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방의 해부학적 위치와 구조 ---------------------- p. 2
2. 유방암의 발병빈도와 사망률 ----------------------- p. 3
3. 유방암 병기 구분 ----------------------------------- p. 3
4. 유방암의 대표적 종류 ------------------------------ p. 4
5. 유방암의 원인 (위험요인) -------------------------- p. 5
6. 임상증상 --------------------------------------------- p. 6
7. 진단방법 --------------------------------------------- p. 6
8. 치료방법 --------------------------------------------- p. 9
9. 수술 전·후 대상자 간호와 교육 -------------------- p. 10
10. 참고문헌 -------------------------------------------- p. 12
2. 유방암의 발병빈도와 사망률 ----------------------- p. 3
3. 유방암 병기 구분 ----------------------------------- p. 3
4. 유방암의 대표적 종류 ------------------------------ p. 4
5. 유방암의 원인 (위험요인) -------------------------- p. 5
6. 임상증상 --------------------------------------------- p. 6
7. 진단방법 --------------------------------------------- p. 6
8. 치료방법 --------------------------------------------- p. 9
9. 수술 전·후 대상자 간호와 교육 -------------------- p. 10
10. 참고문헌 -------------------------------------------- p. 12
본문내용
촬영술에서 치밀유방인 경우 종괴를 관찰하기 어려울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정상유방에서 많이 관찰되는 물혹의 발견율이 높아 환자에게 불필요한 두려움을 주기도 하는 단점이 있다.
4) 유방 미세침 흡인과 외과적 생검 (fine needle aspiration & surgical biopsy)
(1) 미세침 흡인 (Needle aspiration)
유방의 촉진이나 조영술을 통해 병소를 발견한 경우 유방암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실시하는 진단방법이다. 국소마취 후 병소로 의심되는 부위에 주사기의 끝의 가느라간 바늘을 삽입하여 조직이네 체액을 흡인한다. 흡인된 조직의 세포학적 검사는 섬유세포성 종양이나 그 외 암으로 의심되는 종양을 감별하기 위해 실시한다.
양성 유방 종양에서 흡인된 액체는 대부분 맑거나 녹색 또는 진한 갈색을 띈다. 유방암인 경우 흡인된 액체는 혈액과 같으며 결절에서 흡인된 액체는 농도가 묽다.
(2) 외과적 생검 (Surgical biopsy)
결절에서 액체가 흡인되지 않고 단단하며 피부변화와 함께 조직 함몰이 있다면 국소마취 후 조직을 절개해 생검한다. 절개생검(incisional biopsy)은 유방 종양에서 조직을 제거하는 것이고 절제생검(excisional biopsy)은 조직검사를 위해 종양 자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8. 치료방법
1) 수술적 치료 : 유방절제술 (★)
수술적 치료는 크게 유방부분절제술(유방보존수술)과 유방전절제술로 나눌 수 있다. 근래에 수술 후 림프부종 등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임상적으로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게 겨드랑이 감시림프절 생검을 시행하는 것이 표준치료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유방전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유방재건수술을 적극적으로 시도함으로써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현재는 대부분 1차적으로 수술을 시행한 뒤 재발을 막기 위한 보조요법으로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항호르몬요법, 표적치료 등을 시행한다. 국소적으로 많이 진행되었거나 종양의 크기를 줄여서 유방부분절제술을 시도하고자 할 때는 수술 전에 먼저 항암제나 표적치료제, 항호르몬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유방절제술의 과정은 다양하며, 수술의 종류는 암의 진행단계나 대상자에 따라 결정한다. 종양의 크기가 작고 전이가 안 된 경우에는 생존율이 높으며 치료방법도 다양하다. 암조직이 주위의 근육이나 흉부로 전이된 경우에는 더 많은 근육조직을 제거하게 된다.
유방절제술의 적응증
종양이 유두와 유륜 부위까지 포함된 경우
종양이 7cm 이상인 경우
종양이 유방의 사분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도관 내 질환
방사선요법을 받을 수 없는 여성
2) 비수술적 치료 : 방사선 치료
방사선치료는 유방절제술 후 수술부위에 남아 있을지 모를 암세포를 치료하기 위하여 보조적 치료법으로 사용하거나, 수술부위의 재발 또는 뼈, 뇌 등의 장기에 전이된 경우 완화요법의 일환으로 사용한다. 유방부분절제술을 받았거나 유방전절제를 했더라도 많이 진행된 환자들에게는 대부분 방사선치료를 추가한다. 아주 심하게 진행되어 수술하기 어려운 유방암환자에게 수술 대신 방사선치료를 하기도 한다.
