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 드라마 <간서치열전> 속의 <홍길동전>
II. 본론 - 소설의 가치
1) 정서적 가치
2) 인식적 가치
3) 미학적 가치
III. 결론
II. 본론 - 소설의 가치
1) 정서적 가치
2) 인식적 가치
3) 미학적 가치
III. 결론
본문내용
는 의연한 태도”라는 생각을 중심으로 순수문학을 미화한 유진오, 김동리, 김환태, 이원조 등이 전개한 순수논쟁, 1963년 <현대문학>을 통한 김병걸, 김우종, 이형기의 순수문학논쟁, 1967년 ‘문학과 사회참여’라는 제목 아래에서 김붕구, 임중빈, 선우휘, 이호철, 김현 등이 벌인 공방전, 1968년 순수문학 입장의 이어령과 참여문학 입장의 김수영이 서로 글을 주고 받으며 전개했던 순수/참여논쟁 등이 바로 그 예시다. 이런 논쟁은 1970년대까지도 이어졌다.
순수 측은 참여 측을 향해 소재주의, 편내용주의, 도식주의라고 비판했다. 반대로 참여측은 순수측에게 형식주의, 문법주의, 도피주의 등을 지적했다. 말하자면 순수문학은 내용과 형식, 미와 진(眞), 논리와 신념 등을 조화로운 상태로 이끌겠다는 명분에서 출발한 것이기는 하지만 자칫하면 형식주의, 도피주의, 이기주의 등과 같은 함정에 빠지기 쉽다는 것이다.
III. 결론
홍길동전은 순수문학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해서 홍길동전을 가치절하할 수도 없다. 순수문학 역시 같은 이치로 깎아내릴 수 없다. 이런 혼란 속에서 소개하고싶은 작품은 바로 귄터 그라스의 <양철북>이다. 그라스는 참여작가지만 전통적인 의미의 ‘참여’와는 조금 다른 길을 걸었다. 그는 문학을 정치의 수단으로 이용하지는 않았지만 <양철북>의 주인공 오스카의 개인적인 사건들을 알레고리 기법으로 묘사해 당시 독일 사회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양철북>처럼 정서적, 인식적, 미학적 가치 세가지를 조화롭게 갖추었을 때 비로소 소설의 가치와 의의는 최고 수준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순수 측은 참여 측을 향해 소재주의, 편내용주의, 도식주의라고 비판했다. 반대로 참여측은 순수측에게 형식주의, 문법주의, 도피주의 등을 지적했다. 말하자면 순수문학은 내용과 형식, 미와 진(眞), 논리와 신념 등을 조화로운 상태로 이끌겠다는 명분에서 출발한 것이기는 하지만 자칫하면 형식주의, 도피주의, 이기주의 등과 같은 함정에 빠지기 쉽다는 것이다.
III. 결론
홍길동전은 순수문학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해서 홍길동전을 가치절하할 수도 없다. 순수문학 역시 같은 이치로 깎아내릴 수 없다. 이런 혼란 속에서 소개하고싶은 작품은 바로 귄터 그라스의 <양철북>이다. 그라스는 참여작가지만 전통적인 의미의 ‘참여’와는 조금 다른 길을 걸었다. 그는 문학을 정치의 수단으로 이용하지는 않았지만 <양철북>의 주인공 오스카의 개인적인 사건들을 알레고리 기법으로 묘사해 당시 독일 사회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양철북>처럼 정서적, 인식적, 미학적 가치 세가지를 조화롭게 갖추었을 때 비로소 소설의 가치와 의의는 최고 수준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현대소설작가론) 김영하론
[현대소설]마르셀 프루스트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작품 분석 및 비평
[현대소설론] '통도사 가는 길' 비평
이광수의 '무정'이 현대소설의 기점이 되는 이유와 문학사적 의의
[현대소설]헤밍웨이의 `살인자들` 서사구조 분석
2010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한국 현대소설의 이해와 역사
현대소설의 흐름
[현대소설감상] 김유정-만무방
2014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2015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2016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노년인물에 대한 형상화를 비교, 분석)
[현대소설 작가연구] 기억에 의존하는 (체험의 형상화를 지향하는) 작가 김소진
[현대소설론 공통] 다음 작품 중 두 편을 선택하여 읽고, 작품에 드러난 아버지상과 이를 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