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푸마 기업선정배경
2. 글로벌 스포츠산업 특성연구
2.1 스포츠산업의 정의
2.2 글로벌 스포츠산업의 특성연구
3. 푸마 기업소개
4. 푸마의 글로벌 경영전략
4.1 외부환경 분석
1) 스포츠 제품에 대한 인식변화
2) 축구에서 농구로 전환된 대중의 관심
3) 나이키, 리복 등 강한 경쟁사들의 등장
4.2 실패 내부환경 분석을 통한 핵심역량 파악
4.3 푸마의 실패한 전략 및 평가
4.4 성공 내부환경 분석을 통한 푸마의 핵심역량 파악
1) 성공 내부환경 가치사슬 분석
2) 성공 핵심역량 파악
4.5 푸마의 성공한 전략 및 평가
1) 비용우위 전략
2) 전략적 혁신
3) 기업수준 전략 (글로벌 전략)
5. 푸마의 한국시장 진출전략
5.1 푸마 코리아의 외부환경 분석
1) 소비자들의 소비인식 변화
2) 런닝화로 전환된 대중의 관심
3) 아웃도어 브랜드의 시장 침식
5.2 푸마코리아의 내부환경 분석을 통한 핵심역량 파악
1) 내부환경 가치사슬 분석
2) 핵심역량 파악 : 유통
6. 결론
▪ 푸마 코리아의 도약을 위한 새로운전략 제안
6.1 폭넓은 소비층의 확보
6.2 집중화 전략
6.3 전략적 제휴-신세계 인터내셔날
6.4 이미지 breaking
7. 참고자료
2. 글로벌 스포츠산업 특성연구
2.1 스포츠산업의 정의
2.2 글로벌 스포츠산업의 특성연구
3. 푸마 기업소개
4. 푸마의 글로벌 경영전략
4.1 외부환경 분석
1) 스포츠 제품에 대한 인식변화
2) 축구에서 농구로 전환된 대중의 관심
3) 나이키, 리복 등 강한 경쟁사들의 등장
4.2 실패 내부환경 분석을 통한 핵심역량 파악
4.3 푸마의 실패한 전략 및 평가
4.4 성공 내부환경 분석을 통한 푸마의 핵심역량 파악
1) 성공 내부환경 가치사슬 분석
2) 성공 핵심역량 파악
4.5 푸마의 성공한 전략 및 평가
1) 비용우위 전략
2) 전략적 혁신
3) 기업수준 전략 (글로벌 전략)
5. 푸마의 한국시장 진출전략
5.1 푸마 코리아의 외부환경 분석
1) 소비자들의 소비인식 변화
2) 런닝화로 전환된 대중의 관심
3) 아웃도어 브랜드의 시장 침식
5.2 푸마코리아의 내부환경 분석을 통한 핵심역량 파악
1) 내부환경 가치사슬 분석
2) 핵심역량 파악 : 유통
6. 결론
▪ 푸마 코리아의 도약을 위한 새로운전략 제안
6.1 폭넓은 소비층의 확보
6.2 집중화 전략
6.3 전략적 제휴-신세계 인터내셔날
6.4 이미지 breaking
7. 참고자료
본문내용
2004
세계적인 디자이너 필립 스탁과 푸마가 파트너쉽 계약 체결
2005
푸마와 페라리가 2005년 1월부터 페라리팀의 공식 스폰서로서의 용품 공급에 관한 다년 계약을 체결하고 제품 머천다이징에 관한 권리획득.
푸마가 세계 최고의 F1 드라이버임 페라리팀의 마이클 슈마허와 용품 공급 계약 체결
2007
4월 구찌, 발렌시아가 등의 명품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프랑스의 PPR(Pinault-Printe
mps-Redoute) 그룹의 푸마 주식 27% 인수.
7월 17일 추가로 인수하여 현재 푸마 주식 62.1%를 소유하고 있음.
2009
자사의 기업전략을 지속가능성에 두고 단순히 상품을 제공하는 비지니스의 개념을 넘어 PUMA Safe, PUMA Peace, PUMA Creative 이 세가지 가치를 담은 PUMA VISION을 공표 및 실행
2011
PUMA Sustainability-Index Standard를 기준으로 친환경적인 지속가능 운동화, 포장지, 쇼핑백을 선보임.
