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Ⅱ. 병력
Ⅲ.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Ⅳ.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검사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Ⅲ.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Ⅳ.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검사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상요법으로효과가 없는 만성기관지 경련의 처치
구강/인두 자극감, 기침, 폐질환, 구강인두 건조감
-
5/11~15
nebulizer
진해거담제
mucomyst
acetylcysteine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천식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세기관지염, 낭성섬유증
구역, 구토, 식욕부진, 발진, 기관지경련
-
5/11~15
nebulizer
Ⅶ. 특수치료 및 검사
검사(치료명)
Nebulizer
목적
천식, 호흡곤란, 객담이 과다하게 분무될 때 분무기를 사용하여 약물을 흡입
적응증
상하기도 감염증, 폐색성 폐질환, 기도협착과 경련, 기도부종, 기도내 진한 분비물이 있을 때
간호내용
- 스위치를 켠 후, 마우스 피스 가까이에 코를 대고 코로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쉴 수 있도록 설명한다.
- 네뷸라이저를 하는 동안에는 눈을 감아야 함을 설명한다.
결과
(부작용 포함)
- nebulizer을 통해 가래가 묽어진다.
검사(치료명)
산소요법(nasal cannula)
목적
- 조직에 충분한 양의 산소를 주어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일어날 수 있게 하기 위함.
- 저산소혈증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완화하나 질환을 치유하지는 못함
적응증
저산소혈증이 발생하면 언제나 산소를 투여
- 동맥혈 가스분석에서 산소분압이 낮을 때
- 호흡운동량이 증가했을 때
- 심근의 부담이 증가되었을 때
간호내용
- COPD의 환자의 경우 2L/min의 산소까지 견딜 수 있음
- 장기 사용 시 캐뉼러 귀 부분에는 패드를 대어줄 것
결과
(부작용 포함)
- 산소농도가 떨어지지 않음.
검사(치료명)
PICC
목적
- 장기적으로 입원하는 환자이거나 혈관을 찾기 어려운 경우 사용함
적응증
- 접근가능한 말초정맥이 소멸되었을 때
- 고삼투성 수액을 주입
- 수포성 항암제 투여
- 장기적인 정맥주사요법
간호내용
- 카테터가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거즈나 투명필름을 가장자리부터 떼어낸다.
- 면봉으로 출구 쪽에서 바깥 방향으로 나선을 그리면서 소독한다.
- 카테터 관을 소독한다.
결과
(부작용 포함)
- PICC를 통해 더 이상 라인을 잡을 필요가 없어짐.
Ⅷ. 간호과정
1.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약물과 관련된 고체온
3.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4. 낙상경험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5. 정보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구분
Content
Assessment
S:“숨을 쉴때‘씩씩’거리는 소리가 나”(5/12)
“누워있지를 못하겠어”(5/12)
O: dyspnea증상 보임
LLL crackle sound가 들림
기침시 가래 끓는 소리가 남
saturation이 nasal cannula를 적용하고 97% 이하로 나타남
가래를 지속적으로 종이컵에 뱉어냄
5/11
94%
5/12
96%
5/13
95%
5/14
97%
5/15
92%
Diagnosis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구분
Content
Assessment
O: 5/6일부터 Rt. PICC를 하고있음
Diagnosis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구분
Content
Assessment
S: “열이 나는거 같아”(5/11~13)
\"머리에서도 열이나\"(5/12)
\"아무래도 감기에 걸린 것 같아\"(5/13)
O: 양 겨드랑이에 ice ball을 적용(5/12~13)
양볼의 홍조(5/11~13)
5/12
5/13
T
37.4
37.2
Diagnosis
약물과 관련된 고체온
구분
Content
Assessment
S: “침대밑에 물건을 주으려다가 떨어져버렸네 머리가 아파”(5/15)
O: 머리 중심부위에서 2cm아래로 5cm가량의 상처가 있음.(5/15)
Diagnosis
낙상 경험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구분
Content
Assessment
O: nebulizer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함
지속적인 심호흡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함
nasal canula를 끼고 있어야 함을 설명함
Diagnosis
정보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 2 진단명 :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합리적 근거
간호 중재
간호평가
5월 11일~
5월
22일
주관적 자료
장기목표
-대상자는 PICC삽입한 부위에 어떠한 감염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는다.
