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목차
당사통속연의 31회 칙령으로 비밀리에 엄격한 형벌을 남용하며 당나라를 바로잡는 회복을 도모하다가 큰 재앙을 구성하다
당사통속연의 32회 측천무후는 혁명으로 존귀한 황제라 칭하며 적인걸은 어제를 받들어 감옥을 나서다
당사통속연의 33회 안금장이 심장을 갈라 신의를 밝히며 승려 회의는 악행을 하다 사형을 받다
당사통속연의 32회 측천무후는 혁명으로 존귀한 황제라 칭하며 적인걸은 어제를 받들어 감옥을 나서다
당사통속연의 33회 안금장이 심장을 갈라 신의를 밝히며 승려 회의는 악행을 하다 사형을 받다
본문내용
第三十一回 告密濫用嚴刑 謀匡復構成大禍
제삼십일회 칙고밀남용엄형 모광복구성대화
당사통속연의 31회 칙령으로 비밀리에 엄격한 형벌을 남용하며 당나라를 바로잡는 회복을 도모하다가 큰 재앙을 구성하다.
却說羽林將軍程務挺, 自預謀廢立后, 出任單于道安撫大使, 防禦突厥, 因阿史那骨篤祿及阿史那元珍等, 尙出沒塞外, 所以有此調遣。(接應第二十九回。)
각설우림장군정무정 자예모폐입후 출임선우도안무대사 방어돌궐 인아사나골독록급아사나원진등 상출몰새외 소이유차조견
遣 [diaoqin] ①파견하다 ②배정하다 ③지시
각설하고 우림장군인 정무정은 스스로 미리 황후를 폐위시키고 세울 예정을 하고 선우도안무대사로 임지로 나와 돌궐을 방어하며 아사나골독록과 아사나원진등이 아직 변방밖에 출몰하여 이렇게 파견되게 되었다. 29회와 접응한다.
當裴炎下獄時, 務挺嘗密表申理, 武氏爲之不歡。
당배염하옥시 무정상밀표신리 무씨위지불환
申理 [shnl] ① 억울함을 풀어 주다 ② 수습하다 ③ 다스리다
당시 배염이 하옥될 때 정무정은 일찍이 비밀리에 표를 올려 억울함을 풀게 하니 무씨는 그를 기쁘게 여기지 않았다.
至敬業敗死, 或上言務挺與敬業通謀, 武氏也不加詳審, 遽令左鷹揚將軍裴紹業, 馳往務挺軍中, 宣處斬。
지경업패사 혹상언무정여경업통모 무씨야불가상심 거령좌응양장군배소업 치왕무정군중 선칙처참
宣: 1.\"宣\"。 宣 xun 公出,散布:宣。 chi 帝王的、命令:命。
서경업이 패배하여 죽어 혹자가 정무정이 서경업과 공모하니 무씨는 자세히 살피지 않고 급히 좌응양장군인 배소업을 시켜 정무정의 군중에 말달려 가서 칙령을 펴 참수하게 했다.
務挺夙有勇名, 爲突厥所畏憚, 及聞他正法, 宴相慶。
무정숙유용명 위돌궐소외탄 급문타정법 연음상경
정무정은 평소 용기와 명성이 있어서 돌궐이 두려우며 꺼리며 그가 법을 바로잡는다고 듣고 잔치를 열어 경사하게 했다.
還有夏州都督王方翼, 由安西都護調任, (亦應二十九回。) 與務挺職務相關, 且系廢后王氏近親, 亦逮捕下獄, 流徙崖州, 輾轉斃命。
환유하주도독왕방익 유안서도호조임 역응이십구회 여무정직무상관 차계폐후왕씨근친 역체포하옥 유사애주 전전폐명
崖(벼랑 애; -총11획; ya,ai)
任 [diaoren]①전임 ②전근 ③전임하다
命 [biming]①죽다 ②목숨을 잃다
다시 하주도독인 왕방익은 안서도호에 임명(29회에 상응한다)되어 정무정의 직무와 상관하고 폐위된 황후 왕씨와 가까운 친척으로 또 체포되어 하옥되머 애주에 유배되어 다시 죽게 될까 전전긍긍했다.
越年, 武氏以敬業早平, 復改元垂拱, 仍遷廬陵王哲至房州。
월년 무씨이경업조평 부개원수공 잉천려릉왕철지방주
垂拱 [chuigng] 원년685년① 옷소매를 늘어뜨리고 팔짱을 끼다 ② 하지 아니하고 되어 가는 대로 내버려두다
다음해에 무씨는 서경업이 조기에 평정되어 다시 수공으로 개원하여 여릉왕 이철을 방주로 옮겼다.
武氏年已周甲, 華色未衰, 脂粉釵環, 未嘗少撤。
무씨년이주갑 화색미쇠 지분차환 미상소철
周甲: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나이 예순한 살
[chihuan]①비녀와 귀걸이 ②부녀자의 장신구의 총칭
무씨 나이가 이미 61세로 화색이 아직 쇠미하지 않고 화장품과 비녀, 귀걸이를 아직 일찍이 거두지 않았다.
