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뇌졸중, 성인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 뇌졸중, 성인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성인병
Ⅱ. 뇌의 기능적 구조.
Ⅲ. 뇌졸중의 정의.
Ⅳ. 뇌졸중의 종류.
Ⅴ. 뇌졸중의 원인.
Ⅵ. 뇌졸중의 증상.
Ⅶ. 뇌졸중의 합병증.
Ⅷ. 뇌졸중의 치료.
Ⅸ. 뇌졸중의 예방방법.
Ⅹ. 뇌졸중의 예후.
ⅩI. 뇌졸중의 현황.

본문내용

흡을 시키고, 가래를 뽑아주는 등의 기도 유지가 필수적.
뇌는 딱딱한 두개골로 쌓여 있기 때문에 뇌출혈로 뇌 안에 피가 고이거나, 뇌경색 후 뇌가 붓게 되면 뇌압이 오르게 되어 뇌간의 중요 부위를 압박하게 된겨우 - 막기 위해 뇌압을 하강 시키는 여러 약제가 투여되며, 급성기에 혈압이 지나치게 높이 올라가는 경우에도 적절한 조절이 필요.
혈전용해제 : 뇌혈관이 막힌지 빠른시간 이내에 환자는 즉시 혈전 용해제를 투여하므로써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녹여, 뇌혈류를 재개시켜야 한다.
치료 방법은 두 가지로 혈전 용해제를 정맥내로 투여하는 방법과 동맥내로 투여하는 방법이 있는데, 동맥네로 직접 투여하는 방법은 효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 그 효과가 우수한 반면,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항시 시행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정맥내 투여 방식은 뇌졸중 발생 3시간 이내에 사용하며, 간단하기는 하나 그 효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항혈소판제제 : 동맥 경화 상태의 혈관벽에서 혈전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항혈소판제제를 투여하여야 한다. 여러 가지 항혈소판제제들이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아스피린, 티클리드, 플레탈 등이 있다.
항응고제 : 심장 질환에 의한 뇌전색증, 점점 진행하는 뇌허혈 증상, 일과성 뇌허혈이 빈발하는 경우 등에 피의 응고를 저지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Ⅸ. 뇌졸중의 예방방법.
-운동요법-
-추운 날씨에 외출을 삼간다
혈압은 아침시간에 더 올라간다. 추운 겨울에 아침 운동을 위해 외출시 말초 혈관 수축에 의한 이차적인 혈압 상승으로 이어져 뇌출혈이 잘 발병한다.
-혈압을 철저히 관리한다
뇌졸중의 가장 위험 요인이 바로 고혈압. 고혈압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뇌졸중 발병 가능성이 3~4배 높다.
-금연과 금주
흡연은 혈관을 손상시켜 뇌출혈과 뇌경색 모두를 초래하는 뇌혈관 질환의 최대 적이다. 주종과 상관없이 매일 7잔 이상을 마시면 뇌졸중 위험이 3배나 높아진다.
-정상 체중을 유지한다
비만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2~3배 정도 뇌졸중 위험이 높아진다. 뇌졸중 예방을 위해서는 정상 체중을 유지해야만 한다.
-운동을 습관화한다
매일 30분이상 꾸준히 운동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뇌졸중 발생률이 2.7배 가량 낮아진다.
-뇌 건강 검진을 받는다
CT,MRI 등 검사를 통해 뇌출혈 및 뇌경색의 발병 가능성을 미리 발견하고, 적극적인 예방 치료를 한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을 갖고 있는 사람은 40세 이후부터,그렇지 않은 사람은 50세 이후부터 뇌혈관 질환 관련 정기 검진을 받는다.
-식사요법-
-영양의 균형을 생각한다
생서느 육류 계란 대두 가 부족 혈관이 약해짐
- 염분을 피한다
콜레스테롤에 주의한다
동물성 지방보다는 식물성 지방이나 어유를 섭취한다.
당질과 지질의 지나친 섭취도 좋지않다.
음주량을 조절한다
탈수를 예방한다.
흡연 습관을 버린다.
스트레스 해소를 잘한다.
식이요법과 함께 운동도 함께한다.
Ⅹ. 뇌졸중의 예후.
엽산과 칼륨이 많은 과일과 야채
혈전 예방효과가 있는 마늘, 고추, 버섯등 비타민 C
칼륨이 많이 함유된 뿌, 고구마, 무말랭이, 고추잎, 땅콩, 율무, 꽃게, 해삼.
베타 카로틴이 풍부한 당근, 시금치
ⅩI. 뇌졸중의 현황.
뇌졸중의 국내 사망률이 OECD 국가 가운데 2위를 차지.
질병관리본부 자료를 보면, 인구 10만명 당 국내 뇌졸중 사망자 수는 95.8명(2007년 기준)으로 헝가리 다름으로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인구 10만명 당 뇌졸중 사망자 수 95.8명은 미국과 비교할 때 2배를 넘는 수치, 일본의 55.2명과 비교해도 훨씬 높은 수치이다.
뇌졸중으로 입원 후 30일 이내 사망하는 국내 비율은 15.2%로 OECD 국가 가운데 역시 두번째로 높았다.
단일질환으로는 제1의 사망원인
(단위 : 해당인구 십만명당 사망자수)
- 2000년 사망원인 통계연보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을 유형별로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 뇌내촐혈 37.%, 뇌지주막하 출혈 10.4%, 뇌경색 35.4%, 기타 9.8%
서 양 - 뇌내촐혈 11%, 뇌지주막하 출혈 5%, 뇌경색 75%, 기타 9%
순위
사망원인
전체
남자
여자
1위
뇌혈관질환
73.5
70.9
76.1
2위
교통사고
33.5
49.2
17.5
3위
간장질환
26.1
41.9
10.1
4위
위암
25.6
32.4
18.8
5위
간,간내담관암
21.2
32.3
10.0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07.02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5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