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5대사역사소설 오대사통속연의 10회 11회 12회 한문 및 한글번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5대사역사소설 오대사통속연의 10회 11회 12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십회 유황택유심실계 습진양왕단무공
오대사통속연의 10회 황택을 넘은 유심은 계책을 잃고 진양을 습격한 왕단이 공로가 없다.
제십일회 아보기득세호천황 호류피경전상양장
오대사통속연의 11회 아보기는 기세를 얻어 천황 호칭을 하며 호류파에서 가벼운 전투에 좋은 장수를 잃다
제십이회 망주근수인서지훈 병서온계분오월군
오대사통속연의 12회 망령된 주근은 손수 서지훈을 죽이고 병든 서온은 계책으로 오월군사를 불태우다

본문내용

는 반드시 사기의 꾀가 있을 것이다.”
乃再命偵探, 始得確報, 果系縛芻爲人, 執旗乘驢, 分立城上。
내재명정탐 시득확보 과계박추위인 집기승려 분립성상
縛(묶을 박; -총16획; fu) 芻(꼴, 건초 추; -총10획; chu)
다시 정탐하라고 하여 비로소 확실한 보고를 얻어 과연 건초를 묶어 사람을 만들어 기를 잡고 당나귀를 타며 나눠 성위에 서 있었다.
晉王笑道:“他道我軍盡在魏州, 必乘虛襲我晉陽, 計策却是利害, 但他的長處在襲人, 短處在決戰, 我料他前行不遠, 速往追擊, 不難取勝。”
진왕소도 타도아군진재위주 필승허습아진양 계책각흔시이해 단타적장처재습인 단처재결전 아료타전행불원 속왕추격 불난취승
진나라 왕이 웃으면서 말했다. “그가 말하길 우리 군사가 모두 위주에 있어 반드시 허한 틈을 타서 우리 진양을 습격하니 계책은 매우 이해에 있으니 단지 그의 장점은 타인 습격에 있고 단점은 결전에 있으니 내가 보기에 그는 앞서 옴이 멀지 않아 속히 추격을 가서 어렵지 않게 승리를 취할 것이다.”
(料事頗明。)
료사파명
일 헤아림이 자못 현명하다.
遂發騎兵萬人, 倍道急追, 果然軍潛逾黃澤嶺, 欲襲晉陽, 途次遇着雨, 道險泥滑, 部衆藤援葛, 越嶺西行, 害得腹疾足腫, 或且失足墮死, 因此不能急進。
수발기병만인 배도급추 과연심군잠유택령 욕습진양 도차우착음우 도험니활 부중반등원갈 월령서행 해득복질족종 혹차실족타사 인차불능급진
雨 [yiny] ① 장마 ② 궂은비
곧 기병 만명을 출발해 길을 두배로 빨리 급히 추격하니 과연 유심 군사가 몰래 황택령을 넘어 진양을 습격하려다 도중에 장마를 만나 길이 험하고 미끄러워 부하 무리가 칡덩쿨을 잡아끌고 고개를 넘어 서쪽으로 가다가 배 질병과 발이 부어서 혹 실족해 추락사하니 이로 기인하여 급히 전진을 못했다.
晉陽城內, 也已接得軍報, 勒兵戒嚴, 軍行至樂平, 糧食且盡, 又聞晉陽有備.
진양성내 야이접득군보 륵병계엄 심군행지낙평 양식차진 우문진양유비
勒兵 [le//bng] ① 군대의 행진을 방해하다 ② 군사의 대오(隊伍)를 정돈하고 점검하다 ③ 진군을 막다
진양성내부에 이미 군사보고를 접하고 병사를 엄격히 점검해 유심의 군사는 낙평에 행군해 식량이 다 떨어져 또 진양에 준비가 있다고 들었다.
後面又有追兵到來, 免不得進退兩難, 驚惶交迫。
후면우유추병도래 면부득진퇴양난 경황교박
뒤에 또 추격병이 와서 부득불 진퇴양난으로 놀라 당황함이 교대로 이르렀다.
大衆將有變志, 勢且潰散, 泣諭道:“我等去家千里, 深入敵境, 腹背皆有敵兵, 山谷高深, 去將何往?惟力戰尙可得免。否則一死報君便了。”
대중장유변지 세차궤산 심읍유도 아등거가천리 심입적경 복배개유적병 산곡고심 거장하왕 유력전상가득면 부즉일사보군변료
