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행평가
2. 객관도
3.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4. 형성평가
2. 객관도
3.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4. 형성평가
본문내용
대평가는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여 평가의 객관도와 신뢰도가 높다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상대평가는 학습자의 절대적 목표도달수준 측정이 불가능하여 오로지 학습자의 상대적 위치만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교수학습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또한, 높은 상대적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경쟁의식을 부추겨 보다 교실 분위기를 삭막하게 하고 교우관계가 나빠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대평가를 통해 제공되는 피평가자의 상대적 위치는 교수학습 개선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며 상대적 위치가 낮은 사람은 자아효능감이 낮아지고 열등감을 초래하거나 정서적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4. 형성평가
형성평가란 수업 중간에 학습자의 수업수행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평가이다. 형성평가는 문제의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 중요한 학습요소를 모두 포함해야 하며 구체적 행동목표 또한 모두 포함해야 한다. 또한, 문항의 형식을 다양하게 혼용할 필요가 있으며 절대평가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문항은 신뢰도가 높은 선택형과 서답형으로 사용하되 여러 답이 나와 주관성이 큰 논문형이나 서술형으로 문제를 내면 안 된다. 그리고 평가 후에는 반드시 피드백을 해주어야 한다.
4. 형성평가
형성평가란 수업 중간에 학습자의 수업수행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평가이다. 형성평가는 문제의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 중요한 학습요소를 모두 포함해야 하며 구체적 행동목표 또한 모두 포함해야 한다. 또한, 문항의 형식을 다양하게 혼용할 필요가 있으며 절대평가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문항은 신뢰도가 높은 선택형과 서답형으로 사용하되 여러 답이 나와 주관성이 큰 논문형이나 서술형으로 문제를 내면 안 된다. 그리고 평가 후에는 반드시 피드백을 해주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