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 1
·연구목적과 필요성
Ⅱ본론 ․․․․․․․․․․․․․․․․․․․․․․․․․․․․․․․․․․․․․․․․․․․․․․․․․․․․․․․․․․․․․․․․․․․․․․․․․․․․․․․․․․․․․․․․․․․․․․․․․․․․․․․․․․․․․․․․․․․․․․․․․․․․․․․․․․․․․․․․ 1 ~ 16
1.문헌고찰 ------------------------------------- 1 ~ 5
2.임상사례연구 --------------------------------- 6 ~ 16
1) 일반적사항
2) 건강력
3) 간호력과 신체사정
4) 진단검사
5) 약물
6) 간호과정
Ⅲ결론 ․․․․․․․․․․․․․․․․․․․․․․․․․․․․․․․․․․․․․․․․․․․․․․․․․․․․․․․․․․․․․․․․․․․․․․․․․․․․․․․․․․․․․․․․․․․․․․․․․․․․․․․․․․․․․․․․․․․․․․․․․․․․․․․․․․․․․․․․․․․․․․․․․․․ 17
Ⅳ참고문헌 ․․․․․․․․․․․․․․․․․․․․․․․․․․․․․․․․․․․․․․․․․․․․․․․․․․․․․․․․․․․․․․․․․․․․․․․․․․․․․․․․․․․․․․․․․․․․․․․․․․․․
·연구목적과 필요성
Ⅱ본론 ․․․․․․․․․․․․․․․․․․․․․․․․․․․․․․․․․․․․․․․․․․․․․․․․․․․․․․․․․․․․․․․․․․․․․․․․․․․․․․․․․․․․․․․․․․․․․․․․․․․․․․․․․․․․․․․․․․․․․․․․․․․․․․․․․․․․․․․․ 1 ~ 16
1.문헌고찰 ------------------------------------- 1 ~ 5
2.임상사례연구 --------------------------------- 6 ~ 16
1) 일반적사항
2) 건강력
3) 간호력과 신체사정
4) 진단검사
5) 약물
6) 간호과정
Ⅲ결론 ․․․․․․․․․․․․․․․․․․․․․․․․․․․․․․․․․․․․․․․․․․․․․․․․․․․․․․․․․․․․․․․․․․․․․․․․․․․․․․․․․․․․․․․․․․․․․․․․․․․․․․․․․․․․․․․․․․․․․․․․․․․․․․․․․․․․․․․․․․․․․․․․․․․ 17
Ⅳ참고문헌 ․․․․․․․․․․․․․․․․․․․․․․․․․․․․․․․․․․․․․․․․․․․․․․․․․․․․․․․․․․․․․․․․․․․․․․․․․․․․․․․․․․․․․․․․․․․․․․․․․․․․
본문내용
, 심박수,(heart rate), 넷째, 심근의 수축력(myocardial contractibility) 등의 4가지 인자에 의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심박출량(CO)이 조절된다. 그러나 이들 요소간에 어떤 문제가 발생되면 펌프기능에 장애가 와서 심부전이 유발된다.
3) 심장의 보상기전 및 대상부전
심부전이 발생되면 심장은 신체 조직의 활동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또 심실 내 잔류혈액의 증가로 압력이 상승되어 전신 정맥압이 높아지고 기타 장기들의 울혈상태가 연쇄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심장은 보유능력을 총동원하여 자체의 힘을 보강함으로써 조직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게 되는데 이런 기전을 보상기전 혹은 대상기전(cardiac compensatory mechanism)이라 한다.
4) 심부전의 형태
심부전은 그 원인에 따라 급성, 만성 심부전과 심박출량에 따라 고심 박출성, 저심 박출성 심부전(high and low cardiac output failure). 또는 손상 부위에 따라 우심, 좌심부전, 혈류의 울혈상태가 심장의 전과 후에 오느냐에 대해 전방성, 후방성 심부전(forward, backward failure)등 여러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들 분류는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병적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임상적 편의를 위해서 사용되는 용어에 불과하다.
