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1) 정의 -----------------------------------------------
2) 원인 -----------------------------------------------
3) 병태생리 ----------------------------------------
4) 증상과 징후 ----------------------------------------
5) 치료 --------------------------------------------
• 간호사정
1) 일반정보 -------------------------------------------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
3) 신체사정 -------------------------------------------
4) 진단검사 -------------------------------------------
5) 임상과정 -------------------------------------------
• 간호과정 ---------------------------------
• 결론 -------------------------------------------
• 문헌고찰 ------------------------------------
1) 정의 -----------------------------------------------
2) 원인 -----------------------------------------------
3) 병태생리 ----------------------------------------
4) 증상과 징후 ----------------------------------------
5) 치료 --------------------------------------------
• 간호사정
1) 일반정보 -------------------------------------------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
3) 신체사정 -------------------------------------------
4) 진단검사 -------------------------------------------
5) 임상과정 -------------------------------------------
• 간호과정 ---------------------------------
• 결론 -------------------------------------------
• 문헌고찰 ------------------------------------
본문내용
EIN
Negative
5.0mg/dL
Glucose
Negative
24mg/dL
KETONE
Negative
Negative
5) 임상검사
[KUB]
KUB를 통해 신장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평가한 결과 신장이 위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Ⅲ.간호과정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대사장애
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머리가 아파요."
“속이 메스꺼워요”
“몸에 힘이 없어요.”
객관적 자료
BUN 94.3mg/dl
Cr 9.06mg/dl
Urine Protein 5.0g/dL
HCO3- 18.4mEq/L
pH 7.323
nausea & vomiting
pitting edema : grade 4(1분이상 지속, 8 mm, 매우 깊은 함요)
간호진단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대사장애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의 신장 기능이 악화되지 않고 유지된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신체 산염기 균형을 회복할 수 있다.
간호계획
1.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2. 단백질 섭취를 제한한다.
3. 중탄산염을 투여한다.
4. 필요한 경우 투석을 실시한다.
간호중재
1. 호흡양상을 사정했다.
2.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는 식이를 제공했다.
3. 중탄산염을 투여했다.
4. 신장기능이 감소하여 투석을 실시했다.
간호평가
중탄산염 투여 후 실시한 재검사 결과 pH 7.36으로 산염기 균형을 이루어 단기목표가 달성되었고 신기능 부전의 악화는 없어 장기 목표도 달성되었다.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된 체액 불균형 위험성
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몸이 이전보다 부은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K 6.5mEq/L
Ca 4mEq/L
Na 131mEq/L
P 6mEq/L
pitting edema : grade 4(1분이상 지속, 8 mm, 매우 깊은 함요)
최근 3개월 간 체중이 10% 이상 증가함.
간호진단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된 체액 불균형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체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 전해질 수치를 회복할 수 있다.
간호계획
1.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2. 50% 포도당과 함께 Regular Insulin을 투여한다.
3. 중탄산나트륨을 투여한다.
4. 고칼륨 식품에 대해 교육하여 섭취를 제한하도록 한다.
5. 인의 섭취를 제한한다.
6. 탄산칼슘 제제를 매 식사마다 투약한다.
7. 의사의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한다.
8. 전해질 수치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9.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10. 이온 교환 수지를 구강으로 투여한다.
11. 심전도 모니터링을 통해 부정맥을 관찰한다.
간호중재
1.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했다.
2. 50% 포도당과 함께 Regular Insulin을 투여했다.
3. 중탄산나트륨을 투여했다.
4. 바나나, 오렌지주스, 배추, 호박, 토마토, 자두 등 고칼륨 식품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여 섭취를 제한하도록 교육했다.(일일 40 mEq 미만)
5. 유제품과 같은 인 함량이 높은 식품 섭취를 제한하도록 교육했다.
(일일 1000mg 이하)
6. 탄산칼슘 제제를 매 식사마다 투여했다.
7. 의사의 처방에 따라 lasix를 투여했다.
8. 전해질 수치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9. 매일 체중을 측정했다.
10. 이온 교환 수지를 구강으로 투여했다.