대중이 장차 뜻이 변하니 기세가 또 궤멸되어 흩어지니 유심이 울면서 회유해 말했다. “우리들은 집을 천리를 떠나서 깊이 적 경계에 들어가 앞뒤로 모두 적병이 있고 산골짜기가 높고 깊어 장차 어디로 가겠는가? 오직 힘써 싸워야만 면할 수 있다. 아니라면 한번 죽어 군주에 보답하면 된다.”
部衆感他忠誠, 免異圖。
부중감타충성 재면이도
부하 무리는 그의 충성에 감격해 겨우 다른 도모를 면했다.
晉將周德威本留鎭幽州, (見前回。)聞劉西襲晉陽, 引千騎往援, 行至土門, 已整衆下山, 自邢州繞出宗城, 欲襲據臨, 晉糧道。
진장주덕위본유진유주 현전회 문유심서습진양 극인천기왕원 행지토문 심이정중하산 자형주요출종성 욕습거임청 절진양도
진나라 장수인 주덕위는 본래 유주에 남아 다스리다가 (전회에 나타난다)유심이 서쪽에서 진양을 습격함을 듣고 빨리 천여기병을 이끌고 구원을 와서 토문에 행군이 이르러서 유심이 이미 군사를 정돈하고 하산하며 형주에서 종성을 둘러싸 나오며 임청을 습격 점거하고 진나라 식량길을 끊으려하였다.
(又復變計。)
우부변계
또 계책을 변화하였다.
德威兼程追, 到了南宮, 捕得諜數人, 斷腕縱還, 令他還報道:“周侍中已到臨了!”
덕위겸정추심 도료남궁 포득심첩수인 단완종환 령타환보도 주시중이도임청료
諜(염탐할 첩; -총16획; die)
주덕위는 길을 두배로 유심 추격을 가서 남궁에 도달해 유심 간첩 몇 사람을 체포해 팔목을 끊어 돌려보내고 그들에게 돌아가 보고하게 했다. “주시중이 이미 임청에 도달했습니다!”
始大驚, 按兵不進, 那知中了德威詭計, 直至次日遲明, 始由德威軍略過營, 馳入臨.
심시대경 안병부진 나지중료덕위궤계 직지차일지명 시유덕위군략과심영 치입임청
遲明:날이 밝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날이 밝아 올 즈음을 이르는 말
유심이 비로소 매우 놀라 병사를 멈추고 진격을 안했는데 어찌 주덕위 속임 계책에 맞음을 알리오? 곧장 다음날 밝아올 즈음에 비로소 주덕위 군사는 대략 유심군영을 지나 임청에 말달려 들어갔다.
(煞是智。)
살시투지
매우 전투에 지혜가 있다.
始悔爲德威所, 引兵趨貝州。
심시회위덕위소잠 극인병심패주
유심이 비로소 주덕위에게 속음을 후회하고 빨리 병사를 이끌고 패주로 왔다.
晉王連得軍報, 已知由西返東, 追兵不能得手, 乃出屯博州, 遙應德威。
진왕연득군보 이지심유서반동 추병불능득수 내출둔박주 요응덕위
[yao ying] 地配合呼
진나라 왕은 연달아 군사보고를 얻고 이미 유심이 서쪽에서 동쪽에 돌아옴을 알고 추격병은 손을 쓰지 못하니 박주로 주둔을 나와 멀리 주덕위를 응원했다.
德威追至堂邑, 殺了一仗, 互有死傷.
덕위추심지당읍 살료일장 호유사상
주덕위는 유심을 추격해 당읍에 이르러서 한바탕 싸우고 상호 사상자가 있었다.
移軍莘縣, 設塹固守, 自莘及河, 築甬道以通糧餉。
심이군신현 설참고수 자신급하 축용도이통양향
甬(길 용; -총7획; yong)道 [yngdao] ① 큰 정원이나 묘지의 가운데 길 ② 정원의 소로 ③ 복도
유심은 군사를 신현에 옮겨 참호를 설치해 고수하고 신현에서 하천에 이르러서 용도를 건축해 식량길을 통하게 했다.
晉王存勖, 也出屯莘縣西偏, 煙火相望, 一日數戰, 未分勝負.
진왕존욱 야출둔신현서편 연화상망 일일수전 미분승부
진왕 이존욱은 신현 서쪽으로 주둔을 나와 연기와 불을 보고 하루에 몇 번 싸워도 승부가 나뉘지 않았다.
晉王分兵攻甬道, 用着大刀闊斧, 斬伐柵木.
진왕분병공심용도 용착대도활부 참벌책목
진나라 왕은 병사를 나눠 유심 용도를 공격해 큰 칼과 넓은 도끼를 사요

키워드

오월,   서온,   소주,   향산,   진장,   하봉,   오건,   전관,   진엄겸,   오대사통속연의
  • 가격11,000
  • 페이지수66페이지
  • 등록일2017.03.05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