5) 증상과 징후
① 좌심부전: 호흡곤란, 기침, 혈담, 신기능저하, 부종, 체중증가, 뇌저산소증, 피로, 전신권태
② 우심부전: 간종창, 복통, 소화기계증상(식욕감퇴, 오심, 소화장애, 복부팽만), 심장성 부종, 사지 냉감, 심리적 불안
6) 의학적 진단
① 신체 사정
- 약한 심음, 심첨부에서 S3,S4 심음의 분마성 리듬(gallop rhythm), 폐 기저부에서 수포음, 호기성 천명음
② 특징적 징후
- 심장성 부종(하지의 요흔성 부종), 수흉, 복수, 간비대, 황달, 심한 악액질
③ 흉부 X-선 소견
- 심실과 심방, 폐정맥이 현저히 확대, 폐혈관 음영의 증가로 가장자리 불분명해서 폐의 음영이 뿌옇게 보임
④ 중심정맥압 상승 - 15~30cm H₂0까지 상승(정상 : 5~10cmH₂O), 경정맥 울혈
⑤ 폐모세관압 상승
- Swan-Ganz 카테터 삽입해서 폐모세혈관 측정시 20mmHg 이상 상승(정상 : 7~15mmHg), 교차맥, 경정맥울혈, 심박출량의 감소, 소변량 감소, 단백뇨, BUN증가
7) 치료
① 안정 및 체위
- 안정 시 환자의 자세는 폐의 신장성을 높혀주고 폐울혈을 경감시킴으로써 숨쉬기 편하도록 상체를 높여준다. 호흡곤란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반좌위나 좌위를 취해주며 특히 침상 아래로 다리를 내리고 앉아 있는 자세는 정맥혈류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일반적으로 울혈성 심부전 환자는 심장의 보유 능력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기간 동안은 절대 안정이 필요하지만 너무 오랜 침상 안정은 혈전성 정맥염이나 폐색전증, 침하성 폐렴, 신 결석, 우울증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여기어서의 안정의 의미는 침상 안정과 침상 주변에서 어느 정도의 활동을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
- 두려움이나 정신적인 불안은 일시적으로 catecholamine을 방출시켜 심박수, 심박출량, 심장의 율동, 혈압, 말초저항, 혈액점도, 혈액응고시간, 혈청콜레스테롤치 등 심맥관계의 변화를 초래하므로 더욱 안정이 중요하다.
② 염분제한
저염식이는 염분 대용품을 음식물에 첨가함으로써 맛을 내게 할 수 있는데 이들 대용품은 대부분이 칼륨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칼륨의 보충은 충분하게 된다. 입맛이 없는 환자에게 너무 싱거운 음식을 주면 식욕을 더욱 감소시키므로 양파나 후추, 레몬즙, 식초, 박하, 마늘, 버섯 등을 음식에 곁들이면 새로운 맛이 있어 저염식이에 어느 정도 적응을 하게 되지만 간혹 환자 중에는 허약 상태, 오심, 구토 등의 저염 증후군을 보이기도 한다. 이런 환자에게 나트륨을 공급하면 증상이 사라진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일반적인 식이는 저칼로리 식이와 소화되기 쉽고 나트륨 함량이 적은 음식물을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하여 심장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을 보강한 저칼로리 식이는 심부전 환자의 체중을 감소시키고 심박출량과 맥박수, 혈압, 기초 대사율을 저하시켜 조직에서의 영양과 산소요구량이 감소된다. 풋과일과 야채, 양배추류, 밀가루 식품, 소다수 같은 음식물은 장내에서 가스를 형성하여 위에 팽만감을 주게 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③ 약물 요법
Digitalis 제 투여
- 심부전 치료에 가장 유효한 약제이며 이는 심박출량을 증가시켜 CHF의 증상을 경감시키고 이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유효한 약제이다. 상심배당체인 digitalis제로는 digoxin (Lanoxin)과 digitoxin이 심부전 치료에 흔히 사용된다.