11. 지속적인 심전도 모니터링을 통해 부정맥을 관찰했다.
간호평가
대상자에게 간호중재를 실시한 후 Blood Chemistry를 재검사 한 결과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 안에 있었으므로 단기목표는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전해질 수치를 회복하여 체액의 균형을 유지했으므로 장기목표도 달성되었다.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메스꺼워요.“
”자꾸 토해서 아무것도 먹고 싶지 않아요.“
객관적 자료
Albumin 2.8 g/dL
Cr 9.06mg/dl
Hb 10.9 g/dL
Hct 35%
간호진단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영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적절한 일일 영양 요구량을 섭취한다.
간호계획
1. 식사 전 구강 위생 간호를 교육한다.
2.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3. I/O를 관찰한다.
4. 제한해야 하는 식품을 제외한 대상자가 선호하는 식품과 불호하는 식 품을 참고하여 식단을 제공한다.
5. 검사와 치료 시간을 식사 시간과 겹치게 하지 않는다.
6.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토제를 투여한다.
7. 의사의 처방에 따라 비경구 영양을 시행한다.
간호중재
1. 식사 전 차가운 생리식염수로 가글을 권장하는 등의 구강 위생간호
를 교육했다.
2. 하루에 한 번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했다.
3. 수분과 음식 섭취, 배설 양상의 관찰을 통해 I/O를 측정했다.
4. 제한해야 하는 식품을 제외한 대상자가 선호하는 식품과 불호하는 식품을 참고하여 식단을 제공했다.
5. 식사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식사시간과 검사 및 처치가 겹치지 않도 록 했다.
6.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토제를 투여했다.
7. 의사의 처방에 따라 Smofkabiven peripheral inj을 IV로 투여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계속되는 오심과 구토로 적절한 일일 영양요구량을 섭취하지 못했으나 비경구 영양을 통해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하였다.
Ⅳ.결론
CKD 환자들은 신장 기능이 더 나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철저한 관리가 중요한데 실제로 병원에 입원환자들은 여러 질병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말기 신부전 환자는 대부분 일주일에 3번씩 투석을 받아야하므로 통원치료 및 장기 입원환자로 가족들 및 환자 본인이 많이 지치고 힘들어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전문적인 치료만큼이나 정서적인 지지도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CKD의 원인과 증상을 잘 알아두어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Ⅴ.참고문헌
서문자 외 (2000). 성인간호학 (하). 수문사.
조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퍼시픽북스 학술편찬국 (2012). Adult Health Nursing. PACIFIC BOOKS.
Negative
5.0mg/dL
Glucose
Negative
24mg/dL
KETONE
Negative
Negative
5) 임상검사
[KUB]
KUB를 통해 신장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평가한 결과 신장이 위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Ⅲ.간호과정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대사장애
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머리가 아파요."
“속이 메스꺼워요”
“몸에 힘이 없어요.”
객관적 자료
BUN 94.3mg/dl
Cr 9.06mg/dl
Urine Protein 5.0g/dL
HCO3- 18.4mEq/L
pH 7.323
nausea & vomiting
pitting edema : grade 4(1분이상 지속, 8 mm, 매우 깊은 함요)
간호진단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대사장애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의 신장 기능이 악화되지 않고 유지된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신체 산염기 균형을 회복할 수 있다.
간호계획
1.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2. 단백질 섭취를 제한한다.
3. 중탄산염을 투여한다.
4. 필요한 경우 투석을 실시한다.
간호중재
1. 호흡양상을 사정했다.
2.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는 식이를 제공했다.
3. 중탄산염을 투여했다.
4. 신장기능이 감소하여 투석을 실시했다.
간호평가
중탄산염 투여 후 실시한 재검사 결과 pH 7.36으로 산염기 균형을 이루어 단기목표가 달성되었고 신기능 부전의 악화는 없어 장기 목표도 달성되었다.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된 체액 불균형 위험성
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몸이 이전보다 부은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K 6.5mEq/L
Ca 4mEq/L
Na 131mEq/L
P 6mEq/L
pitting edema : grade 4(1분이상 지속, 8 mm, 매우 깊은 함요)
최근 3개월 간 체중이 10% 이상 증가함.