방사선 치료의 적응증
- 유방보존수술 후에 남아 있는 유방조직에서 암이 재발되는 것 방지 목적
- 유방전절제수술 후에 종양이 크기가 크거나 림프절 전이가 많은 경우에도 암의 재발 방지
- 수술 후에 암이 국소 재발한 경우의 치료 목적
- 전이 병소의 통증이나 기타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
9. 수술 전·후 대상자 간호
1) 유방절제술 수술 전 간호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은 매우 스트레스를 받으며 심리적 응급상황이 지속된다. 간호사는 이를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지지해 주어야 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유방암의 치료에 관한 교육을 시행하여 잘못된 질병 상식을 바로 잡고 여러 치료방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수술 전, 수술 후 24시간 동안은 정맥혈과 림프액의 정체로 인한 부종을 방지하기 위해 환측 팔과 손을 베개 위에 올려 팔꿈치를 어깨보다 높게 하고, 환측 팔 및 어깨의 움직임은 수술 후 최소한 24시간 동안 제한받는다는 것을 미리 설명한다.
또한, 흉부의 드레싱은 호흡운동을 억압하기 때문에 수술 후 실시할 심호흡에 대해 수술 전에 미리 교육한다. 또한 수술 후 혈액순환의 증가, 부종 감소, 팔과 어깨의 경직 감소 등을 위하여 사지운동의 중요성을 교육하도록 한다.
2) 유방절제술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간호는 대상자의 안위 도모, 영양 공급, 합병증 예방 및 퇴원 후 가정에서의 적응 등을 준비시키는 데에 초점을 둔다. 간호사는 퇴원 후 가능한 신체상에 관한 대상자의 걱정을 설명한다. 유방의 손실과 유방암의 영향은 대상자가 퇴원한 후에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많은 여성들은 통증 정도와 불편감, 피로, 느린 상처부위 치유, 팔 부종과 같은 사건들에 놀라게 된다. 이에 대해 간호사는 정서적 지지와 충분한 퇴원교육을 수행하여야 한다.
3) 유방절제술 수술 후 주의사항 교육
주사, 채혈, 혈압 측정, 예방주사 등은 수술 받은 쪽 팔을 가능하면 피하여야 한다.
손과 팔을 긁히거나 데이거나 베이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집안일이나 정원 일을 할 때 느슨한 장갑을 끼고 일을 하도록 한다.
일광욕은 피하여야 한다.
바느질할 때 골무를 항상 끼도록 한다.
겨드랑이를 면도할 경우에는 전기 안전 면도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수술 받은 쪽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앉아 있을 때는 팔을 소파나 의자 위에 올려 놓는다던가, 누워 있을 때는 베개 위에 팔 을 올려놓고 있는다던지 하여 항상 수술 받은 쪽의 팔이 자신의 가슴보다 위에 있도록 한다.
머리 빗질하기
침대에 앉아 수술 받은 쪽의 손으로 수술 받은 쪽으로부터 시작하여 머리 전체를 빗질한다.
신문지 구기기
신문지를 여러 장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수술 받은 쪽의 팔꿈치를 테이블 위에 놓아 신문지를 한 장씩 완전히 구겨 간다. (고무공 움켜쥐기와 효과 같음)
벽 기어오르기
발을 벌리고 벽을 향해 마주보며 팔꿈치를 구부려 양 손바닥을 어깨 높이에서 벽에 댄다. 천천히 조금씩 위로 팔이 완전히 펴질
4) 유방 미세침 흡인과 외과적 생검 (fine needle aspiration & surgical biopsy)
(1) 미세침 흡인 (Needle aspiration)
유방의 촉진이나 조영술을 통해 병소를 발견한 경우 유방암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실시하는 진단방법이다. 국소마취 후 병소로 의심되는 부위에 주사기의 끝의 가느라간 바늘을 삽입하여 조직이네 체액을 흡인한다. 흡인된 조직의 세포학적 검사는 섬유세포성 종양이나 그 외 암으로 의심되는 종양을 감별하기 위해 실시한다.
양성 유방 종양에서 흡인된 액체는 대부분 맑거나 녹색 또는 진한 갈색을 띈다. 유방암인 경우 흡인된 액체는 혈액과 같으며 결절에서 흡인된 액체는 농도가 묽다.
(2) 외과적 생검 (Surgical biopsy)
결절에서 액체가 흡인되지 않고 단단하며 피부변화와 함께 조직 함몰이 있다면 국소마취 후 조직을 절개해 생검한다. 절개생검(incisional biopsy)은 유방 종양에서 조직을 제거하는 것이고 절제생검(excisional biopsy)은 조직검사를 위해 종양 자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8. 치료방법
1) 수술적 치료 : 유방절제술 (★)
수술적 치료는 크게 유방부분절제술(유방보존수술)과 유방전절제술로 나눌 수 있다. 근래에 수술 후 림프부종 등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임상적으로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게 겨드랑이 감시림프절 생검을 시행하는 것이 표준치료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유방전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유방재건수술을 적극적으로 시도함으로써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현재는 대부분 1차적으로 수술을 시행한 뒤 재발을 막기 위한 보조요법으로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항호르몬요법, 표적치료 등을 시행한다. 국소적으로 많이 진행되었거나 종양의 크기를 줄여서 유방부분절제술을 시도하고자 할 때는 수술 전에 먼저 항암제나 표적치료제, 항호르몬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유방절제술의 과정은 다양하며, 수술의 종류는 암의 진행단계나 대상자에 따라 결정한다. 종양의 크기가 작고 전이가 안 된 경우에는 생존율이 높으며 치료방법도 다양하다. 암조직이 주위의 근육이나 흉부로 전이된 경우에는 더 많은 근육조직을 제거하게 된다.
