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경음화 발음교육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경음화 발음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경음화는 역사적인 변천과정에서 그 이전에 예사소리로 발음하던 것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와 ‘무성음과 무성음이 만나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즉, 경음화란 경음이 아닌 평장애음 ㅂ, ㄷ, ㄱ, ㅅ, ㅈ가 일정한 환경에서 경음인 ㅃ, ㄸ, ㄲ, ㅆ, ㅉ로 바뀌는 음운 현상이다. 장애음 뒤 경음화는 규칙 적용의 환경을 음운 정보만으로 기술할 수 있는 경음화인데 정해진 운율 단위 안에서 예외를 허용하지 않는다. 반면, 어간말 비음 뒤의 경음화나 관형형 어미 ‘-을’ 뒤의 경음화, 한자어의 경음화는 형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음화의 예로서, 우리말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그 이전에는 예삿소리로 발음하던 것은 된소리로 발음하게 되었다. ‘곶>꽃, 가마귀>까마귀, 곳고리>꾀꼬리’가 그 예이다.
1) 장애음 뒤 경음화
다음의 예에서 우리말의 평장애음 ㅂ, ㄷ, ㄱ, ㅅ, ㅈ가 ㅂ, ㅍ, ㄷ, ㅌ, ㄱ, ㄲ, ㅋ, ㅅ, ㅆ, ㅈ, ㅊ, ㅎ 등의 장애음 뒤에서 경음 ㅃ, ㄸ, ㄲ, ㅆ, ㅉ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1) 단어 용례
밥도둑[밥또둑] 옆집[엽찝] 돋보기[돋뽀기] 밭갈이[받까리] 국솥[국쏟] 깎다[깍따] 부엌도[부억또] 옷고름[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6.07.25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6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