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자 간호사정
이름(성별/나이)
신oo(F/41)
결혼상태
기혼
학력
대졸
직업
주부
종교
무
경제상태
중
입원일
2014. 7. 21
입원방법
외래-도보
입원 시 동반자
가족
정보 제공자
본인
(1) 일반적 정보
(2) 현재병력
- Malignant bone tumor, long bones of lower limb.
: osteosarcoma tibia Lt.
- 2014년 6월 osteosarcoma 진단받고, 1차 항암치료 시행 후 2차 항암치료위해 입원 함.
C/port.
(3) 수술력
- Currettage: 2014. 06. 11
(4) 신체상태 검진
- 신장: 156.5
- 몸무게: 65.9kg
- 혈압: 120-70
- 맥박: 80회/분
- 체온: 36.4
- 호흡: 20회/분
- 식사: 오심으로 인해 식사 잘 못하심.
- 배설: 대변 → 1회/1일(색-정상)
소변 → 6-7회/1일(양-200, 색-정상, 냄새-무)
의식상태: 정상
지남력: 유(장소, 시간, 사람)
언어능력: 유(말하기, 읽기, 쓰기, 이해력)
2) 진단적 검사
(1) Hematology구분
항목
정상범위
결과
CBC
Wbc
4.0~10.0
2.44
RBC
4~5.4
3.42
Hb
12~16
10.8
Hct
37~47
33.3
MCV
81~99
97.4
MCH
27~31
31.6
MCHC
33~37
32.5
MPV
7.2~11.1
7.0
Diff
count
Seg.Neutrophills
40~74
12
lymphocytes
19~48
85
Monocytes
4~9
3
(2) Urinalysis
구분
항목
정상범위
결과
24hr
urine
collection
Protein
25-125
12
Creatinine
1000-1500
1024
Calcium
50-300
431
Phosphrous
400-1300
662
Uric acid
250-750
483
(3) Blood chemistry
항목
정상범위
결과
T. Calcium
8.2-10.5
8.5
I. Phosphorus
2.3-4.5
3.4
BUN
8~23
19
creatinine
0.5~1.0
0.5
T. protein
5.8~8.0
5.9
Albumin
3.1~5.2
3.7
AST(GOT)
~40
20
ALT
~40
26
ALP
39~108
63
Total Bilirubin
0.2~1.1
0.11
GGT
~50
30
Uric acid
3.0~8.3
3.4
Na
135~145
137
K
3.5~5.0
4.5
TCO2
21~31
28.5
Mg
1.9-2.5
2.0
CK
60-220
35
LD
263-450
268
3) 약물치료
약물
분류
효능
아티반정
0.5mg
정신신경
용제
신경증에서의 불안·긴장·우울
정신신체장애(자율신경실조증, 심장신 경증)에서의 불안·긴장·우울
마취전 투약
시그나틴정
200mg
소화성
궤양용제
위/십이지장궤양, 역류성식도염, 재발 성궤양, 문합부궤양, 졸링거-엘리슨증 후군
다음 질환의 위점막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맥페란정
5mg
위장관
조절제
항암화학요법 후 지연된 구역, 구 토 예방
방사선요법 유발 구역, 구토 예방
구역, 구토의 증상 치료
포도당
주사액
5% 1000ml
당류제
고칼륨혈증, 순환허탈, 저혈당시의 에 너지 보급
심질환(G,I,K요법) 그 외 수분, 에너지 보급
약물/독물 중독
탄산수소
나트륨
주사액
해독제
산증
급성두드러기
염화나트륨
혈액대용제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 륨 결핍, 염소 결핍)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3. 간호과정
Data
C/port 삽입하고 있음
Nursing diagnosis
감염위험성
목표
단기목표: 감염 증상이 없고, 감염 위험성을 낮춤
장기목표: 감염의 위험요인을 알고, 필요한 예방조치를 할 수 있음
Plan
진단적: 검사를 시행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관찰
치료적: 침습적 처치 시 멸균법을 지킴
침습적 처치 시 손을 깨끗이 씻음
지속적으로 V/S check
교육적: 대상자에게 시술부위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교육
Action
검사결과 모니터링 함
감염 예방 교육 함
감염 위험요인 교육 함
감염 증상 설명 함
지속적으로 V/S check 함
Response
감염증상 없음
검사결과 감염결과 나타나지 않음
1)
2)Data
속이 안좋다고 함
토할 것 같다며 항구토제 원함
“토할 것 같아요”
Nursing diagnosis
