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Ⅱ. 본론
A. 문헌고찰(Pathology)
1. CRF의 정의와 원인
2. CRF의 병태생리
3. 진단 검사
4. 증상
(1) 수분, 전해질 장애
(2) 심혈관계, 호흡계 장애
(3) 위장 장애
(4) 혈액학적 및 면역학적 장애
(5) 내분비- 대사 장애
(6) 신경-근육계 장애
(7) 피부 장애
간호
1. 악화인자의 치료
1) 원인질환의 치료
2) 고혈압 조정
3) 저단백식이
2. 가역적 악화인자의 치료
◎신장에 유해한 약물
-항생제 (테트라싸이클린, 세팔로스포린, 리팜핀,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방사선 조영제 (주사로 투여할 때)
-금속제 (수은, 납, 금, 구리, 카드뮴)
-진통제 (일부)
-항고혈압제 (일부)
-항암제 (일부)
3. 요독증 합병증에 대한 치료
4. 투석(Dialysis)
(1)혈액투석(hemodialysis)
(2)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시행절차
◎복막투석 교환절차
◎복막투석 일지 사용법
◎복막투석 교환실
◎복막투석 식이요법
..........
◎복막투석과 운동
◎복막투석과 직업
(3) 신장이식(kidney transplant)
6. 경과 및 예후
7. 합병증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① 환자 간호력
② 신체 검진
③ 검사 소견
ⅱ) Chemistry(화학검사)
ⅲ) Urinlysis(소변검사)
④ 치료 경과
ⅰ) 진단명
ⅱ) 치료종류
-Medication
-특별식이
-치료목적
-치료경과
2. 간호진단
#1. 조절기전의 손상으로 인한 체액과다(fluid volume excess)
#2. 빈혈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Activity intolerance)
#3. 면역기능 저하로 인한 감염위험성(Infection, risk for)
Ⅲ. 결론 및 제언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Ⅱ. 본론
A. 문헌고찰(Pathology)
1. CRF의 정의와 원인
2. CRF의 병태생리
3. 진단 검사
4. 증상
(1) 수분, 전해질 장애
(2) 심혈관계, 호흡계 장애
(3) 위장 장애
(4) 혈액학적 및 면역학적 장애
(5) 내분비- 대사 장애
(6) 신경-근육계 장애
(7) 피부 장애
간호
1. 악화인자의 치료
1) 원인질환의 치료
2) 고혈압 조정
3) 저단백식이
2. 가역적 악화인자의 치료
◎신장에 유해한 약물
-항생제 (테트라싸이클린, 세팔로스포린, 리팜핀,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방사선 조영제 (주사로 투여할 때)
-금속제 (수은, 납, 금, 구리, 카드뮴)
-진통제 (일부)
-항고혈압제 (일부)
-항암제 (일부)
3. 요독증 합병증에 대한 치료
4. 투석(Dialysis)
(1)혈액투석(hemodialysis)
(2)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시행절차
◎복막투석 교환절차
◎복막투석 일지 사용법
◎복막투석 교환실
◎복막투석 식이요법
..........
◎복막투석과 운동
◎복막투석과 직업
(3) 신장이식(kidney transplant)
6. 경과 및 예후
7. 합병증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자료수집
2) 자료분석
① 환자 간호력
② 신체 검진
③ 검사 소견
ⅱ) Chemistry(화학검사)
ⅲ) Urinlysis(소변검사)
④ 치료 경과
ⅰ) 진단명
ⅱ) 치료종류
-Medication
-특별식이
-치료목적
-치료경과
2. 간호진단
#1. 조절기전의 손상으로 인한 체액과다(fluid volume excess)
#2. 빈혈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Activity intolerance)
#3. 면역기능 저하로 인한 감염위험성(Infection, risk for)
Ⅲ.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주의).
17.트랜스퍼 셀을 복대에 넣어 허리에 부착하고 주위를 정리한 후 배액 상태를 기록한다.
