 세례와 성만찬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이루어진다. 칼빈은 세례와 성찬을 통해서 그리스도와 하나 됨을 말하고 있다. 신자는 세례를 통해서 그리스도 안에 접붙임을 받아 가시적인 신자들의 회중에 받아들여진다. 신자는 성찬식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살과 피에 참여하게 된다. 이것은 성령이 떡과 포도주에 영적인 임재를 통해서 일으키는 신비한 사역이다. 성만찬에서 그리스도의 몸은 하늘에 속하지만은 떡과 포도주를 매개로 하여 그의 영을 통해서 신자와 하나를 이룬다. 이것은 이성으로는 이해될 수 없는 신비로운 영적 체험이다. 이것은 “이해하기 보다는 체험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비로운 하나(mystica unio)이다.
2. 칼빈의 영성신학이 한국교회에 미치는 영향
칼빈은 성령의 신학자요 영성이 풍부한 목회자였다. 그의 영성은 중세말의 근대적 경건운동과 16세기 프랑스 인문주의자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칼빈이 근대적 경건과 프랑스 인문주의자들의 영향을 그대로 전부 수용했다는 뜻은 아니다. 칼빈은 그들의 영향을 넘어서서 독창적인 하나님앞에서의 경건이란 영성을 이루었다. 그의 영성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근거하였다. 그래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그의 신학의 핵심이였다. 즉 성도의 구원이란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더 자세히 맡하면 성령과 하나님의 말씀에 근가하여 믿음에 의하여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들어가게 되고,그 결과로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다 함을 받는 동시에,그리스도와의 인격을 닮아가는 거룩한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칼빈의 영성의 특징은 이전에는 칭의와 성화를 두단계로 보았지만 이 둘은 그리스도와 연합할때에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결과로써 칭의와 성화가 주어지면,그리스도와의 연합 안에서의 실제적인 삶은 주님을 닯아가는 삶,곧 성화를 이루어가게 된다. 이러한 칼빈의 영성운동은 프랑스, 네델란드. 영국. 미국을 거쳐서 프로테스탄트 정신을 이루게된다. 칼빈의 영향력은 교회나 신학에만 머문것이 아니라 정치,경제,산업 등 사회의 제반분야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남기게된다. 칼빈의 사상이 사회 여러분야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게된것은 그의 신학이 사변적인 신학에서 벗어나 현실사회의 개혁을 준비하고 추진할수 있는 원동력이 된것은 그의 신학의 출발 자체가 자신의 시대의 문제를 정면으로 데처하는데 출발이 빨랐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칼빈은 27세의 비교적 젊은 나리에 기독교강요 초판을 출판함으로써 신학자로서 삶을 시작한다. 이 책의 저술 이유는 그 당시 신앙의 형제들이 당하는 박해와 처형을 중단시키고자 하는 것과 박해와 처형의 부당성을 신학적으로 증명하려고 한 것이었다. 이렇게 칼빈이 스콜라주의, 근대적 경건, 인문주의의 모든 경향과 문제점을 그의 신학사상에서 통합하고 해결하였다는 점에서,그는 그 이전의 시대를 종합한 사람이요,또한 새로운 시대를 연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칼빈의 영성신학의 공헌은 초자연적인 계시로서의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과 이 성경을 우리 내부에서 하나님의 말씀으로 확증해 주시는 성령님의 관계를 밝힌 점아다. 그리고 이러한 영성신학을 위해 우리의 삶과 신앙의 괴리를 극복하는 개념으로 경건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나님의 대한 경외와 하나님에 대한 사랑이 결합된 경건은 그의 신학의 주요한 개념으로 경건의 바탕위에서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 흘로 나온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건의 바탕위에서 믿음과 칭의, 기도와 진정한 사랑이 가능해 진다.