4. 푸마의 글로벌 경영전략
푸마의 실패 전략
푸마의 성공 전략
제품(What)
기능성을 강조한
프로를 위한 신발
스포츠와 패션을 결합한 라이프스타일의 신발 및 어패럴, 제품라인 확대
고객(Who)
운동선수 및 기능성 운동화를 추구하는 중년 남성
20대 젊은 여성
운영활동
(How)
place
운동 용품 전문점을 통한 판매
백화점 및 각종 멀티샵 입점
promotion
선수후원을 통한
기업이미지 홍보
이름있는 디자이너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여성들에게 이미지 제고
price
고가전략
중저가전략
<전체적인 전략 정리>
4.1 외부환경 분석
<산업구조분석>-Porter의 5 Forces Model
진입장벽의 높이
규모의 경제
크다
브랜드 로열티
높다
절대적 비용우위
있다
기존기업 간 경쟁
산업경쟁구조
과점산업
수요조건
증가
퇴출장벽
높다
구매자의 협상력
높다
공급자의 협상력
다소 높다
대체제의 위협
없다
산업 매력도
핵심성공키워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요조건, 높은 브랜드 로열티, 절대적 비용우위를 가지고 있다.
산업의 특성상 트랜드 변화가 빠르기에
새로운 제품라인을 지속적으로 생산하여야한다. 하지만 이는 비용문제를 일으킨다.
그렇기에 성공을 위한 핵심키워드는 공급자의 협상력이 낮고 규모의 경제를 계속 활용 할 수 있는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이다.
1)스포츠 제품에 대한 인식변화
스포츠 제품에 대한 기대는 과거 기능성을 추구하는 것에서 기능뿐만 아니라 라이프 스타일의 기능으로써의 제품에까지 그 확대 영역을 넓혀갔다. 공동체 안에서의 개인의 역할이 중시되던 시대에서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고 자신을 알릴 수 있는 형태로의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공동체 안에서의 개인은 더 이상 공동체를 구성하는 존재로써의 역할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다.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과 더불어 그 속에서 자신의 독특한 개성을 표출하는 개인의 자아의식이 성장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른 시대의 변화와 함께 고객의 니즈 또한 변화하게 된다. 좀 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제품군이 고객의 매력적인 수요를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신호는 스포츠 제품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2) 축구에서 농구로 전환된 대중의 관심
스포츠 시장에서의 변화 또한 고객니즈의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80~1990년대 NBA, 대학농구를 주축으로 한 농구 열기는 농구와 관련된 제품의 수요를 증가시켰다. 소비자는 제품에서 스타와 동질감을 형성하게 하였고 매직존슨, 마이클 조던, 샤킬 오닐 등과 연계된 제품에서의 시리즈물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었다.
3) 나이키, 리복 등 강한 경쟁사들의 등장
나이키는 당시 조던을 앞세운 스타마케팅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급상승 시키고 있었으며, 이는 혁신적인 마케팅 기법으로서 브랜드에 인격을 불어넣는 획기적인 방법이었다. 리복 또한 ‘프리스타일’이라는 제품이 에어로빅과 피트니스의 대중화를 불러일으킴으로써 기능성과 내구성도 인정받아 브랜드 인지도를 급상승 시키며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아디다스는 스포츠 브랜드의 정통적인 강자로서, 그간의 인지도를 바탕으로, 제품의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전통적인 스포츠 영역에서 강세를 유지하며, 특히 축구화=아디다스의 인식이 될 정도로 축구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강자의 자리를 고수했다. 그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일상 운동복, 운동화에 있어서도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시켜 나가고 있었다. 이로써, 그 당시 아디다스-푸마 양분체제에 강력한 경쟁자로 나이키와 리복이 떠올랐다.
4.2 실패 내부환경 분석을 통한 핵심역량 파악
보조활동
하부조직활동
기획-외국회사와의 지속적인 라이센스 체결
기술연구,개발,디자인
기술연구 및 개발 : 1976년 S.P.A기술,
1982년 ‘푸마 듀오플렉스 솔’기술 개발
디자인 : 기능성에만 초점을 맞춰 디자인에 크게 중심을 두지 않음
인적자원관리와 개발
기술개발을 위한 고급인력 확보
주활동
구매.재고보유.원자재
생산
독일 특유의 정밀기술을 활용한 생산
입고&물류
판매&마케팅
운동용품 전문점을 통해 판매, 스포츠 스타 마케팅
고객서비스
1) 실패 내부환경 가치사슬 분석
2) 실패 핵심역량 파악 : 기술력
기술력을 바탕으로 독일 특유의 정밀생산 방식을 결합하여 기능우위에 제품라인을 구축한 것으로 파악
4.3 푸마의 실패한 전략 및 평가
퓨마의 조사를 통하여, 시장의 트렌드를 보는 눈, 그리고 경영진의 전략적 판단이 얼마나 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퓨마가 1980년대 가지고 있던 핵심역량을 기술력으로 보았다. 퓨마는 독일 특유의 정밀 생산방식으로 경쟁기업보다 기능성에 충실한 제품라인을 갖고 있었다. 이런 제품차별화를 갖추기 위해 생산라인을 독일에 두어 직접관리 하였으며, 다소 많은 연구진들을 포진시켰다.