※ 주의사항
-분리된 연결구가 위로 향하지 않도록 한다. 공기중의 먼지 및 낙하균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전자렌지 가온시 주입라인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과열로 인해 백이 터지는 것을 막도록 한다.
◎복막투석 일지 사용법
기입시 요령
- 체중 : 하루에서 첫 교환후 측정한다.
- 체온, 혈압 : 배액하는 동안 측정한다.
- 배출액의 양상 및 신체의 중상을 기록한다.
- 기타 이상증상이 있다면 빈 공간에 모두 적어둔다.
- 제수량 : 배출량 - 주입량
- 총제수량 : 하루 배설되는 총 수분량을 의미한다.
○무균법
CAPD에서는 내과적 무균법 즉 청결하게 하는 기술(Clean technique)을 수행한다.
이는 균의 수를 감소시키고 균이 한 장소나 사람으로부터 다른 사람이나 장소로 퍼지는 것을 예방하는데 사용한다. 인체의 피부나 인두 비강과 공기중에는 매우 많은 병원체가 살고 있다. 이들은 평상시에는 인체에 해를 가져오지 않지만 무균상태일 복강내에 멸균처리된 투석액을 주입, 배액하는 과정에서 무균법이 지켜지지 않으면 균의 침입으로 복막염이 일으킬 수 있다.
투석액 교환시 트랜스퍼세트의 연결부위나 새 투석액 연결관 끝부위나 일회용캡 안쪽이 손이나 주위물체에 닿으면 곧 오염된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개인위생이나, 교환실 청결, 무균적 조작법을 지켜 균의 침입 경로를 차단하므로서 복막염을 예방하여야 한다.
○올바른 손 닦기법
옷소매를 팔꿈치에서 3인치 이상으로 걷어 올린다. 시계, 반지, 장신구를 뺀다.
손에서 팔꿈치까지 골고루 물에 적십니다.미온수가 가장 좋다.
비누칠을 한다. - 비누는 피부 표면에서 먼지, 세균으로 된 때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손을 마주 문지른다. - 손바닥, 손등, 손가락사이, 손톱, 손톱밑 등 주름진 곳도 철저히 닦는다.
3분이상 씻고 흐르는 물로 헹구어 낸다. 물이나 거품이 복장에 튀지 않게 한다.
손에서 팔꿈치까지 잘 마른 깨끗한 수건으로 물기를 닦는다.
수도 꼭지를 타올로 쥐어 잠근다 - 씻은 후 수도 꼭지를 만지면 다시 오염될 수 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법
-코와 입이 잘 가려지도록 착용한다.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마스크 상단이 안경하단에 맞도록 해야만 호기에의해 안경이 흐려지지 않는다. 마스크를 쓰면 코와 입의 정상상주균이 호흡에 의해 백 교환시 주입관을 통해 복강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마스크가 축축해지면 효과가 없으므로 새것으로 바꿔야 한다.
-감기에 걸려 재채기나 기침이 나올때는 고개를 옆으로 돌리도록 주의하며 마스크 착용후에 말하거나 기침은 피해야 한다.
-마스크를 목에 걸고 다니지 않는다.
◎복막투석 교환실
○장소 선택
-청결하며 햇볕이 잘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
-조용하고 조명이 잘되어 투석액 교환시 그늘이 지지 않는 곳.
-세면대가 가까이 있는 곳.
-동물이나 다른 외부인 출입이 제한된 곳.
-교환 물품이외의 먼지 일으킬만한 물품이 없는 곳.
(교환실 내부에 솜, 카펫트, 털옷 등 공기 중에 먼지 날릴 가능성 있는 것 제거합니다.)
○장소 관리
-교환하기 30분전에 창문을 열어서 충분히 환기시키고 교환하기 전에 문을 닫아 공기의 움직임이 없게 한다.