간호진단
전해질 불균형과 관련된 체액 불균형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체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 전해질 수치를 회복할 수 있다.
간호계획
1.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2. 50% 포도당과 함께 Regular Insulin을 투여한다.
3. 중탄산나트륨을 투여한다.
4. 고칼륨 식품에 대해 교육하여 섭취를 제한하도록 한다.
5. 인의 섭취를 제한한다.
6. 탄산칼슘 제제를 매 식사마다 투약한다.
7. 의사의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한다.
8. 전해질 수치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9.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10. 이온 교환 수지를 구강으로 투여한다.
11. 심전도 모니터링을 통해 부정맥을 관찰한다.
간호중재
1.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했다.
2. 50% 포도당과 함께 Regular Insulin을 투여했다.
3. 중탄산나트륨을 투여했다.
4. 바나나, 오렌지주스, 배추, 호박, 토마토, 자두 등 고칼륨 식품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여 섭취를 제한하도록 교육했다.(일일 40 mEq 미만)
5. 유제품과 같은 인 함량이 높은 식품 섭취를 제한하도록 교육했다.
(일일 1000mg 이하)
6. 탄산칼슘 제제를 매 식사마다 투여했다.
7. 의사의 처방에 따라 lasix를 투여했다.
8. 전해질 수치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9. 매일 체중을 측정했다.
10. 이온 교환 수지를 구강으로 투여했다.
11. 지속적인 심전도 모니터링을 통해 부정맥을 관찰했다.
간호평가
대상자에게 간호중재를 실시한 후 Blood Chemistry를 재검사 한 결과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 안에 있었으므로 단기목표는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전해질 수치를 회복하여 체액의 균형을 유지했으므로 장기목표도 달성되었다.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메스꺼워요.“
”자꾸 토해서 아무것도 먹고 싶지 않아요.“
객관적 자료
Albumin 2.8 g/dL
Cr 9.06mg/dl
Hb 10.9 g/dL
Hct 35%
간호진단
오심, 구토와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목표
대상자는 정상적인 영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기 목표
대상자는 적절한 일일 영양 요구량을 섭취한다.
간호계획
1. 식사 전 구강 위생 간호를 교육한다.
2.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3. I/O를 관찰한다.
4. 제한해야 하는 식품을 제외한 대상자가 선호하는 식품과 불호하는 식 품을 참고하여 식단을 제공한다.
5. 검사와 치료 시간을 식사 시간과 겹치게 하지 않는다.
6.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토제를 투여한다.
7. 의사의 처방에 따라 비경구 영양을 시행한다.
간호중재
1. 식사 전 차가운 생리식염수로 가글을 권장하는 등의 구강 위생간호
를 교육했다.
2. 하루에 한 번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했다.
3. 수분과 음식 섭취, 배설 양상의 관찰을 통해 I/O를 측정했다.
4. 제한해야 하는 식품을 제외한 대상자가 선호하는 식품과 불호하는 식품을 참고하여 식단을 제공했다.
5. 식사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식사시간과 검사 및 처치가 겹치지 않도 록 했다.
6.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토제를 투여했다.
7. 의사의 처방에 따라 Smofkabiven peripheral inj을 IV로 투여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계속되는 오심과 구토로 적절한 일일 영양요구량을 섭취하지 못했으나 비경구 영양을 통해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하였다.
Ⅳ.결론
CKD 환자들은 신장 기능이 더 나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철저한 관리가 중요한데 실제로 병원에 입원환자들은 여러 질병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말기 신부전 환자는 대부분 일주일에 3번씩 투석을 받아야하므로 통원치료 및 장기 입원환자로 가족들 및 환자 본인이 많이 지치고 힘들어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전문적인 치료만큼이나 정서적인 지지도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CKD의 원인과 증상을 잘 알아두어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겠다.
Ⅴ.참고문헌
서문자 외 (2000). 성인간호학 (하). 수문사.
조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퍼시픽북스 학술편찬국 (2012). Adult Health Nursing. PACIFIC BOOK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