하지만 이런 점들이 퓨마의 재정악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독일의 비싼 인건비와 기술개발에 투자하는 비용 또 독일 특유의 노사관계문제 등으로 인하여, 매출에 비하여 순이익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후 자이츠 회장이 영입되어 생산라인을 모두 아시아로
세계적인 디자이너 필립 스탁과 푸마가 파트너쉽 계약 체결
2005
푸마와 페라리가 2005년 1월부터 페라리팀의 공식 스폰서로서의 용품 공급에 관한 다년 계약을 체결하고 제품 머천다이징에 관한 권리획득.
푸마가 세계 최고의 F1 드라이버임 페라리팀의 마이클 슈마허와 용품 공급 계약 체결
2007
4월 구찌, 발렌시아가 등의 명품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프랑스의 PPR(Pinault-Printe
mps-Redoute) 그룹의 푸마 주식 27% 인수.
7월 17일 추가로 인수하여 현재 푸마 주식 62.1%를 소유하고 있음.
2009
자사의 기업전략을 지속가능성에 두고 단순히 상품을 제공하는 비지니스의 개념을 넘어 PUMA Safe, PUMA Peace, PUMA Creative 이 세가지 가치를 담은 PUMA VISION을 공표 및 실행
2011
PUMA Sustainability-Index Standard를 기준으로 친환경적인 지속가능 운동화, 포장지, 쇼핑백을 선보임.
4. 푸마의 글로벌 경영전략
푸마의 실패 전략
푸마의 성공 전략
제품(What)
기능성을 강조한
프로를 위한 신발
스포츠와 패션을 결합한 라이프스타일의 신발 및 어패럴, 제품라인 확대
고객(Who)
운동선수 및 기능성 운동화를 추구하는 중년 남성
20대 젊은 여성
운영활동
(How)
place
운동 용품 전문점을 통한 판매
백화점 및 각종 멀티샵 입점
promotion
선수후원을 통한
기업이미지 홍보
이름있는 디자이너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여성들에게 이미지 제고
price
고가전략
중저가전략
<전체적인 전략 정리>
4.1 외부환경 분석
<산업구조분석>-Porter의 5 Forces Model
진입장벽의 높이
규모의 경제
크다
브랜드 로열티
높다
절대적 비용우위
있다
기존기업 간 경쟁
산업경쟁구조
과점산업
수요조건
증가
퇴출장벽
높다
구매자의 협상력
높다
공급자의 협상력
다소 높다
대체제의 위협
없다
산업 매력도
핵심성공키워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수요조건, 높은 브랜드 로열티, 절대적 비용우위를 가지고 있다.
산업의 특성상 트랜드 변화가 빠르기에
새로운 제품라인을 지속적으로 생산하여야한다. 하지만 이는 비용문제를 일으킨다.
그렇기에 성공을 위한 핵심키워드는 공급자의 협상력이 낮고 규모의 경제를 계속 활용 할 수 있는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이다.
1)스포츠 제품에 대한 인식변화
스포츠 제품에 대한 기대는 과거 기능성을 추구하는 것에서 기능뿐만 아니라 라이프 스타일의 기능으로써의 제품에까지 그 확대 영역을 넓혀갔다. 공동체 안에서의 개인의 역할이 중시되던 시대에서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고 자신을 알릴 수 있는 형태로의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공동체 안에서의 개인은 더 이상 공동체를 구성하는 존재로써의 역할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다.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과 더불어 그 속에서 자신의 독특한 개성을 표출하는 개인의 자아의식이 성장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른 시대의 변화와 함께 고객의 니즈 또한 변화하게 된다. 좀 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제품군이 고객의 매력적인 수요를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신호는 스포츠 제품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2) 축구에서 농구로 전환된 대중의 관심
스포츠 시장에서의 변화 또한 고객니즈의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80~1990년대 NBA, 대학농구를 주축으로 한 농구 열기는 농구와 관련된 제품의 수요를 증가시켰다. 소비자는 제품에서 스타와 동질감을 형성하게 하였고 매직존슨, 마이클 조던, 샤킬 오닐 등과 연계된 제품에서의 시리즈물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었다.
