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간경변증(간경화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 간경변증(간경화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관련 문헌의 개요

2. 본론
1.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2. 문제목록
3.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적용
●간호과정 1
●간호과정 2
●간호과정 3
●간호과정 4
●간호과정 5
3.결론
4. 참고 문헌
5. 참고 SITE

본문내용

간내 담 관암은 주위의 혈관이 풍부해 다수의 담관에 침범할 가능성이 높아 PTBD를 시행하는 것이 적합하며 총간관 또는 총담관을 침범한 간외 담관암은 ERBD를 시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담관암 치료의 가장 좋은 방법은 수술적 방법이다. 그러나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일시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담 도 배액술을 시행하여 담관염 및 패혈증을 예방하는 것은 고통을 경감하고 생명을 연장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또한 수술이 가능하더라도 황달간에서의 간절제는 간부전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수술 전 PTBD 또는 ENBD에 의한 감황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내시경을 이용하는 방법은 경피적인 방법에 비해 담관 침윤의 판별 능력이 떨어지고 폐색 침윤부의 조영제 배출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담관염을 일으킬 확률이 높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문부 및 간내 담관암인 경우는 PTC와 PTBD에 의한 방법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경피적 경간 담즙배액술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경피경간 담관조영검사를 시행하여 폐색 부위와 폐색 원인을 진단한 후 배액도관을 삽입하여 배액술을 시행하 여야 한다.
검사하기 전에 출혈성 검사를 시행해 prothrombin time이 15초 이상인 경 우와 PLT 50,000/cm3 이하인 경우는 검사를 할 수 없으며 전이성 간암으 로 인해 종양을 통과하지 않으면 배액관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 충실성 복 수(massive ascites)인 경우는 상대적 금기로 되어 있다. 충실성 복수인 경 우는 복벽과 간 사이가 복수로 차 있기 때문에 천자하기가 어렵고 천자되더 라도 복강 내로 출혈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환자는 검사 전 8∼12 시 간 금식하여야 하고 정맥주사를 확보하여 응급상황에 대처한다. 또한 검사 30분 전에 마취제(demerol) 50㎎을 근육주사(I.M)하여 환자를 안정시킨다. 그리고 검사에 필요한 기구는 담관을 천자하는 데 사용되는 21∼22gauge 의 Chiba needle, 배액 카테타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sheath, dilator, hair guide wire, guide wirer, 배액을 시키기 위한 돼지 꼬리 형태의 배액도관 (pigtail type drainage catheter), 배액도관을 피부표면에 고정시키는 데 사 용하는 실리콘으로 된 고정기구(stabilizer) 등을 준비한다.
이 시술은 시술시간이 길어지면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출혈성 합병증을 동 반할 수 있으므로 전처치를 준수하고 가능한 시간을 단축하여 시술하여야 하며 담관내 압력이 높아지지 않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천자는 우측 액와선 의 제 7∼9번째 늑간에서 촬영대와 수평으로 천자하는 데 간외 담도가 폐색 된 경우는 담관의 어느 부분을 천자하여도 배액이 가능하나 간내 담관인 경 우는 한 개의 배액관으로 가장 넓은 부위에서 배액이 가능한 담관을 선택하 여 천자한다. 가능한 간실질을 통과하는 거리가 짧은 경로를 택하여 간막 (liver capsule)을 한 번만 천자하도록 하며, 담도의 천자 각이 간문부(porta hepatis)를 향해 예각을 이루도록 천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피적 경간 담즙배액술에는 외류법과 내·외류법 그리고 내류법 등이 있다. 외유법은 인위적으로 외복벽에 누공을 만들어 총담관(CBD)까지 배액도관 (external drainage catheter)을 넣어 배액시키는 방법이고 내·외류법은 외복 벽에 누공을 만들어 배액도관이 담관의 협착부를 지나 십이지장 유두 팽대 부까지 배액도관(internal-external drainage cathetr)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3 ∼4일 동안은 외부적 배액을 허용하고 그 이후는 십이지장으로 배액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며 내류법은 배액도관을 이용해 협착부위에 스텐트(stent)를 삽입하고 배액도관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능한 재협착(restenosis)을 방지 할 수 있는 시술이다. 스텐트의 재료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테프론 (teflon), 금속성 스텐트(metallic stent) 등이 있다. 체외로 담즙을 배액시키 는 방법은 외부에 노출된 배액도관의 미입과 감염 문제, 담즙의 체외 누출 로 인한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 문제, 담즙산의 배출로 인한 소화흡수 장 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새로운 스텐트의 개발로 담즙 을 체내로 배출시키는 내류법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시술은 외복벽에 Chiba needle을 삽입하면서 시작되고 그 시술 과정은 유사하며 배액도관을 어느 부위까지 삽입할 것인지 또는 배액도관을 통해 스텐트를 삽입할 것인지의 차이이다. 외류법을 시행할 것인지 내류법을 시행할 것인지의 결정은 환자의 질환, 환자의 상태, 진행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⑴ 검사방법
환자는 입원을 요하며 전처치로 정맥 주사를 확보(I.V route)하고 진경제를 투여하여 안정상태로 한다. 환자가 방사선과에 오면 시술에 사용할 PTBD set, 소독물질(betadin, alcohol 등), 국소 마취제(lidocain), 수용성 요오드 조영제(hexabrix, ultravist 등), 생리식염수(normal saline), 방포, 수술용 장갑(surgical gloves), 수술용 칼, 담즙배액 비닐주머니(bile bag) 등을 준비하고 촬영대에 바로누운자세로 눕힌다.
검사의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여 환자로 하여금 두려움을 해소하게 한 후 천자부위를 소독하고 그 부위를 방포로 덮는다. 천자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2% 리도카인(lidocain)으로 늑간 신경(intercostal nerve)의 주행을 따라 국소 마취시키고 China needle를 이용해 우측 액와선의 제 7∼9번째 늑간에서 촬영대와 수평으로 간실질을 향해 천자 원칙을 지키면서 천천히 천자한다.
총간관(CHD)에 천자된 것이 확인되면 Chiba needle에 미세 철심(hair wire)을 넣고 Chiba needle를 제거하고 long needle를 담관 입구까지 넣어 통로(track)를 확보한다. 이것은 외복벽에서 담관까지의 길을 넓히기 위한 수단으로 long needle에 쉬스(sheath)를
  • 가격1,000
  • 페이지수60페이지
  • 등록일2016.08.03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6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