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실습일지 /질병스터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실습일지 /질병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치료적 의사소통
2. 이상행동과 징후 (각각의 스키조환자분들을 관찰하고 이상행동과 징후를 관찰하고 서술한것)
3. 실습일지
4. 질병스터디
5. 간호과정
6. 체크리스트
7. 참고자료 (이상행동과 징후를 이해할수있게 풀어 설명한 자료)

본문내용

은 싫고 배달직을 하고 싶어하심.(1999.12.17)
현재는 자신은 아마추어 화가이며, 돈을 매우 많이 벌었으며, 미혼이나 결혼을 했고 아들 2명이 있으며 그중 둘째는 일본 황실과 결혼할거라고 믿고 있음. 신체망상, 건강염려증을 가지고 계셔서 과거 신체망상으로 인한 증상을 호소했고 그 질병들이 과거력이라고 믿음
2) 현재의 병력(Present Illness)
schizoprenia.
3) 발달력 (Developmental History)
자신이 자라왔던 환경과 정서를 물었으나 객관적인 증거(사진)이 남아있는 기억만을 말하심.
본인의 시점이 아니라 제3자가 말하는 것처럼 과거를 회고하심 자아개념 황폐화: 자신을 제3자로 말함
Erickson 이론 정리
case 환자와 비교
제 1단계
영아기 (출생~생후 1년)
신뢰VS불신, 과업:희망
모자관계가 좋아 일관성있고 예측가능하며 신뢰성있는 어머니의 태도가 중요. 어머니가 자신의 양육법에 확신을 가져야하며 이시기에 인간에 대한 신뢰감이 형성되지못하면 불신감을 가짐
1. “선규야 엄마왔다“라고 말한것이 생각남. 낳아준 어머니와 날 기다리는 엄마가 있는데, 기다리는 엄마가 날 안아주셨는데, 창가에 호두나무가 있었다. 포도송이가 열려있는걸 봤다. 아버지가 어머니께 말씀하시길 ”엄마가 키가 크더라“라고 하셨다.
S-“기다리는 어머니가 누구십니까?”
언젠가 데려가신다고 하셨어요.
제 2단계
초기 아동기 (2~3세)
자율성 VS 수치, 의심, 의지
배변훈련이 너무 빠르거나 심할 때 과잉통제하는 엄마 때문에 아동의 의지가 손상되어자율성이 형성되지못하고 수치심과 의심이 나타날수있다. 유아가 자신감을 잃지않고 자신을 통제할수있도록 지지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야함.
“사진사가 자전거가 있는데에 날 앉히고 사진찍어드릴게요 라고 말했어요. 그리고 “애에게 자전거를 태워드릴까요?”라고 말했는데, 어머니가 “사진이나 찍어주세요”라고 말했어요.“
“사진관에서 돌사진을 찍을때 기분이 좋아 웃었다. 집에 그때 그 웃는 사진이 있다.”
제 3단계
후기 아동기 (4~5세)
주도성VS죄책감, 목적
이시기에는 주도적이고 목표를 정하여 추진하고 경쟁하며 호기심이 많고 창조적이다. 아동은 초자아가 발달한다. 부모와 동일시하는것이 주제이기도 함.
어머니, 아버지가 사진관에 가서 사진을 찍으셨는데 그게 기억이 남. 집에도 있고 기억도 남.
세살때 이모 두분 (낳아주신 어머니의 자매)이 와서 놀아주다가 (가라고 해서)쫓겨나셨다. 그때 기다리는 어머니가 말씀하시길 “정을 받지말고 살아야 정(사랑)의 값을 알수있다”라고 말하심.
제 4단계
학령기 (6~11세)
근면성 VS 열등감, 능력
학교에 입학해서 기술과 지식을 배우며 성공적인 경험이 능력과 숙달감, 근면함을 느끼게 해주나 과제를 할수없을때 열등감이 발달됨.
5살때 사진 찍은게 있고, 기억이 남.