-교환장소는 청결 및 소독이 중요하다. - 방청소는 먼지를 제거한 후 1일 1회 락스 1 : 물 200의 용액에 20분간 담궜던 걸레로 교환대, 교환시 필요물품, 창문틀, 바닥을 잘 닦고 다시 깨끗한 걸레로 닦는다.
-교환실내에 다른 사람에 함께 있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게 하고 교환장소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게 한다.
○교환실 설비
-작업대-작업대 면적은 활동하기 충분한 것으로 마련한다.
-위치는 창문이나 에어콘, 난방기구에서 떨어져 있게 하고 교환시 바람이 닿지 않도록 창문을 닫고, 전열기를 끄도록 한다. (가습기 사용금지)
-의자 (팔걸이 없는 편안한 의자)
-주입용 걸대
-소독장 - 소독약, 마스크, 수건, 소독방포등 소독물품을 넣어둔다.
-투석액 데우는 장치
-세면대
-저울, 체증계, 혈압기, 환자 기록지, 손전등
-용액 주입용 걸대, 배액받침대는 의자에 가까운 곳에 위치시켜 앉은 자세에서 조절이 가능하게 하다.
-교환시 갑작스런 정전에 대비하기 위해 손전등을 미리 준비하여 놓는다.
○개인 준비물품 및 사용법
뚜껑있는 도시락 - 소독물품을 넣어 보관하며 (핀셋), 드레싱시 거즈를 담아 사용한다.
-핀셋 1개 (소독거즈를 집을 때 사용), 긴핀셋 1개 (소독용품 들어 올릴때 사용)
-마스크 10개 - 면으로 된 것으로 하여 삶을 수 있게 한다.
-수건 - 여유 있게 준비하여 손세척후 물기 제거 하기 위해 사용한다.
-깨끗한 방포 10개 이상 - 투석액 교환시 1개는 작업대 위에 깔고 1개는 무릎위에 깔아 트랜스퍼 셀을 꺼내 놓는다.(트랜스퍼 셀을 옷위에 두거나 방치하면 안됨)
-colostomy bag (장루주머니, 목욕테이프) - 도관출구가 아물기 전까지 샤워시 카테터와 도관출구 부위에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해 부착한다.
-10% 베타딘 용액 - 소독 면봉 봉지에 그대로 부어서 사용할 것으로 너무 크지 않은 용량으로 여러개 준비한다.
-1회용 주사기 - 투석액에 헤파린을 첨가하거나 병원에서 처방한 주사액을 투석액안에 섞을때 사용한다.
-소독면봉, 소독거즈
-복대 - 트랜스퍼셀을 넣어 배에 차고 다닌다. 너무 당겨지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켈리 2개, 저울, 체중계, 체온계, 혈압계, 소독물품 보관장, 책상, 의자, 주입용 걸대, 배액받침대, 반창고, 소독냄비가 필요하다.
○물품소독법
-뚜껑있는 도시락과 핀셋 소독법 - 자비소독
-소독할 기구를 깨끗하게 씻어 준비해 놓고 소독용 냄비에 기구를 담고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한다.
-물이 끓기 시작한 후 30분이 되면 소독용 냄비의 뚜껑을 덮은 체로 소독냄비안에 있는 물을 따라 버린다.
-물을 따른 후에는 뚜껑을 열어 열에 의하여 기구에 남은 물기들이 증발하도록 둔다.
-준비된 소독포를 편다.
-긴 핀셋을 집어 도시락(드레싱
17.트랜스퍼 셀을 복대에 넣어 허리에 부착하고 주위를 정리한 후 배액 상태를 기록한다.
※ 주의사항
-분리된 연결구가 위로 향하지 않도록 한다. 공기중의 먼지 및 낙하균이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전자렌지 가온시 주입라인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과열로 인해 백이 터지는 것을 막도록 한다.