3) 나이키, 리복 등 강한 경쟁사들의 등장
나이키는 당시 조던을 앞세운 스타마케팅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급상승 시키고 있었으며, 이는 혁신적인 마케팅 기법으로서 브랜드에 인격을 불어넣는 획기적인 방법이었다. 리복 또한 ‘프리스타일’이라는 제품이 에어로빅과 피트니스의 대중화를 불러일으킴으로써 기능성과 내구성도 인정받아 브랜드 인지도를 급상승 시키며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아디다스는 스포츠 브랜드의 정통적인 강자로서, 그간의 인지도를 바탕으로, 제품의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전통적인 스포츠 영역에서 강세를 유지하며, 특히 축구화=아디다스의 인식이 될 정도로 축구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강자의 자리를 고수했다. 그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일상 운동복, 운동화에 있어서도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시켜 나가고 있었다. 이로써, 그 당시 아디다스-푸마 양분체제에 강력한 경쟁자로 나이키와 리복이 떠올랐다.
4.2 실패 내부환경 분석을 통한 핵심역량 파악
보조활동
하부조직활동
기획-외국회사와의 지속적인 라이센스 체결
기술연구,개발,디자인
기술연구 및 개발 : 1976년 S.P.A기술,
1982년 ‘푸마 듀오플렉스 솔’기술 개발
디자인 : 기능성에만 초점을 맞춰 디자인에 크게 중심을 두지 않음
인적자원관리와 개발
기술개발을 위한 고급인력 확보
주활동
구매.재고보유.원자재
생산
독일 특유의 정밀기술을 활용한 생산
입고&물류
판매&마케팅
운동용품 전문점을 통해 판매, 스포츠 스타 마케팅
고객서비스
1) 실패 내부환경 가치사슬 분석
2) 실패 핵심역량 파악 : 기술력
기술력을 바탕으로 독일 특유의 정밀생산 방식을 결합하여 기능우위에 제품라인을 구축한 것으로 파악
4.3 푸마의 실패한 전략 및 평가
퓨마의 조사를 통하여, 시장의 트렌드를 보는 눈, 그리고 경영진의 전략적 판단이 얼마나 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퓨마가 1980년대 가지고 있던 핵심역량을 기술력으로 보았다. 퓨마는 독일 특유의 정밀 생산방식으로 경쟁기업보다 기능성에 충실한 제품라인을 갖고 있었다. 이런 제품차별화를 갖추기 위해 생산라인을 독일에 두어 직접관리 하였으며, 다소 많은 연구진들을 포진시켰다.
하지만 이런 점들이 퓨마의 재정악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독일의 비싼 인건비와 기술개발에 투자하는 비용 또 독일 특유의 노사관계문제 등으로 인하여, 매출에 비하여 순이익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후 자이츠 회장이 영입되어 생산라인을 모두 아시아로
추천자료
[마케팅관리]새로운 도약을 위한 '금강제화' 마케팅전략 제안
저가 화장품 브랜드의 글로벌 전략 - ‘미샤(MISSHA)’의 마케팅 전략 분석과 새로운 해외 시장...
iriver 아이리버 기업전략분석과 아이리버 쇠퇴 원인 분석, 아이리버 재도약위한 새로운 마케...
groupon 그루폰 마케팅 실패사례분석및 그루폰 재도약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 고객분...
라면의 원조 삼양라면, 삼양라면 마케팅전략분석과 삼양하면 재도약을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
크라운 베이커리 (Crown Bakery) 마케팅 실패사례연구 및 크라운베이커리 재도약위한 새로운 ...
야후(Yahoo)의 과거 성공사례분석과 마케팅전략분석, 야후 현재 쇠퇴요인분석 및 야후코리아...
아웃백 vs 자연별곡 기업분석과 마케팅 SWOT,4P,STP전략 비교분석과 아웃백 재도약위한 새로...
PUMA 푸마 브랜드분석과 푸마 글로벌마케팅 성공,실패사례분석및 푸마 한국시장 재도약위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