단기목표
-5/25까지 대상자는 감염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는다.
①활력징후를 4시간 마다 측정하고 이상 시 보고한다.
-감염 시 체온이 상승한다.
②dressing 부위 동통, swelling 등 감염 징후를 관찰한다.
-감염 시 상처 부위에 동통, swelling 징후가 관찰된다.
③PICC 부위를 손으로 만지거나 잡아당기지 않도록 한다.
-손의 세균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한다.
④주변 환경을 정결히 하고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한다.
-주변의 위생상태를 청결히 하여 감염위험을 줄이고,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면역체계를 강화할 수 있다.
활력징후를 4시간 마다 측정하고 이상시 보고했다.
PICC부위 동통, swelling 등 감염 징후를 관찰했다.
PICC부위를 손으로 만지거나 열지 않도록 했다.
주변 환경을 정결히 하고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했다.
감염증상이 관찰되지 않음.
감염증상과 관련한 고체온이 나타나지 않음.
“이거 소독은 언제해주는 거야?”(5/12)
객관적 자료
기대 결과
Right PICC 유지함.
퇴원 시까지 동통, swelling, 발적 등 감염증상이 없다.
Ⅸ.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2), 일곱 번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619-635
김금순 외 (2012), 일곱 번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649-665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e.co.kr/
# 1 진단명 :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합리적 근거
간호 중재
간호평가
5월 11일~
5월
22일
주관적 자료
6/1까지 가래가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고 말한다.
6/1까지 기침시 가래끓는 소리가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
①기침과 가래 양상을 확인하고 효율적인 기침을 하도록 지지한다,
- 기침은 똑바로
구강/인두 자극감, 기침, 폐질환, 구강인두 건조감
-
5/11~15
nebulizer
진해거담제
mucomyst
acetylcysteine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천식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세기관지염, 낭성섬유증
구역, 구토, 식욕부진, 발진, 기관지경련
-
5/11~15
nebulizer
Ⅶ. 특수치료 및 검사
검사(치료명)
Nebulizer
목적
천식, 호흡곤란, 객담이 과다하게 분무될 때 분무기를 사용하여 약물을 흡입
적응증
상하기도 감염증, 폐색성 폐질환, 기도협착과 경련, 기도부종, 기도내 진한 분비물이 있을 때
간호내용
- 스위치를 켠 후, 마우스 피스 가까이에 코를 대고 코로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쉴 수 있도록 설명한다.
- 네뷸라이저를 하는 동안에는 눈을 감아야 함을 설명한다.
결과
(부작용 포함)
- nebulizer을 통해 가래가 묽어진다.
검사(치료명)
산소요법(nasal cannula)
목적
- 조직에 충분한 양의 산소를 주어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일어날 수 있게 하기 위함.
- 저산소혈증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완화하나 질환을 치유하지는 못함
적응증
저산소혈증이 발생하면 언제나 산소를 투여
- 동맥혈 가스분석에서 산소분압이 낮을 때
- 호흡운동량이 증가했을 때
- 심근의 부담이 증가되었을 때
간호내용
- COPD의 환자의 경우 2L/min의 산소까지 견딜 수 있음
- 장기 사용 시 캐뉼러 귀 부분에는 패드를 대어줄 것
결과
(부작용 포함)
- 산소농도가 떨어지지 않음.
검사(치료명)
PICC
목적
- 장기적으로 입원하는 환자이거나 혈관을 찾기 어려운 경우 사용함
적응증
- 접근가능한 말초정맥이 소멸되었을 때
- 고삼투성 수액을 주입
- 수포성 항암제 투여
- 장기적인 정맥주사요법
간호내용
- 카테터가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거즈나 투명필름을 가장자리부터 떼어낸다.
- 면봉으로 출구 쪽에서 바깥 방향으로 나선을 그리면서 소독한다.
- 카테터 관을 소독한다.