이뇨제
- 정맥울혈로 인한 전부하를 줄이기 위해 이뇨제가 투여된다. 이뇨제는 잠정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약제이므로 digitalis와 염분의 제한만으로 심부전을 교정할 수 없을 때에만 사용한다. 이뇨제로 치료받는 환자에서는 전해질과 pH, BUN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또 장기간의 사용은 전해질의 불균형과 신기능 장애가 초래되므로 잘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뇨제는 thiagide 이뇨제, loop 이뇨제, 칼륨 보존 이뇨제로 분류한다.
혈관 확장제(vasodilator)
- 혈관 확장제는 말초 혈관의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전신 혈관저항을 낮춰 심장의 과도한 전부하, 후부하를 감소시킨다. 그결과 폐울혈 증상이 완화되고 심박출량이 증가된다. 혈관확장제에는 정맥확장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약, 정맥에 별 영향 없이 동맥 확장이 강한 약, 동맥과 정맥을 모두 확장시키는 혈관 확장제가 있다. Nitroglycerin과 ososorbide dinitrate(Isordil)는 정맥 이완 작용으로 심장으로의 귀환 정맥혈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부하를 줄인다. Hydralvinem Phentolamine는 강한 동맥 확장제로서 심장의 후부하에 작용한다, Nifedipone은 칼슘차단제로서 강력한 말초 동맥의 확장작용이 있어
3) 심장의 보상기전 및 대상부전
심부전이 발생되면 심장은 신체 조직의 활동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또 심실 내 잔류혈액의 증가로 압력이 상승되어 전신 정맥압이 높아지고 기타 장기들의 울혈상태가 연쇄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심장은 보유능력을 총동원하여 자체의 힘을 보강함으로써 조직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게 되는데 이런 기전을 보상기전 혹은 대상기전(cardiac compensatory mechanism)이라 한다.
4) 심부전의 형태
심부전은 그 원인에 따라 급성, 만성 심부전과 심박출량에 따라 고심 박출성, 저심 박출성 심부전(high and low cardiac output failure). 또는 손상 부위에 따라 우심, 좌심부전, 혈류의 울혈상태가 심장의 전과 후에 오느냐에 대해 전방성, 후방성 심부전(forward, backward failure)등 여러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들 분류는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병적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임상적 편의를 위해서 사용되는 용어에 불과하다.
5) 증상과 징후
① 좌심부전: 호흡곤란, 기침, 혈담, 신기능저하, 부종, 체중증가, 뇌저산소증, 피로, 전신권태
② 우심부전: 간종창, 복통, 소화기계증상(식욕감퇴, 오심, 소화장애, 복부팽만), 심장성 부종, 사지 냉감, 심리적 불안
6) 의학적 진단
① 신체 사정
- 약한 심음, 심첨부에서 S3,S4 심음의 분마성 리듬(gallop rhythm), 폐 기저부에서 수포음, 호기성 천명음
② 특징적 징후
- 심장성 부종(하지의 요흔성 부종), 수흉, 복수, 간비대, 황달, 심한 악액질
③ 흉부 X-선 소견
- 심실과 심방, 폐정맥이 현저히 확대, 폐혈관 음영의 증가로 가장자리 불분명해서 폐의 음영이 뿌옇게 보임
④ 중심정맥압 상승 - 15~30cm H₂0까지 상승(정상 : 5~10cmH₂O), 경정맥 울혈
⑤ 폐모세관압 상승
- Swan-Ganz 카테터 삽입해서 폐모세혈관 측정시 20mmHg 이상 상승(정상 : 7~15mmHg), 교차맥, 경정맥울혈, 심박출량의 감소, 소변량 감소, 단백뇨, BUN증가
7) 치료
① 안정 및 체위
- 안정 시 환자의 자세는 폐의 신장성을 높혀주고 폐울혈을 경감시킴으로써 숨쉬기 편하도록 상체를 높여준다. 호흡곤란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반좌위나 좌위를 취해주며 특히 침상 아래로 다리를 내리고 앉아 있는 자세는 정맥혈류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일반적으로 울혈성 심부전 환자는 심장의 보유 능력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기간 동안은 절대 안정이 필요하지만 너무 오랜 침상 안정은 혈전성 정맥염이나 폐색전증, 침하성 폐렴, 신 결석, 우울증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여기어서의 안정의 의미는 침상 안정과 침상 주변에서 어느 정도의 활동을 허용하는 것을 말한다.)