◎복막투석 일지 사용법
기입시 요령
- 체중 : 하루에서 첫 교환후 측정한다.
- 체온, 혈압 : 배액하는 동안 측정한다.
- 배출액의 양상 및 신체의 중상을 기록한다.
- 기타 이상증상이 있다면 빈 공간에 모두 적어둔다.
- 제수량 : 배출량 - 주입량
- 총제수량 : 하루 배설되는 총 수분량을 의미한다.
○무균법
CAPD에서는 내과적 무균법 즉 청결하게 하는 기술(Clean technique)을 수행한다.
이는 균의 수를 감소시키고 균이 한 장소나 사람으로부터 다른 사람이나 장소로 퍼지는 것을 예방하는데 사용한다. 인체의 피부나 인두 비강과 공기중에는 매우 많은 병원체가 살고 있다. 이들은 평상시에는 인체에 해를 가져오지 않지만 무균상태일 복강내에 멸균처리된 투석액을 주입, 배액하는 과정에서 무균법이 지켜지지 않으면 균의 침입으로 복막염이 일으킬 수 있다.
투석액 교환시 트랜스퍼세트의 연결부위나 새 투석액 연결관 끝부위나 일회용캡 안쪽이 손이나 주위물체에 닿으면 곧 오염된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개인위생이나, 교환실 청결, 무균적 조작법을 지켜 균의 침입 경로를 차단하므로서 복막염을 예방하여야 한다.
○올바른 손 닦기법
옷소매를 팔꿈치에서 3인치 이상으로 걷어 올린다. 시계, 반지, 장신구를 뺀다.
손에서 팔꿈치까지 골고루 물에 적십니다.미온수가 가장 좋다.
비누칠을 한다. - 비누는 피부 표면에서 먼지, 세균으로 된 때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손을 마주 문지른다. - 손바닥, 손등, 손가락사이, 손톱, 손톱밑 등 주름진 곳도 철저히 닦는다.
3분이상 씻고 흐르는 물로 헹구어 낸다. 물이나 거품이 복장에 튀지 않게 한다.
손에서 팔꿈치까지 잘 마른 깨끗한 수건으로 물기를 닦는다.
수도 꼭지를 타올로 쥐어 잠근다 - 씻은 후 수도 꼭지를 만지면 다시 오염될 수 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법
-코와 입이 잘 가려지도록 착용한다.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마스크 상단이 안경하단에 맞도록 해야만 호기에의해 안경이 흐려지지 않는다. 마스크를 쓰면 코와 입의 정상상주균이 호흡에 의해 백 교환시 주입관을 통해 복강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마스크가 축축해지면 효과가 없으므로 새것으로 바꿔야 한다.
-감기에 걸려 재채기나 기침이 나올때는 고개를 옆으로 돌리도록 주의하며 마스크 착용후에 말하거나 기침은 피해야 한다.
-마스크를 목에 걸고 다니지 않는다.
◎복막투석 교환실
○장소 선택
-청결하며 햇볕이 잘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
-조용하고 조명이 잘되어 투석액 교환시 그늘이 지지 않는 곳.
-세면대가 가까이 있는 곳.
-동물이나 다른 외부인 출입이 제한된 곳.
-교환 물품이외의 먼지 일으킬만한 물품이 없는 곳.
(교환실 내부에 솜, 카펫트, 털옷 등 공기 중에 먼지 날릴 가능성 있는 것 제거합니다.)
○장소 관리
-교환하기 30분전에 창문을 열어서 충분히 환기시키고 교환하기 전에 문을 닫아 공기의 움직임이 없게 한다.
-교환장소는 청결 및 소독이 중요하다. - 방청소는 먼지를 제거한 후 1일 1회 락스 1 : 물 200의 용액에 20분간 담궜던 걸레로 교환대, 교환시 필요물품, 창문틀, 바닥을 잘 닦고 다시 깨끗한 걸레로 닦는다.