칼빈은 그의 경건한
칼빈에 의하면 성령은 우리를 그리스도와 연합시켜 주시는 띠다.(3.1.1) 우리는 성령에 의하여 그리스도와 그의 모든 유익을 누리게 된다. 성령은 그리스도의 것을 우리에게 적용하신다. 그리하여 그리스도로 하여금 우리를 위한 그리스도가 되게 하신다. 성령은 모든 하늘의 부가 우리에게 흘러 들어오는 샘이며, 하나님의 권능이 행사되는 하나님의 손이다. 성령을 배제하면 그리스도는 우리와 상관이 없는 분일 뿐이다. 그리스도의 유익과 은혜가 우리의 것이 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와 연합해야 하는데, 그리스도께서는 오직 성령에 의해서만 우리와 연합하신다. 칼빈은 이것을 우리와 그리스도와의 거룩한 혼인으로 비유하였다.(3.1.3) 성령은 그리스도 자신과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우리에게 전달하는 통로와 같다. \"성경은 우리가 그리스도에 참여하는 일을 말할 때, 그 전적인 힘을 성령께 돌린다.\"(4.17.12) 성령만이 우리로 하여금 그리스도를 완전히 소유하게 하고 그로 하여금 우리 안에 머물게 하신다. 또한 칼빈에 의하면 성령은 신자를 그리스도와의 친밀한 교제로 이끌고 그리스도와 함께 성장하게 하며, 그리스도와 온전히 하나 됨(unio cum Christo)으로 이끄신다. 그리스도와 함께 성장함은 중생할 때에 그리스도께서 신자의 삶 속에 함께 거하심으로 시작된다. 신자는 중생한 후에 그리스도와 함께 성장하여 결국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는 은혜를 체험한다: “그리스도께서 우리 바깥에 계시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에 거하신다는 사실이 바로 그것이다. 절대로 분리되지 않는 끈끈한 교제의 끈으로 그리스도는 우리와 밀착되실 뿐만 아니라 놀라운 연합을 통하여 날마다 점점 더 우리와 한 몸으로 자라나셔서 결국 우리와 완전한 하나가 되신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와 완전히 하나됨이란 그리스도와 인간의 혼합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리스도와의 신비적인 연합(mystica unio)이다. 이러한 신비적 연합은 “오로지 성령을 통해서만”(einzig und allein durch den Heiligen Geist) 이루어진다.“ 이러한 성령의 역사는 비가시적으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교회의 구체적인 은혜의 수단인 세례와 성만찬을 통해서 가시적으로 이루어진다. 칼빈은 세례와 성찬을 통해서 그리스도와 하나 됨을 말하고 있다. 신자는 세례를 통해서 그리스도 안에 접붙임을 받아 가시적인 신자들의 회중에 받아들여진다. 신자는 성찬식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살과 피에 참여하게 된다. 이것은 성령이 떡과 포도주에 영적인 임재를 통해서 일으키는 신비한 사역이다. 성만찬에서 그리스도의 몸은 하늘에 속하지만은 떡과 포도주를 매개로 하여 그의 영을 통해서 신자와 하나를 이룬다. 이것은 이성으로는 이해될 수 없는 신비로운 영적 체험이다. 이것은 “이해하기 보다는 체험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비로운 하나(mystica unio)이다.
2. 칼빈의 영성신학이 한국교회에 미치는 영향
칼빈은 성령의 신학자요 영성이 풍부한 목회자였다. 그의 영성은 중세말의 근대적 경건운동과 16세기 프랑스 인문주의자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칼빈이 근대적 경건과 프랑스 인문주의자들의 영향을 그대로 전부 수용했다는 뜻은 아니다. 칼빈은 그들의 영향을 넘어서서 독창적인 하나님앞에서의 경건이란 영성을 이루었다. 그의 영성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근거하였다. 그래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그의 신학의 핵심이였다. 즉 성도의 구원이란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더 자세히 맡하면 성령과 하나님의 말씀에 근가하여 믿음에 의하여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들어가게 되고,그 결과로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다 함을 받는 동시에,그리스도와의 인격을 닮아가는 거룩한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칼빈의 영성의 특징은 이전에는 칭의와 성화를 두단계로 보았지만 이 둘은 그리스도와 연합할때에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결과로써 칭의와 성화가 주어지면,그리스도와의 연합 안에서의 실제적인 삶은 주님을 닯아가는 삶,곧 성화를 이루어가게 된다. 이러한 칼빈의 영성운동은 프랑스, 네델란드. 영국. 미국을 거쳐서 프로테스탄트 정신을 이루게된다. 칼빈의 영향력은 교회나 신학에만 머문것이 아니라 정치,경제,산업 등 사회의 제반분야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남기게된다. 칼빈의 사상이 사회 여러분야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게된것은 그의 신학이 사변적인 신학에서 벗어나 현실사회의 개혁을 준비하고 추진할수 있는 원동력이 된것은 그의 신학의 출발 자체가 자신의 시대의 문제를 정면으로 데처하는데 출발이 빨랐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칼빈은 27세의 비교적 젊은 나리에 기독교강요 초판을 출판함으로써 신학자로서 삶을 시작한다. 이 책의 저술 이유는 그 당시 신앙의 형제들이 당하는 박해와 처형을 중단시키고자 하는 것과 박해와 처형의 부당성을 신학적으로 증명하려고 한 것이었다. 이렇게 칼빈이 스콜라주의, 근대적 경건, 인문주의의 모든 경향과 문제점을 그의 신학사상에서 통합하고 해결하였다는 점에서,그는 그 이전의 시대를 종합한 사람이요,또한 새로운 시대를 연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칼빈의 영성신학의 공헌은 초자연적인 계시로서의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과 이 성경을 우리 내부에서 하나님의 말씀으로 확증해 주시는 성령님의 관계를 밝힌 점아다. 그리고 이러한 영성신학을 위해 우리의 삶과 신앙의 괴리를 극복하는 개념으로 경건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나님의 대한 경외와 하나님에 대한 사랑이 결합된 경건은 그의 신학의 주요한 개념으로 경건의 바탕위에서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 흘로 나온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건의 바탕위에서 믿음과 칭의, 기도와 진정한 사랑이 가능해 진다.
칼빈은 그의 경건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