유방절제술의 적응증
종양이 유두와 유륜 부위까지 포함된 경우
종양이 7cm 이상인 경우
종양이 유방의 사분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도관 내 질환
방사선요법을 받을 수 없는 여성
2) 비수술적 치료 : 방사선 치료
방사선치료는 유방절제술 후 수술부위에 남아 있을지 모를 암세포를 치료하기 위하여 보조적 치료법으로 사용하거나, 수술부위의 재발 또는 뼈, 뇌 등의 장기에 전이된 경우 완화요법의 일환으로 사용한다. 유방부분절제술을 받았거나 유방전절제를 했더라도 많이 진행된 환자들에게는 대부분 방사선치료를 추가한다. 아주 심하게 진행되어 수술하기 어려운 유방암환자에게 수술 대신 방사선치료를 하기도 한다.
방사선 치료의 적응증
- 유방보존수술 후에 남아 있는 유방조직에서 암이 재발되는 것 방지 목적
- 유방전절제수술 후에 종양이 크기가 크거나 림프절 전이가 많은 경우에도 암의 재발 방지
- 수술 후에 암이 국소 재발한 경우의 치료 목적
- 전이 병소의 통증이나 기타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
9. 수술 전·후 대상자 간호
1) 유방절제술 수술 전 간호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은 매우 스트레스를 받으며 심리적 응급상황이 지속된다. 간호사는 이를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지지해 주어야 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유방암의 치료에 관한 교육을 시행하여 잘못된 질병 상식을 바로 잡고 여러 치료방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수술 전, 수술 후 24시간 동안은 정맥혈과 림프액의 정체로 인한 부종을 방지하기 위해 환측 팔과 손을 베개 위에 올려 팔꿈치를 어깨보다 높게 하고, 환측 팔 및 어깨의 움직임은 수술 후 최소한 24시간 동안 제한받는다는 것을 미리 설명한다.
또한, 흉부의 드레싱은 호흡운동을 억압하기 때문에 수술 후 실시할 심호흡에 대해 수술 전에 미리 교육한다. 또한 수술 후 혈액순환의 증가, 부종 감소, 팔과 어깨의 경직 감소 등을 위하여 사지운동의 중요성을 교육하도록 한다.
2) 유방절제술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간호는 대상자의 안위 도모, 영양 공급, 합병증 예방 및 퇴원 후 가정에서의 적응 등을 준비시키는 데에 초점을 둔다. 간호사는 퇴원 후 가능한 신체상에 관한 대상자의 걱정을 설명한다. 유방의 손실과 유방암의 영향은 대상자가 퇴원한 후에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많은 여성들은 통증 정도와 불편감, 피로, 느린 상처부위 치유, 팔 부종과 같은 사건들에 놀라게 된다. 이에 대해 간호사는 정서적 지지와 충분한 퇴원교육을 수행하여야 한다.
3) 유방절제술 수술 후 주의사항 교육
주사, 채혈, 혈압 측정, 예방주사 등은 수술 받은 쪽 팔을 가능하면 피하여야 한다.
손과 팔을 긁히거나 데이거나 베이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집안일이나 정원 일을 할 때 느슨한 장갑을 끼고 일을 하도록 한다.
일광욕은 피하여야 한다.
바느질할 때 골무를 항상 끼도록 한다.
겨드랑이를 면도할 경우에는 전기 안전 면도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수술 받은 쪽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앉아 있을 때는 팔을 소파나 의자 위에 올려 놓는다던가, 누워 있을 때는 베개 위에 팔 을 올려놓고 있는다던지 하여 항상 수술 받은 쪽의 팔이 자신의 가슴보다 위에 있도록 한다.
머리 빗질하기
침대에 앉아 수술 받은 쪽의 손으로 수술 받은 쪽으로부터 시작하여 머리 전체를 빗질한다.
신문지 구기기
신문지를 여러 장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수술 받은 쪽의 팔꿈치를 테이블 위에 놓아 신문지를 한 장씩 완전히 구겨 간다. (고무공 움켜쥐기와 효과 같음)
벽 기어오르기
발을 벌리고 벽을 향해 마주보며 팔꿈치를 구부려 양 손바닥을 어깨 높이에서 벽에 댄다. 천천히 조금씩 위로 팔이 완전히 펴질
추천자료
재활간호(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간,담도,췌장 해부생리 요약정리
만성신부전증 CRF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Pneumonia
[성인간호학] 경막하혈종 (SDH : Subdural Hematoma)
[성인간호학] 골다공증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간호과정 적용사례 - 내과컨퍼런스 CAD와 HTN.ppt
[성인간호학실습] 위암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x
[성인간호학 case] EICU multiple contusion 케이스 case study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실습 내과 _ 결핵성 흉막염 case study
방통대 간호학과 성인간호학=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
천식 asthma 성인간호학 케이스 간호과정 간호진단
퇴행성 관절염 / 수술실 사례관리 / 성인간호학
4-1 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1학기 성인간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