결과
(부작용 포함)
- PICC를 통해 더 이상 라인을 잡을 필요가 없어짐.
Ⅷ. 간호과정
1.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약물과 관련된 고체온
3.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4. 낙상경험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5. 정보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구분
Content
Assessment
S:“숨을 쉴때‘씩씩’거리는 소리가 나”(5/12)
“누워있지를 못하겠어”(5/12)
O: dyspnea증상 보임
LLL crackle sound가 들림
기침시 가래 끓는 소리가 남
saturation이 nasal cannula를 적용하고 97% 이하로 나타남
가래를 지속적으로 종이컵에 뱉어냄
5/11
94%
5/12
96%
5/13
95%
5/14
97%
5/15
92%
Diagnosis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구분
Content
Assessment
O: 5/6일부터 Rt. PICC를 하고있음
Diagnosis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구분
Content
Assessment
S: “열이 나는거 같아”(5/11~13)
\"머리에서도 열이나\"(5/12)
\"아무래도 감기에 걸린 것 같아\"(5/13)
O: 양 겨드랑이에 ice ball을 적용(5/12~13)
양볼의 홍조(5/11~13)
5/12
5/13
T
37.4
37.2
Diagnosis
약물과 관련된 고체온
구분
Content
Assessment
S: “침대밑에 물건을 주으려다가 떨어져버렸네 머리가 아파”(5/15)
O: 머리 중심부위에서 2cm아래로 5cm가량의 상처가 있음.(5/15)
Diagnosis
낙상 경험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구분
Content
Assessment
O: nebulizer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함
지속적인 심호흡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함
nasal canula를 끼고 있어야 함을 설명함
Diagnosis
정보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 2 진단명 :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합리적 근거
간호 중재
간호평가
5월 11일~
5월
22일
주관적 자료
장기목표
-대상자는 PICC삽입한 부위에 어떠한 감염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는다.
단기목표
-5/25까지 대상자는 감염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는다.
①활력징후를 4시간 마다 측정하고 이상 시 보고한다.
-감염 시 체온이 상승한다.
②dressing 부위 동통, swelling 등 감염 징후를 관찰한다.
-감염 시 상처 부위에 동통, swelling 징후가 관찰된다.
③PICC 부위를 손으로 만지거나 잡아당기지 않도록 한다.
-손의 세균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한다.
④주변 환경을 정결히 하고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한다.
-주변의 위생상태를 청결히 하여 감염위험을 줄이고,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면역체계를 강화할 수 있다.
활력징후를 4시간 마다 측정하고 이상시 보고했다.
PICC부위 동통, swelling 등 감염 징후를 관찰했다.
PICC부위를 손으로 만지거나 열지 않도록 했다.
주변 환경을 정결히 하고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했다.
감염증상이 관찰되지 않음.
감염증상과 관련한 고체온이 나타나지 않음.
“이거 소독은 언제해주는 거야?”(5/12)
객관적 자료
기대 결과
Right PICC 유지함.
퇴원 시까지 동통, swelling, 발적 등 감염증상이 없다.
Ⅸ.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2), 일곱 번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619-635
김금순 외 (2012), 일곱 번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649-665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e.co.kr/
# 1 진단명 :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및 합리적 근거
간호 중재
간호평가
5월 11일~
5월
22일
주관적 자료
6/1까지 가래가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고 말한다.
6/1까지 기침시 가래끓는 소리가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
①기침과 가래 양상을 확인하고 효율적인 기침을 하도록 지지한다,
- 기침은 똑바로
추천자료
만성 폐쇄성 폐질환 [의약학]
천식,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내과간호진단
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대해서
호흡기계 응급관리
만성 페쇄성 폐질환(COPD)케이스
성인간호- 호흡기 내과 케이스 스터디
만성 폐쇄성 폐질환 case
[만성]만성과 만성기관지염, 만성과 만성신부전, 만성과 만성뇌졸중, 만성과 만성폐쇄성폐질...
노화와 관련된 호흡기계변화(천식, COPD,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폐렴, 질환에 따른 간호)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성인간호학]호흡기내과 실습자료
[A+성인]Pneumonia폐렴 + COPD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