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액관 관리(하이드로겔, 드레싱, T-tube, Jackson-Pratt, Hemovac,상처 배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액관 관리(하이드로겔, 드레싱, T-tube, Jackson-Pratt, Hemovac,상처 배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목적
2. 분류
3. 배액관의 관리
4. 부작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액법인 Penrose drain은 과다한 장액성 삼출액과 화농성 삼출액을 배액하여 근본조직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하여 삽입됨
끝부분이 뚫려 있어 드레싱 위로 배액이 되도록 되어있음
절개상을 통하여 삽입 되고 봉합될 수 있지만 대개의 경우 절개상이 건조 상태로 있도록 절개선에서 몇cm 떨어진 곳에 자상을 만들어 삽입함
배액관이 없으면 내부에서 배액 되는 것을 막는 결과가 되어 농양이 생길 수 있음
Penrose배액관이 드레싱 아래쪽에 놓일 수 있으며, 상처 쪽으로 배액관이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핀이나 클립을 꽂기도 함
제거방법
배액관을 제거할 때는 한 번에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몇 번에 걸쳐 제거(이를 shortening이라 함)
shortening을 할 때 고정해놓은 suture를 제거하고 배액관을 살살 당겨 일정 부분 뺀 다음 배액관이 다시 배속으로 들어가지 않음을 확인하고 난 후에 안전핀으로 배액관을 고정하여 빠지거나 들어가지 않게 하며 그 후에 가위로 자름
배액관을 제거할 때는 일반적으로 1회 2~5cm, 하루에 1-2회 나누어 제거
적응증
복부수술, 농양절개 후 배농목적
유의사항
하루에 2~3cm씩 잘라서 주머니형성 방지
안전핀을 사용해서 빠지지 않도록 주의

(2) 폐쇄식 배액법
전기 흡인장치와 연결되거나 이동식으로 계속 약하게 흡인을 유지시키는 용기가 내장되어 있음(예: Jackson-Pratt 또는 Hemovac)
→ 보통 피부에 봉합하며, penrose배액관보다 더 많이 사용
개방식 배액관 사용보다 폐쇄식 배액관을 사용할 경우 감염률이 거의 반으로 줌
흠뻑 젖은 드레싱에서 상처로 미생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배액의 양을 정확히 측정 할 수 있음
음압을 배액관에 걸어 놓는 경우를 말함
Hemovac
한 손으로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누름→ 다른 손
으로는 소독솜으로 입구와 마개를 소독→ 손을 떼
기 전에 마개를 막음
사용방법
완전하게 흡인기를 압축하여 bag에 음압이 유지되도록 함
자연 배액시 bag의 위치는 카테터 삽입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함
운동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안전핀이나 집게를 사용하여 당겨지지 않도록 환의에 잘 고정함
흡인기가 가득 차면 음압이 소실되므로 필요시마다 자주 비우도록 함
갑자기 선홍색이 많은 혈액이 배액 될 경우 의사에게 알림
배액량 측정 후 다시 음압이 유지되도록 bag을 꼭 눌러서 뚜껑을 닫고 kelly를 품
Hemovac 제거한 후에는 단순 드레싱을 하고 근무시마다 oozing 정도 관찰
제거방법
제거기준 : 배액량이 30cc/day이하인 경우, 배액양상이 bloody하지 않고 clear, serous할 때, 수술 후 3~7일 정도 유지한 후 제거
손을 씻는다
물품을 준비(소독솜, 눈금있는 용기, 멸균장갑)
대상자에게 시행 절차를 설명
배액기능 점검
흡인백의 배출부위를 소독솜으로 닦음
흡인백의 line을 clamping한 후 뚜껑을 open
눈금이 있는 용기에 담음
소독솜으로 배출구와 뚜껑을 닦음
적응증
복부, 정형외과 수술 후
유의사항
배액체계가 적절히 가능한지 정규적으로 검사
수술 후 첫날은 교대 시 마다 최소한 한번 이상 배액량과 특성 사정
배액이 흡인 용기에 가득 찼을 때, 또는 필요시 배액이 상처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비움
상처를 다루거나 흡인용기를 비울 때 병원균의 침입을 막지 위해 멸균법 사용
Jackson-Pratt
흡인백 비우는 방법
흡인기가 가득차면 수집백을 비우고 배출된 양을 기록
수술 후 첫 24시간 동안은 배액량이 가장 많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
흡입기가 1/2이나 1/3정도 차면 수집백을 비움(흡인기가 차면 음압소실)
멸균상태 유지하며 주의깊게 마개를 제거
눈금이 있는 수집백으로 흡인기 안의 내용물을 비움
알코올 스펀지로 마개와 입구를 청결히 함
완전하게 흡인기를 압축
흡인기가 압축되면 마개를 다시 닫음(음압을 다시 유지하기 위함)
흡인기가 적절하게 작동하는지 검사
흡인기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환자 보행시 흡인기를 환자 옷에 고정
깨끗하게 손을 씻음
배액물의 특성과 양을 기록
적응증
복부수술을 한 경우 가장 많이 사용
유방 수술
흉부 수술
유의사항
배액물로 드레싱이 젖었을 경우 신속하게 교환
배액관이 절개선에서 멀리 있도록 함
상처의 오염과 외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가 절개부위를 만지거나 드레싱을 열지 못하도록 교육
T-tube
목적
담즙 및 담석 배출과 상처 치유를 돕기 위함
적응증
담낭수술 후
사용방법
담도에 연결되어 있는 배액관, 매일 나오는 양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지 확인.
담도의 잔류결석이 있는 경우 배액관을 막아 통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담즙의 성상을 확인
배액낭의 위치가 가슴보다 낮도록 유지
배액관과 주머니가 분리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혹 분리된 경우에는 소독 후 연결
담즙 배액의 색의 변화를 관찰
붉은 색이 있는 경우 혈액담즙증이 발생한 것이므로 담당의에게 급히 알림
제거 전 담도촬영 후 새는 부분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겸자로 고정
환자에게 통증이 발생하는지 확인
2) 재료에 따른 분류
Drain의 재료에 따라서 gauze drain, rubber drain, silastic drain 등으로 불림.
3) 목적에 따른 분류
(1) 치료목적의 배액관
목적 : 염증 자극의 제거, 숙주의 매개체의 반응 제거
→ 세균의 배출, 이물질 제거, 괴사 조직의 제거
일반적으로 농양의 배출, 여러 종류의 누공의 치료에 사용됨.
(2) 예방목적의 배액관
수술 후 주로 혈종이나 장액종의 형성을 막는데 사용됨
오염된 수술의 경우, 장문합 부위의 누출이 가능하다고 의심되는 경우 빠른 확인을 가능하게 함.
(3) 감압목적의 배액관
주로 외상환자의 수술 후 사용됨.
대표적으로 CTD(chest tube dainage), 비위관
3. 배액관의 관리
배액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 의사는 외과적 상처의 주변이나 상처 부위로 배액관을 삽입함
어떤 배액관들은 상처 부위에 봉합됨
배액관이 갑자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봉합되지 않은 배액관 주변의 드레싱을 교환할 때 조심해서 시행되어야 함
배액관 부위 내로 치유되도록 하기 위해서 배액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배액관을 당겨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2.10
  • 저작시기201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8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