- 두려움이나 정신적인 불안은 일시적으로 catecholamine을 방출시켜 심박수, 심박출량, 심장의 율동, 혈압, 말초저항, 혈액점도, 혈액응고시간, 혈청콜레스테롤치 등 심맥관계의 변화를 초래하므로 더욱 안정이 중요하다.
② 염분제한
저염식이는 염분 대용품을 음식물에 첨가함으로써 맛을 내게 할 수 있는데 이들 대용품은 대부분이 칼륨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칼륨의 보충은 충분하게 된다. 입맛이 없는 환자에게 너무 싱거운 음식을 주면 식욕을 더욱 감소시키므로 양파나 후추, 레몬즙, 식초, 박하, 마늘, 버섯 등을 음식에 곁들이면 새로운 맛이 있어 저염식이에 어느 정도 적응을 하게 되지만 간혹 환자 중에는 허약 상태, 오심, 구토 등의 저염 증후군을 보이기도 한다. 이런 환자에게 나트륨을 공급하면 증상이 사라진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일반적인 식이는 저칼로리 식이와 소화되기 쉽고 나트륨 함량이 적은 음식물을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하여 심장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을 보강한 저칼로리 식이는 심부전 환자의 체중을 감소시키고 심박출량과 맥박수, 혈압, 기초 대사율을 저하시켜 조직에서의 영양과 산소요구량이 감소된다. 풋과일과 야채, 양배추류, 밀가루 식품, 소다수 같은 음식물은 장내에서 가스를 형성하여 위에 팽만감을 주게 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③ 약물 요법
Digitalis 제 투여
- 심부전 치료에 가장 유효한 약제이며 이는 심박출량을 증가시켜 CHF의 증상을 경감시키고 이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유효한 약제이다. 상심배당체인 digitalis제로는 digoxin (Lanoxin)과 digitoxin이 심부전 치료에 흔히 사용된다.
이뇨제
- 정맥울혈로 인한 전부하를 줄이기 위해 이뇨제가 투여된다. 이뇨제는 잠정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약제이므로 digitalis와 염분의 제한만으로 심부전을 교정할 수 없을 때에만 사용한다. 이뇨제로 치료받는 환자에서는 전해질과 pH, BUN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또 장기간의 사용은 전해질의 불균형과 신기능 장애가 초래되므로 잘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뇨제는 thiagide 이뇨제, loop 이뇨제, 칼륨 보존 이뇨제로 분류한다.
혈관 확장제(vasodilator)
- 혈관 확장제는 말초 혈관의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전신 혈관저항을 낮춰 심장의 과도한 전부하, 후부하를 감소시킨다. 그결과 폐울혈 증상이 완화되고 심박출량이 증가된다. 혈관확장제에는 정맥확장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약, 정맥에 별 영향 없이 동맥 확장이 강한 약, 동맥과 정맥을 모두 확장시키는 혈관 확장제가 있다. Nitroglycerin과 ososorbide dinitrate(Isordil)는 정맥 이완 작용으로 심장으로의 귀환 정맥혈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부하를 줄인다. Hydralvinem Phentolamine는 강한 동맥 확장제로서 심장의 후부하에 작용한다, Nifedipone은 칼슘차단제로서 강력한 말초 동맥의 확장작용이 있어
추천자료
만성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
심근경색(STEMI) 케이스
분만실 PIH 임신성 고혈압 자간전증 케이스 스터디
EICU CRF 케이스환자
[간호학]담석증(GS)케이스 스터디 입니다
급성신부전 ARF(Acute Renal failure)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케이스!! 대동맥 박리 뇌경색 신경과 케이스
Pneumonia(폐렴) A+케이스스터디
<성인 실습> 부정맥 (pace maker case)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폐부종(Pulmonary edema) 케이스 레포트 입니다.
보건소 고혈압 케이스 (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느낀점...
신종인플루엔자,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