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 PD) 케이스 스터디 A++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 PD) 케이스 스터디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p2
Ⅱ. 본론----------------------------p2
1. 문헌고찰

2. 간호정보조사지(투약정보, 검사결과)

3. 간호기록지

4. CASE STUDY

Ⅲ. 결론----------------------------p17

Ⅳ. 참고문헌-----------------------p17

본문내용

목소리, 단어는 명확히 말하심, 이해력(+)
pupil diameter: isocoric, R:3+/L:3+
카테터 삽입: 거부하심
심장순환
P:56 리듬: 정상 BP: 110/80
말초혈관순환
맥박(강맥:+3, 보통:+2, 빈맥: +1)
경동맥
요골동맥
척골동맥
대퇴동맥
족배동맥
슬와동맥
상완동맥
R
2
2
2
2
2
2
2
L
2
2
2
2
2
2
2
(2) 호흡
R: 18/분 호흡양상: 정상 부속근사용: 안함 가슴모양: 정상 기침양상: 객담있을 때 간헐적으로 함 호흡음: 정상
O₂투여, 기관절개, VENTILATOR 사용안함
C. 활동과 휴식요구
(1) 활동
평상시 운동: 안함
입원 중 하는 운동: 재활, 물리치료
제한된 관절운동과 부위: 무릎 굴곡이 잘 되지 않음(경직) Rt>Lt 보조기 사용: 휠체어
(2) 오락
입원중 즐기는 취미나 오락: TV시청
(3) 수면
평상시 수면: 8시간/1일
입원 중 수면양상: 10시간/1일_ 통증으로 밤에 못주무실 때 있으심
(4) 자가간호
일상생활 수행능력(식사, 목욕, 세수, 옷입기, 계단오르기, 보행 등): 도움 필요
일상생활 수행능력
스스로 함
도움 필요함
할 수 없음
1. 식사
2. 목욕
3. 세수, 머리빗 사용, 양치질, 면도
4. 옷 입기
5. 침대, 의자에서의 이동
6. 보행(50M)
7. 계단 오르기







D. 안전과 안정요구
1. 피부의 통합성
피부색: 정상 탄력성: 탄력없음 피부상태: 이상없음 감각: 정상(감각저하 없음)
2. 동통
동통: 있음
동통부위: both. leg pain (mild) 시작시기와 기간: 주로 밤에 아픔
방사통 여부: 없음 완화요인: 진통제
3. 체온조절
체온: 36.4℃ 체온변화 양상: 없음
4. 정서(말이 어눌하여 알아듯지 못함)
정서: 안정 질병에 대한 환자의 반은: 만성질환으로 체념, 적응
5. 감각과 운동
보행상태: 자유롭지 못함_휠체어 이용하여 이동 자세: 누워계심, tv 시청 및 이동할 경우 휠체어에 앉음
근력: +5 강한저항에 대항하는 능동적움직임(정상)
<낙상위험사정도구(morse fall scale)>
item
scale
scoring
1. historty of falling: immediate or within 3 months
NO 0
YES 25
0
2. secondary diagnosis
NO 0
YES 25
25
3. ambulatory aid
bed rest/ nurse assist
crutches/ cane/ walker
furniture
0
15
30
15
4. IV/ Heparin Lock
NO 0
YES 25
0
5. Gait/ transferring
normal/bedrest/immobile
weak
impaired
0
10
20
10
6. mental status
oriented to own abillity
forgets limitations
0
15
15
결과→ 총점: 65점으로 high risk
6. 의사결정(말이 어눌하여 잘 알아듣지 못함)
(1) 스트레스/ 대응
스트레스 요인: 통증
대상자의 정서상태와 신체적 표현방법: 통증에 대해 말하고 약달라하심
주로 간병하는 사람: 간병인
(2) 건강관리
입원중 치료 및 건강관리에 관한 이행상태: 물리, 작업치료, 한방치료(침맞기), 스스로 휠체어 끌어보기, 침대에서 움직이기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민간요법 및 약물: 없음
(3) 의사결정
환자의 의사결정 능력과 영향력: 자기 의사를 표현할 줄 알고 그 의사에 맞게 간호하고 있음
7. 지각과 인지
교육시 장애가 되는 요인: dementia 있음
질문이해정도: 이해함 질병, 예후 및 합병증에 관한 지식정도: 없음
GCS (4/4/6)
Eye Opening Response
4: 자발적으로 눈을 뜸
Verbal Response
5: 지남력이 있음
Motor Response
6: 명령에 반응
8.의사소통
의사소통 장애요인: PD의 증상으로 말이 분명하지 않고 떨림
변형된 의사소통 방법: 비언어적표현사용증가(몸짓, 손짓)
언어적 의사소통 및 적절성: 간호사가 하는 말을 이해함, 말이 어눌하여 그분의 요구가 잘 전달되지 못함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적절성: 관절이 자유롭지 못해 표현이 제한됨
Ⅲ. 신체검진 및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

<내가 수행할 수 있는 간호진단1>
1) 복합적요인과 관련된 낙상위험성사정
S
-“할아버지! 혼자 일어나지 마세요”_ by 간병사
-“할아버지 말하고 움직이세요”
-“자꾸 도망가셔서 전에는 억제대로 묶었었어”
O
-Age: 83
-HX. Rt. femur neck fx (2003): weakness
-간병사가 안 도와주면 스스로 사이드레일을 내리고 나가려고 함
-PD 증상: 근육강직(+)
-PD 증상: 가속보행(+)
-보행에 제한 있음, 휠체어이용
-낙상위험사정도구(morse fall scale)가 60점으로 낙상 고위험
-걸을 때 무릎을 구부리며 걸음
-장기간 침상생활로 구축있음
진단
복합적요인(강직, 지식부족, 가속보행)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실습이 끝날 때 이동시 보호자를 불러 같이 동행하여 이동해야 함을 안다.
장기목표: 6개월 후 낙상위험사정도구(morse fall scale)가 50점 이하로 낮은 낙상위험을 보인다.
계획
DP
낙상위험사정도구(morse fall scale)를 통해 낙상 위험도를 사정한다.
가속보행의 정도를 사정한다.
근육의 강직과 구축정도를 관찰해 관절가동범위 운동이 얼마나 제한되는지 사정한다.
TP
환자가 화장실을 갈 때 side bar나 팔걸이 등을 잡고 움직이도록 격려 한다.
이동시 gait belt 등의 보조기구를 사용한다.
항상 side rail을 올려준다.
물리치료 및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연성을 증진시켜 근육경축 완화 및 예방한다.
발꿈치가 덮이고 지지가 되는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도록 한다.(신이 벗겨지면 환자가 넘어질 위험이 큼)
환자가 손이 닿는 곳에 자주사용하는 물건을 두고, 호출벨을 설치한다.
EP
보조기구 사용법을 교육한다.
좁은 문, 빠른 방향전환, 울퉁불퉁한 노면 등을 피해서 걷도록 교육한다.
걸음걸이를
  • 가격1,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7.03.05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