오심
목표
단기목표: 오심이 감소하거나 없음
장기목표: 오심 시 대처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음
Plan
진단적: 구토 사정 함
치료적: 약물투여 함
지속적으로 V/S check
교육적: 대상자에게 오심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표현 하도록 교육 함
Action
약물투여 함
구강간호 시행 함
구토 사정 함
섭취량/배설량 측정 함
지속적으로 V/S check 함
Response
오심증상 없어짐
오심 완화 됨
Data
묽은 변이 있음
복부 불편감 호소함
설사 증가함
Nursing diagnosis
설사
목표
단기목표: 설사가 감소 함
장기목표: 설사 시 금식의 필요성을 알고 말할 수 있음
Plan
진단적: 색깔, 양상, 빈도를 사정 함
치료적: 금식
수분섭취 권장
지속적으로 V/S check
교육적: 대상자에게 배변 후 비누와 물로 부드럽게 닦고 건조 시킴을 교육 함
Action
금식의 필요성에대해 설명 함
배변 색깔, 양상, 빈도, 양을 사정 함
지속적으로 V/S check 함
Response
묽은 변 완화 됨
배변양상이 정상적임
3)
Ⅲ. 결론
경희의료원 종양혈액내과에서 만난 신oo(F/41)님은 골종양(Bone tumor)환자로 C/port 삽입으로 인한 감염위험성을 갖고 계시고, 항암치료로 인해 오심 및 설사가 나타나고 계신다. 이때 간호사는 신oo(F/41)님과 치료적인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대상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조용하고 안전한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이의 결과로 대상자는 안위증진이 되며, 증상 또한 완화가 될 것 이다.
Ⅳ. 참고문헌
-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Ⅱ 일곱째판. 2012. 수문사
- 성미혜 외. 간호과정. 2011. 정문각
이름(성별/나이)
신oo(F/41)
결혼상태
기혼
학력
대졸
직업
주부
종교
무
경제상태
중
입원일
2014. 7. 21
입원방법
외래-도보
입원 시 동반자
가족
정보 제공자
본인
(1) 일반적 정보
(2) 현재병력
- Malignant bone tumor, long bones of lower limb.
: osteosarcoma tibia Lt.
- 2014년 6월 osteosarcoma 진단받고, 1차 항암치료 시행 후 2차 항암치료위해 입원 함.
C/port.
(3) 수술력
- Currettage: 2014. 06. 11
(4) 신체상태 검진
- 신장: 156.5
- 몸무게: 65.9kg
- 혈압: 120-70
- 맥박: 80회/분
- 체온: 36.4
- 호흡: 20회/분
- 식사: 오심으로 인해 식사 잘 못하심.
- 배설: 대변 → 1회/1일(색-정상)
소변 → 6-7회/1일(양-200, 색-정상, 냄새-무)
의식상태: 정상
지남력: 유(장소, 시간, 사람)
언어능력: 유(말하기, 읽기, 쓰기, 이해력)
2) 진단적 검사
(1) Hematology구분
항목
정상범위
결과
CBC
Wbc
4.0~10.0
2.44
RBC
4~5.4
3.42
Hb
12~16
10.8
Hct
37~47
33.3
MCV
81~99
97.4
MCH
27~31
31.6
MCHC
33~37
32.5
MPV
7.2~11.1
7.0
Diff
count
Seg.Neutrophills
40~74
12
lymphocytes
19~48
85
Monocytes
4~9
3
(2) Urinalysis
구분
항목
정상범위
결과
24hr
urine
collection
Protein
25-125
12
Creatinine
1000-1500
1024
Calcium
50-300
431
Phosphrous
400-1300
662
Uric acid
250-750
483
(3) Blood chemistry
항목
정상범위
결과
T. Calcium
8.2-10.5
8.5
I. Phosphorus
2.3-4.5
3.4
BUN
8~23
19
creatinine
0.5~1.0
0.5
T. protein
5.8~8.0
5.9
Albumin
3.1~5.2
3.7
AST(GOT)
~40
20
ALT
~40
26
ALP
39~108
63
Total Bilirubin
0.2~1.1
0.11
GGT
~50
30
Uric acid
3.0~8.3
3.4
Na
135~145
137
K
3.5~5.0
4.5
TCO2
21~31
28.5
Mg
1.9-2.5
2.0
CK
60-220
35
LD
263-450
268
3) 약물치료
약물
분류
효능
아티반정
0.5mg
