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경음화는 역사적인 변천과정에서 그 이전에 예사소리로 발음하던 것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와 ‘무성음과 무성음이 만나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즉, 경음화란 경음이 아닌 평장애음 ㅂ, ㄷ, ㄱ, ㅅ, ㅈ가 일정한 환경에서 경음인 ㅃ, ㄸ, ㄲ, ㅆ, ㅉ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장애음 뒤 경음화는 규칙 적용의 환경을 음운 정보만으로 기술할 수 있는 경음화인데 정해진 운율 단위 안에서 예외를 허용하지 않는다. 반면, 어간말 비음 뒤의 경음화나 관형형 어미 ‘-을’ 뒤의 경음화, 한자어의 경음화는 형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음화의 예로서, 우리말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그 이전에는 예삿소리로 발음하던 것은 된소리로 발음하게 되었다. ‘곶>꽃, 가마귀>까마귀, 곳고리>꾀꼬리’가 그 예이다.
1) 장애음 뒤 경음화
다음의 예에서 우리말의 평장애음 ㅂ, ㄷ, ㄱ, ㅅ, ㅈ가 ㅂ, ㅍ, ㄷ,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ㅊ, ㅎ 등의 장애음 뒤에서 경음 ㅃ, ㄸ, ㄲ, ㅆ, ㅉ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1) 단어 용례
밥도둑[밥또둑] 옆집[엽찝] 돋보기[돋뽀기] 밭갈이[받까리] 국솥[국쏟] 깎다[깍따] 부엌도[부억또] 옷고름[
즉, 경음화란 경음이 아닌 평장애음 ㅂ, ㄷ, ㄱ, ㅅ, ㅈ가 일정한 환경에서 경음인 ㅃ, ㄸ, ㄲ, ㅆ, ㅉ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장애음 뒤 경음화는 규칙 적용의 환경을 음운 정보만으로 기술할 수 있는 경음화인데 정해진 운율 단위 안에서 예외를 허용하지 않는다. 반면, 어간말 비음 뒤의 경음화나 관형형 어미 ‘-을’ 뒤의 경음화, 한자어의 경음화는 형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음화의 예로서, 우리말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그 이전에는 예삿소리로 발음하던 것은 된소리로 발음하게 되었다. ‘곶>꽃, 가마귀>까마귀, 곳고리>꾀꼬리’가 그 예이다.
1) 장애음 뒤 경음화
다음의 예에서 우리말의 평장애음 ㅂ, ㄷ, ㄱ, ㅅ, ㅈ가 ㅂ, ㅍ, ㄷ,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ㅊ, ㅎ 등의 장애음 뒤에서 경음 ㅃ, ㄸ, ㄲ, ㅆ, ㅉ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1) 단어 용례
밥도둑[밥또둑] 옆집[엽찝] 돋보기[돋뽀기] 밭갈이[받까리] 국솥[국쏟] 깎다[깍따] 부엌도[부억또] 옷고름[
추천자료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교육
한국어교수법 - 거리에서(On the street) 학습지도안
한국어 수업 시간에 다루어야 하는 현대 문화 항목에는 어떠한 것들이 포함될 수 있는가, 전...
한국어 초급 통합 교재의 한 단원을 ‘단원 제목-학습 목표- 도입-예시문-어휘-문법-발음-과제...
한국어이해교육론-최근의 신문기사를 선정하여 중급 읽기수업 구성
한국어 말하기 교육 시 TTT교수법을 활용할 때 PPP교수법을 활용한 교육과 어떻게 다른지 각 ...
한국어를 평가할 때 분리평가와 통합평가의 장,단점을 말해보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교재의 내용 선정 및 배열의 특징을 서술할 것. 교재는 세종학당과...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통합 교재의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통합 교재와 개별 교재의 차이...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선어말어미 ‘-겠-’ 및 ‘-을 것이-’(-을 것이다-을 거야)의 공통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문법적 교수요목과 개념기능적 교수요목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
한국어교육학 개관
한국어 교육 평가의 연구사와 변천사
한국어 문법 표현을 위한 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