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 사례

Ⅱ. 문헌고찰
A. ARF 급성호흡부전
B. kyphosis
C. clonorchis sinensis

Ⅲ. CASE STUDY
A. 건강사정
B. 진단검사
C. 약물
D. 치료경과 및 계획
E. 간호과정(SOAPIE)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나트륨약제(kayexalate, sodium bicarbonate, 고장성식염수)의 투여 및 섭취는 피하도록 한다.
5.경련 발작시 안전한 환경을 유지해 준다.
6.고칼륨혈증의 심혈관 증상(심박출량저하, heart block, Twave상승, fibrilation, asystole)관찰한다.
7.이뇨제 투여 후 k+수치를 관찰한다.
8.이뇨제의 치료효과(I/O, CVP, 호흡음저하)관찰함.
9.인산염과 결합하는 이뇨제를 피함.
이론적 근거
1. 혈액 속 전해질이 과량 머물고 있어 저농도의 수액을 투여해 전해질불균형을 완화시켜야 한다.
3. 강심제는 순환계 가운데 특히 심장에 작용해서 그 기능을 촉진하는 약물을 말하며 고게륨혈증은 심장에 여러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강심제 투여시 pulse rate을 관찰한다.
5.경련 발작시 위험한 물건이 없도록 주변을 치우고 넥타이나 혁대, 웃옷의 단추등을 제거해 호흡을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혀를 깨물지 않도록 즉시 고개를 옆으로 돌려준다.
6.고포타슘혈증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심각한 심혈관계 질환의 증상을 관찰하여 사전에 예방한다.
7. 이뇨제를 투여하면 몸속 수분과 함께 포타슘도 함께 배출되어 혈중 포타슘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간호중재
고농도수액을 과량투여 하는것을 피한다.
⇒고농도수액을 과량투여 하지 않았다.
갈증을 관찰하고 주기적인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갈증을 관찰하고 6시간 마다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강심제 투여전 pulse rate 관찰한다.
⇒강심제를 투여하기 전에 pulse rate 관찰하였다.
4. 고나트륨약제(kayexalate, sodium bicarbonate, 고장성식염수)의 투여 및 섭취는 피하도록 한다.
⇒고나트륨약제(kayexalate, sodium bicarbonate, 고장성식염수)의 투여 및 서취를 피하였다.
5. 경련 발작시 안전한 환경을 유지해 준다.
⇒경련 발작시 주변에 위험한 물건이 없도록 주변을 치우고 낙상하지 않도록 side rail을 올리고 죄이는 옷을 제거하였다.
6. 고칼륨혈증의 심혈관 증상(심박출량저하, heart block, Twave상승, fibrilation, asystole)관찰한다.
⇒고칼륨혈증의 심혈관 증상(심박출량저하, heart block, Twave상승, fibrilation, asystole)이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7. 이뇨제 투여 후 k+수치를 관찰한다.
8. 이뇨제의 치료효과(I/O, CVP, 호흡음저하)관찰함.
9. 인산염과 결합하는 이뇨제를 피한다.
⇒ 인산염과 결합하는 이뇨제를 피하고 lasix를 사용하였다.
간호평가
더 이상 구토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부분의 전해질이 정상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sodium수치가 정상보다 조금 낮음: 133.2 [정상수치:136~146])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
객관적자료
절대침상안정중임
억제대 유지중임
기저귀발진 있음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배설물로 인해 드레싱부위 오염됨
욕창사정 : 1단계(등, 엉덩이 부위 욕창 2단계 → 1단계)
드레싱부위 oozing으로 젖어있음
간호목표
단기목표
1주일 이내에 드레싱부위에서 oozing이 나지 않는다.
장기목표
입원기간동안 욕창호발부위에 피부손상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1.개방상처를 무균적으로 세척한다.
2.건조하고 깨끗하게 피부를 유지하도록 한다.
3.듀티가 바뀔때마다 욕창부위 드레싱을 교환한다.
4.욕창부위 연고를 바른 후 메디폼을 상처부위에 붙인다.
5.같은 부위에 압력이 지속되는 것을 피하도록 자세를 취해준다.
6.등과 압박받는 부위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자극과 욕창을 방지한다.
7.발뒤꿈치와 뼈의 돌출부위에 보호패드를 적용한다.
8.발적과 손상부위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9. 2시간마다 back care를 시행한다.
이론적 근거
1. 개방된 상처에 이차적인 감염이 없도록 무균적으로 세척하고 드레싱한다.
2. 습기가 많고 끈적한 피부는 욕창위험성을 증가시킨다.
4.메디폼 : 메디폼은 화상이나 욕창 등 과다한 삼출물이 방생하는 창상에 다공성, 단층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이며 높은 흡수능을 가지고 있어 상처면이나 피부표면의 수축이 없이 습윤 치료환경을 촉진시킨다.
6.욕창방지를 위한 최소한의 시간인 2시간마다 back care와 체위변경, 등과 압박부위를 마사지하여 신체손상의 위험성을 줄인다.
간호중재
개방상처를 무균적으로 세척한다.
⇒ 개방상처를 무균적으로 세척하였다.
건조하고 깨끗하게 피부를 유지하도록 한다.
⇒건조하고 깨끗하게 피부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듀티가 바뀔때마다 욕창부위 드레싱을 교환한다.
⇒듀티가 바뀔때마다 욕창부위 드레싱을 교환하였다.
욕창부위 연고를 바른 후 메디폼을 상처부위에 붙인다.
⇒포타딘 연고를 바른 후 메디폼을 상처부위에 붙인다.
메디폼은 화상이나 욕창 등에 높은 흡수능을 가지고 있어 상처면이나 피부표면의 수축이 없이 습윤 치료환경을 촉진시킨다.
같은 부위에 압력이 지속되는 것을 피하도록 자세를 취해준다.
⇒배게를 3개 사용하여 양쪽 팔아래와 다리사이에 위치시켜 피부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고 엉덩이아래 도넛방석을 깔아 주었다.
등과 압박받는 부위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자극과 욕창을 방지한다.
⇒등과 엉덩이 부위를 주기적으로 마사지 해 주고 체위를 변경해주어 혈액순환자극과 욕창을 방지하였다.
발뒤꿈치와 뼈의 돌출부위에 보호패드를 적용한다.
⇒발뒤꿈치와 뼈의 돌출부위에 보호패드를 적용하였다.
발적과 손상부위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발적과 손상부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2시간마다 back care를 시행한다.
⇒ 2시간 마다 back care를 시행하여 엉덩이 욕창의 드레싱부위 감염을 예방한다.
간호평가
피부손상된 드레싱부위에서 더 이상 삼출물이 나오지 않았다.
욕창부위 면적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아직 엉덩이부위 발진이 존재한다.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수문사)
기본간호학 술기(수문사)
http://health.mw.go.kr/
http://health.naver.com
http://www.snuh.org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6.03.10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