-교환실내에 다른 사람에 함께 있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게 하고 교환장소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게 한다.
○교환실 설비
-작업대-작업대 면적은 활동하기 충분한 것으로 마련한다.
-위치는 창문이나 에어콘, 난방기구에서 떨어져 있게 하고 교환시 바람이 닿지 않도록 창문을 닫고, 전열기를 끄도록 한다. (가습기 사용금지)
-의자 (팔걸이 없는 편안한 의자)
-주입용 걸대
-소독장 - 소독약, 마스크, 수건, 소독방포등 소독물품을 넣어둔다.
-투석액 데우는 장치
-세면대
-저울, 체증계, 혈압기, 환자 기록지, 손전등
-용액 주입용 걸대, 배액받침대는 의자에 가까운 곳에 위치시켜 앉은 자세에서 조절이 가능하게 하다.
-교환시 갑작스런 정전에 대비하기 위해 손전등을 미리 준비하여 놓는다.
○개인 준비물품 및 사용법
뚜껑있는 도시락 - 소독물품을 넣어 보관하며 (핀셋), 드레싱시 거즈를 담아 사용한다.
-핀셋 1개 (소독거즈를 집을 때 사용), 긴핀셋 1개 (소독용품 들어 올릴때 사용)
-마스크 10개 - 면으로 된 것으로 하여 삶을 수 있게 한다.
-수건 - 여유 있게 준비하여 손세척후 물기 제거 하기 위해 사용한다.
-깨끗한 방포 10개 이상 - 투석액 교환시 1개는 작업대 위에 깔고 1개는 무릎위에 깔아 트랜스퍼 셀을 꺼내 놓는다.(트랜스퍼 셀을 옷위에 두거나 방치하면 안됨)
-colostomy bag (장루주머니, 목욕테이프) - 도관출구가 아물기 전까지 샤워시 카테터와 도관출구 부위에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해 부착한다.
-10% 베타딘 용액 - 소독 면봉 봉지에 그대로 부어서 사용할 것으로 너무 크지 않은 용량으로 여러개 준비한다.
-1회용 주사기 - 투석액에 헤파린을 첨가하거나 병원에서 처방한 주사액을 투석액안에 섞을때 사용한다.
-소독면봉, 소독거즈
-복대 - 트랜스퍼셀을 넣어 배에 차고 다닌다. 너무 당겨지거나 흘러내리지 않게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켈리 2개, 저울, 체중계, 체온계, 혈압계, 소독물품 보관장, 책상, 의자, 주입용 걸대, 배액받침대, 반창고, 소독냄비가 필요하다.
○물품소독법
-뚜껑있는 도시락과 핀셋 소독법 - 자비소독
-소독할 기구를 깨끗하게 씻어 준비해 놓고 소독용 냄비에 기구를 담고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한다.
-물이 끓기 시작한 후 30분이 되면 소독용 냄비의 뚜껑을 덮은 체로 소독냄비안에 있는 물을 따라 버린다.
-물을 따른 후에는 뚜껑을 열어 열에 의하여 기구에 남은 물기들이 증발하도록 둔다.
-준비된 소독포를 편다.
-긴 핀셋을 집어 도시락(드레싱
추천자료
CRF(만성 신부전)사례연구
만성 신부전 CRF 실습 간호 케이스스터디
신장과 만성 신부전증
만성 신부전 환자의 간호 계획
만성 신부전(CRF) 또는 말기 신질환(ESRD)
식사요법및 실습 급.만성 신부전 환자의 식단
만성 신부전
[간호성인내과실습case study] 만성 신부전 CRF 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 스터디
혈뇨, 단백뇨 그리고 만성 신부전에 대한 고찰
만성 신부전증
[만성 신부전] case 4
[성인간호] 만성 신부전 Chronic Kidney Disease 병태생리+간호중재
CRF(제출용)만성 신부전증-CRF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