정신신경
용제
신경증에서의 불안·긴장·우울
정신신체장애(자율신경실조증, 심장신 경증)에서의 불안·긴장·우울
마취전 투약
시그나틴정
200mg
소화성
궤양용제
위/십이지장궤양, 역류성식도염, 재발 성궤양, 문합부궤양, 졸링거-엘리슨증 후군
다음 질환의 위점막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맥페란정
5mg
위장관
조절제
항암화학요법 후 지연된 구역, 구 토 예방
방사선요법 유발 구역, 구토 예방
구역, 구토의 증상 치료
포도당
주사액
5% 1000ml
당류제
고칼륨혈증, 순환허탈, 저혈당시의 에 너지 보급
심질환(G,I,K요법) 그 외 수분, 에너지 보급
약물/독물 중독
탄산수소
나트륨
주사액
해독제
산증
급성두드러기
염화나트륨
혈액대용제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 륨 결핍, 염소 결핍)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3. 간호과정
Data
C/port 삽입하고 있음
Nursing diagnosis
감염위험성
목표
단기목표: 감염 증상이 없고, 감염 위험성을 낮춤
장기목표: 감염의 위험요인을 알고, 필요한 예방조치를 할 수 있음
Plan
진단적: 검사를 시행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관찰
치료적: 침습적 처치 시 멸균법을 지킴
침습적 처치 시 손을 깨끗이 씻음
지속적으로 V/S check
교육적: 대상자에게 시술부위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교육
Action
검사결과 모니터링 함
감염 예방 교육 함
감염 위험요인 교육 함
감염 증상 설명 함
지속적으로 V/S check 함
Response
감염증상 없음
검사결과 감염결과 나타나지 않음
1)
2)Data
속이 안좋다고 함
토할 것 같다며 항구토제 원함
“토할 것 같아요”
Nursing diagnosis
오심
목표
단기목표: 오심이 감소하거나 없음
장기목표: 오심 시 대처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음
Plan
진단적: 구토 사정 함
치료적: 약물투여 함
지속적으로 V/S check
교육적: 대상자에게 오심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표현 하도록 교육 함
Action
약물투여 함
구강간호 시행 함
구토 사정 함
섭취량/배설량 측정 함
지속적으로 V/S check 함
Response
오심증상 없어짐
오심 완화 됨
Data
묽은 변이 있음
복부 불편감 호소함
설사 증가함
Nursing diagnosis
설사
목표
단기목표: 설사가 감소 함
장기목표: 설사 시 금식의 필요성을 알고 말할 수 있음
Plan
진단적: 색깔, 양상, 빈도를 사정 함
치료적: 금식
수분섭취 권장
지속적으로 V/S check
교육적: 대상자에게 배변 후 비누와 물로 부드럽게 닦고 건조 시킴을 교육 함
Action
금식의 필요성에대해 설명 함
배변 색깔, 양상, 빈도, 양을 사정 함
지속적으로 V/S check 함
Response
묽은 변 완화 됨
배변양상이 정상적임
3)
Ⅲ. 결론
경희의료원 종양혈액내과에서 만난 신oo(F/41)님은 골종양(Bone tumor)환자로 C/port 삽입으로 인한 감염위험성을 갖고 계시고, 항암치료로 인해 오심 및 설사가 나타나고 계신다. 이때 간호사는 신oo(F/41)님과 치료적인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대상자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조용하고 안전한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이의 결과로 대상자는 안위증진이 되며, 증상 또한 완화가 될 것 이다.
Ⅳ. 참고문헌
-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Ⅱ 일곱째판. 2012. 수문사
- 성미혜 외. 간호과정. 2011. 정문각
추천자료
담석증case study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A+)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A+_Diffuse large cell type lymphoma(non-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병 케이스 스터디, no...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