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위, 바위, 보
1) 가위, 바위, 보의 방법
2) 가위, 바위, 보의 유래
2. 윷놀이
1) 윷놀이의 방법
2) 윷놀이의 유래
3) 윷점 64괘
4) 호칭의 유래
5) ‘도, 개, 걸, 윷, 모’ 속의 음(陰)과 양(陽)
3. 승경도
1) 승경도 놀이의 방법
2) 승경도의 유래
4. 쌍육
1) 쌍육의 방법
(1) 여기쌍육
(2) 참쌍육
2) 쌍육의 유래
참고문헌
1) 가위, 바위, 보의 방법
2) 가위, 바위, 보의 유래
2. 윷놀이
1) 윷놀이의 방법
2) 윷놀이의 유래
3) 윷점 64괘
4) 호칭의 유래
5) ‘도, 개, 걸, 윷, 모’ 속의 음(陰)과 양(陽)
3. 승경도
1) 승경도 놀이의 방법
2) 승경도의 유래
4. 쌍육
1) 쌍육의 방법
(1) 여기쌍육
(2) 참쌍육
2) 쌍육의 유래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통 놀이의 방법과 유래
목차
1. 가위, 바위, 보
1) 가위, 바위, 보의 방법
2) 가위, 바위, 보의 유래
2. 윷놀이
1) 윷놀이의 방법
2) 윷놀이의 유래
3) 윷점 64괘
4) 호칭의 유래
5) ‘도, 개, 걸, 윷, 모’ 속의 음(陰)과 양(陽)
3. 승경도
1) 승경도 놀이의 방법
2) 승경도의 유래
4. 쌍육
1) 쌍육의 방법
(1) 여기쌍육
(2) 참쌍육
2) 쌍육의 유래
참고문헌
고유의 놀이와 일제침략기를 거치며 유입된 놀이들 중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전통놀이와 그렇지 않은 전통놀이, 특징을 보이는 놀이 들을 살펴보며, 각 놀이의 방법과, 놀이 속에 나타난 사회적 특징, 놀이의 유래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1. 가위, 바위, 보
가위바위보는 놀이를 할 때 먼저 할 수 있는 순서를 정하거나 편을 가른다든지 그 자체를 놀이로 즐기곤 한다. 이름은 꼴을 짓는 손이나 손가락의 형태에서 왔다.
1) 가위, 바위, 보의 방법
‘가위’는 두 개의 손가락만 펴고 나머지는 접음으로서 가위의 모양을 만들어 나타내고, ‘바위’는 주먹을 쥐어 바위의 모양을 만들며, ‘보’는 보자기를 상징하여 모든 손가락을 펴서 나타낸다.
‘가위’는 보자기를 자를 수 있어 ‘보’에게는 이기지만 ‘바위’에게는 진다. ‘바위’가 ‘가위’를 때리면 부서지기 때문이다. ‘보’는 ‘가위’에게는 지지만 ‘바위’에게는 이긴다. ‘바위’를 더거나 싸 담으므로 이기는 것이다. 시작할 때 가위, 바위, 보 순서로 외치며 마지막 보를 외칠 때 손을 내민다. 승부가 나지 않으면 반복한다.
2) 가위, 바위, 보의 유래
가위, 바위, 보가 처음 시작된 곳은 중국이다. 손과 팔로 어떠한 자세를 정하고, 그 형태에 따라 승부를 정하였고 무전(拇戰), 무진(拇陳), 중지지희(中指之戱)라 부른다. 처음에는 손에 쥔 식물의 수나 빛깔을
목차
1. 가위, 바위, 보
1) 가위, 바위, 보의 방법
2) 가위, 바위, 보의 유래
2. 윷놀이
1) 윷놀이의 방법
2) 윷놀이의 유래
3) 윷점 64괘
4) 호칭의 유래
5) ‘도, 개, 걸, 윷, 모’ 속의 음(陰)과 양(陽)
3. 승경도
1) 승경도 놀이의 방법
2) 승경도의 유래
4. 쌍육
1) 쌍육의 방법
(1) 여기쌍육
(2) 참쌍육
2) 쌍육의 유래
참고문헌
고유의 놀이와 일제침략기를 거치며 유입된 놀이들 중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전통놀이와 그렇지 않은 전통놀이, 특징을 보이는 놀이 들을 살펴보며, 각 놀이의 방법과, 놀이 속에 나타난 사회적 특징, 놀이의 유래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1. 가위, 바위, 보
가위바위보는 놀이를 할 때 먼저 할 수 있는 순서를 정하거나 편을 가른다든지 그 자체를 놀이로 즐기곤 한다. 이름은 꼴을 짓는 손이나 손가락의 형태에서 왔다.
1) 가위, 바위, 보의 방법
‘가위’는 두 개의 손가락만 펴고 나머지는 접음으로서 가위의 모양을 만들어 나타내고, ‘바위’는 주먹을 쥐어 바위의 모양을 만들며, ‘보’는 보자기를 상징하여 모든 손가락을 펴서 나타낸다.
‘가위’는 보자기를 자를 수 있어 ‘보’에게는 이기지만 ‘바위’에게는 진다. ‘바위’가 ‘가위’를 때리면 부서지기 때문이다. ‘보’는 ‘가위’에게는 지지만 ‘바위’에게는 이긴다. ‘바위’를 더거나 싸 담으므로 이기는 것이다. 시작할 때 가위, 바위, 보 순서로 외치며 마지막 보를 외칠 때 손을 내민다. 승부가 나지 않으면 반복한다.
2) 가위, 바위, 보의 유래
가위, 바위, 보가 처음 시작된 곳은 중국이다. 손과 팔로 어떠한 자세를 정하고, 그 형태에 따라 승부를 정하였고 무전(拇戰), 무진(拇陳), 중지지희(中指之戱)라 부른다. 처음에는 손에 쥔 식물의 수나 빛깔을
추천자료
[사회과학] 한국의 전통놀이
[한국전통가옥][전통가옥][기와 유래][기와 종류][기와 역사][초가집 의의][초가집 구성][지...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 국악(한국전통음악) 율명과 계이름,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의의...
한복(한국전통복식)의 특성, 한복(한국전통복식)의 아름다움과 용도, 남성한복(한국전통복식)...
[국악][장단]국악(한국전통음악) 장단의 정의, 국악(한국전통음악) 장단의 기본개념, 국악(한...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구(장고)의 정의와 구조,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장구(장고)의 특징, ...
[한국화지도]한국전통회화교육(한국화지도)의 의의와 동향, 한국전통회화교육(한국화지도)의 ...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개념과 분류,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특성,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
한국화지도(한국전통회화교육)의 교육적 의의, 한국화지도(한국전통회화교육)의 재료와 용구,...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개념, 연혁,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법식, 한국 민속놀...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윷놀이 교육적 효과, 명칭,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윷놀이 놀이규...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분류, 의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기원, 법식, ...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의 유형, 교육적 효과,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의 기능, 자료화, 한...
놀이(놀이문화)와 놀이자료제작, 놀이(놀이문화)와 놀이지도, 놀이(놀이문화)와 전통놀이, 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