하얀 고무신을 한 짝을 잃어버렸다 2번찾고, 씻고 들어와 밥을 먹으라고 부모님이 말씀하셨음.
그래서 들어와 밥을 드심.
제 5단계
청년기 (12~18세)
주체성 VS 역할혼돈, 충실
현재 자신이 무엇이며 장래에 무엇이 되기를 원하는가를 정함
X
제 6단계
초기 성인기 (19~45세)
친밀감 VS 고립감, 사랑
타인을 돌보아주는 능력인 친밀감은
자신에 대한 주체가 확립되어야 진정한 친밀감이 이루어짐
(84년 20살부터 SPR 발병,
병원이전과 퇴원, 재입원을 반복함)
제 7단계
중년기 (46~64세)
생산성VS자기침체, 돌봄
자녀양육이나 창조적인 활동, 생산적인 활동을 통해 다음세대를 키우고 교육하는데 대한 관심을 말한다. 생산성 부족은 자기침체, 지루함, 심리적인 미성숙으로 표현된다.
X
제 8단계
노년기 (65세 이후)
통합VS절망, 지혜
인생의 한계를 받아들이고 자신도 역사의 한부분임을 받아들이며 지혜를 갖고 지금까지를 모두 통합하는 것.
X
4) 가족력(Family History)
① 가계도 (3대까지 표시하세요)
② 가족관계 : 아버지가 매우 엄하시며 불같으신 분이라고 말함. 어렸을때 아버지께 많이 맞고 자랐다고
말씀하심. 여동생들을 많이 때렸다고 함.
“어머니가 두분 계십니다. 어머니는 두번째 부인이십니다. 그 어머니 슬하에 자신이 장남이고 여동생 둘이 있으셨음. 첫번째 부인 슬하에는 2남 4녀가 있어요.”
→원무과의 차트를 보고 확인한 결과 1부1처의 가정이었으며 어머니가 첩이거나 다른 부인이 있다는 자료는 발견되지 않음. 기억의 착오
③가족 지지체계
a. 동거하며 돌보는 사람 : 사실혼관계의 아내분과 아들2명.
b. 환자를 포함한 동거가족 : 사실혼관계의 아내분과 아들 두 명이 있음
“그리고 첫째는 장가를 안 보낼거고 둘째는 지금 일본 황족의 공주님의 신랑으로 장가를 보낼 걸로 약속이 되어있어요. 내가 정신병자기 때문에 정식으로 결혼식은 못 올릴 거고 식사한번 같이 하는 걸로 식을 대행할거예요.”
→후에 차트에서 미혼이라고 기록된 것이 관찰되며, 아내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찾아볼 수 없음.
c. 자기를 돌보아 주는 가족에 대한 만족정도 : “네, 좋아요.”
후에 본인이 결혼을 못하셨다는 걸 말씀해주셨음 (9/3)
5) 현재 상태: 정신상태 검진(Mental State Examination)
① 일반적인 기술(General description)
a. 외모(appearance) : 개인위생은 정상적인 자가간호 능력을 보임- 청결하고 보송보송한 피부, 짧게 다듬 은 손톱, 깔끔한 옷차림, 곁에 늘 치약칫솔을 두시는 것으로 보아 구강위생도 신경쓰시는 걸로 보임
키 190의 훤칠한 신체에 위생적인 옷차림을 보이심. 표정은 진지하며 질문할 때 굉장히 진지하고
성의있게 대답해주시며 장난기가 보이지 않음. 가끔 두통을 느끼시는지 인상을 찡그리심.
b. 언어(speech)- 유창, 병적 다변증(volubility, logorrhea) :어휘수가 많은 조리 있고 논리적인 언어.
단조롭고 통상적인 짧은 질문에도 거의 3~5분정도 말씀하실 정도로 말의 양이 많음.
조리있고 수준있는 단어를 골고루 사용하셔서 자신의 생각이나 사고, 느낌전달은 잘 하심.
목소리는 부드럽고 낮으며 소리는 작지만 집중하면 잘 들을 정도는
  • 가격1,600
  • 페이지수55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