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뇌하수체 선종 케이스 스터디, 뇌하수체 선종 case study, 뇌하수체 선종, pituitary adenoma, 간호과정, 사례연구, 뇌하수체 선종 참고문헌, 신경과 간호과정, ns, 신경외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뇌하수체 선종 케이스 스터디, 뇌하수체 선종 case study, 뇌하수체 선종, pituitary adenoma, 간호과정, 사례연구, 뇌하수체 선종 참고문헌, 신경과 간호과정, ns, 신경외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ented to person, place, time(A&O x3), confused, etc
normal
Speech: clear, appropriate/inappropriate
Pupils: PERRLA
normal
Sensory deficits for
vision(+)/hearing(-)/taste(-)/smell(-)
->뇌하수체 선종으로 시신경이 압박받아 발생
24) MUSCULOSKELETAL STATUS
Bone, joints, muscles (fractures, contractures, spinal curvatures, etc):
normal
Extrmity (temperature, edema, sensation)
pitting edema(+)-전신적
temperature, sensation normal
Motor: ROM x 4 extremities
normal
Ted hose/plexi pulses/compression devices: type (-)
casts, splint, collar, brace (-)
25) CARDIOVASCULAR SYSTEM
Pulses(radial, pedal) (to touch or with Doppler):
92
Capillary refill(<3s)
□ Yes □ No
Neck vein(distention)
(-)
Sounds: S1, S2, regular, irregular:
Apical rate: 92
Any chest pain:
(-)
26) RESPIRATIRY SYSTEM
rate:
20/min
Depth,
rhythm:
normal
Use of accessory muscles:
(-)
Cyanosis:
(-)
Sputum color, amount:
(-)
Cough: productive, nonproductive
(-)
Breath sounds: clear, rales, wheezes
Use of oxygen: nasal cannula, mask, trachollar : (-)
Flow rate of oxygen:
Oxygen humidification:
□ Yes □ No
(가습기 적용 중)
Pulse oximeter:(-)
% oxygen saturation
Smoking
□ Yes □ No
27) GASTROINTESTINAL SYSTEM
Abdominal pain, tenderness, guarding: distention, soft, firm:
normal
Bowel sounds x4 quadrants:
각각 16회, 8회, 5회, 5회(분당)
NG tube: describe drainage
(-)
Ostomy: describe stoma site and stools:
(-)
Other:
28)SKIN AND WOUNDS
color, turgor:
normal
rash, bruises:
(-)
Describe wounds
코 안쪽이라 자세히 살펴보지 못했다. 수술한지 시간이 꽤 지나서 콧구멍 주위의 상처도 모두 아물었다.
Edges approximated:
clear
Type of wound drains:
(-)
characteristics of drainage:
(-)
Dressings(clean, dry, intact):
(-)
Sutures, staples, steri-strips, other:
(-)
Risk for pressure ulcer assessment rating :
욕창점수 22점
(위험군에 속하지 않음)
other:
29)EYES,EARS,NOSE,THROAT(EENT)
Eyes: redness, drainage, edema, ptosis
(-)
Ears: drainage
(-)
Nose: redness, drainage, edema
(-)
Throat:sore
(-)
Psychosocial and Cultural Assessment
30)Religious preference(face sheet)
무교
31)Marital status
기혼
32)Health care benefits and insurance(face sheet)
공단
33)Occupation(face sheet)
없음
34)Emotional state(nurse\'s notes)
조금 불안정
-눈이 예전처럼 보이지 않아 다시 시력이 돌아오지 않는지에 대해 불안해 하심
Book Review (use extra paper if necessary,) limit 3 pages
Pathophysiology:
전체 뇌종양의 10%를 차지하며 대부분이 선종(adenoma)이다.
크기에 따라 미세선종(직경 1cm미만), 거대선종(직경 1cm이상)
호르몬 분비 여부에 따라 기능성(전체 뇌하수체종양의 3/4)과 비기능성(1/4)로 분류
대부분의 뇌하수체 종양은 양성이고 천천히 자란다.
Manifestations
(1)거대선종인 경우 압박증상으로 두통, 시야결손(superior temporal quadranopsia, bitemporal hemianopsia), 동안신경 침범, 뇌하수체경 압박, 시상하부 증후군, 뇌압상승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말단거대증, 고프로락틴혈증, 쿠싱병 등의 기능항진증이 나타날 수 있다.
(3)거대선종인 경우 정상 뇌하수체 조직 파괴 또는 뇌하수체경 압박에 의해 프로락틴 농도는 다양하며 뇌하수체저하증이 나타날 수 있다.
(4)심한 터키안 상부 확장을 동만하는 거대 선종에 의한 시상하부 손상으로 간혹 요붕증을 동반할 수 있다.
(5)비기능성의 미세선종인 경우 전혀 증상이 없으므로 다른 이유로 촬영한 뇌 MRI에서 우연히 발견된다.
Diagnostic Test
(1)호르몬검사
기능성 종양인 경우 혈증 GH(성장호르몬)증가, 고프로락틴혈증 등을 관찰할 수 있으며 비기능성의 거대선종인 경우 뇌하수체저하증(고프로락틴혈증)을 보인다.
(2)병변을 확인하기 위한 MRI
(3)거대선종인 경우에는 시야검사를 시행하여 시야결손 확인
(4)헙형골 수술로 얻은 면역죠직 화학염색 검사
Laboratory Test
(1)기초프로락틴
(2)인슐린양 성장인자1
(3)24시간 소변 코르티솔 혹은 덱사메타손 억제 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3.05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