自從高宗年, 屢患風眩, 不能與武氏常親枕席, 武氏已鬱鬱寡歡, 好容易待到駕崩, 臨朝秉政, 大權在握, 一子廢黜, 一子居住別殿, 也似禁錮一般.
자종고종만년 루환두현 불능여무씨상친침석 무씨이울울과환 호용이대도가붕 임조병정 대권재악 일자폐출 일자거주별전 야사금고일반
당고종의 만년에 자주 어지러운 증상을 앓아서 무씨가 항상 침석에서 잠자리를 못해 무씨는 이미 답답해 즐거움이 적어 잘 붕어하기까지 기다려 조정에서 정권을 잡아 대권이 손아귀에 있어서 한 아들을
제삼십일회 칙고밀남용엄형 모광복구성대화
당사통속연의 31회 칙령으로 비밀리에 엄격한 형벌을 남용하며 당나라를 바로잡는 회복을 도모하다가 큰 재앙을 구성하다.
却說羽林將軍程務挺, 自預謀廢立后, 出任單于道安撫大使, 防禦突厥, 因阿史那骨篤祿及阿史那元珍等, 尙出沒塞外, 所以有此調遣。(接應第二十九回。)
각설우림장군정무정 자예모폐입후 출임선우도안무대사 방어돌궐 인아사나골독록급아사나원진등 상출몰새외 소이유차조견
遣 [diaoqin] ①파견하다 ②배정하다 ③지시
각설하고 우림장군인 정무정은 스스로 미리 황후를 폐위시키고 세울 예정을 하고 선우도안무대사로 임지로 나와 돌궐을 방어하며 아사나골독록과 아사나원진등이 아직 변방밖에 출몰하여 이렇게 파견되게 되었다. 29회와 접응한다.
當裴炎下獄時, 務挺嘗密表申理, 武氏爲之不歡。
당배염하옥시 무정상밀표신리 무씨위지불환
申理 [shnl] ① 억울함을 풀어 주다 ② 수습하다 ③ 다스리다
당시 배염이 하옥될 때 정무정은 일찍이 비밀리에 표를 올려 억울함을 풀게 하니 무씨는 그를 기쁘게 여기지 않았다.
至敬業敗死, 或上言務挺與敬業通謀, 武氏也不加詳審, 遽令左鷹揚將軍裴紹業, 馳往務挺軍中, 宣處斬。
지경업패사 혹상언무정여경업통모 무씨야불가상심 거령좌응양장군배소업 치왕무정군중 선칙처참
宣: 1.\"宣\"。 宣 xun 公出,散布:宣。 chi 帝王的、命令:命。
서경업이 패배하여 죽어 혹자가 정무정이 서경업과 공모하니 무씨는 자세히 살피지 않고 급히 좌응양장군인 배소업을 시켜 정무정의 군중에 말달려 가서 칙령을 펴 참수하게 했다.
務挺夙有勇名, 爲突厥所畏憚, 及聞他正法, 宴相慶。
무정숙유용명 위돌궐소외탄 급문타정법 연음상경
정무정은 평소 용기와 명성이 있어서 돌궐이 두려우며 꺼리며 그가 법을 바로잡는다고 듣고 잔치를 열어 경사하게 했다.
還有夏州都督王方翼, 由安西都護調任, (亦應二十九回。) 與務挺職務相關, 且系廢后王氏近親, 亦逮捕下獄, 流徙崖州, 輾轉斃命。
환유하주도독왕방익 유안서도호조임 역응이십구회 여무정직무상관 차계폐후왕씨근친 역체포하옥 유사애주 전전폐명
崖(벼랑 애; -총11획; ya,ai)
任 [diaoren]①전임 ②전근 ③전임하다
命 [biming]①죽다 ②목숨을 잃다
다시 하주도독인 왕방익은 안서도호에 임명(29회에 상응한다)되어 정무정의 직무와 상관하고 폐위된 황후 왕씨와 가까운 친척으로 또 체포되어 하옥되머 애주에 유배되어 다시 죽게 될까 전전긍긍했다.
越年, 武氏以敬業早平, 復改元垂拱, 仍遷廬陵王哲至房州。
월년 무씨이경업조평 부개원수공 잉천려릉왕철지방주
垂拱 [chuigng] 원년685년① 옷소매를 늘어뜨리고 팔짱을 끼다 ② 하지 아니하고 되어 가는 대로 내버려두다
다음해에 무씨는 서경업이 조기에 평정되어 다시 수공으로 개원하여 여릉왕 이철을 방주로 옮겼다.
武氏年已周甲, 華色未衰, 脂粉釵環, 未嘗少撤。
무씨년이주갑 화색미쇠 지분차환 미상소철
周甲: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나이 예순한 살
[chihuan]①비녀와 귀걸이 ②부녀자의 장신구의 총칭
무씨 나이가 이미 61세로 화색이 아직 쇠미하지 않고 화장품과 비녀, 귀걸이를 아직 일찍이 거두지 않았다.
自從高宗年, 屢患風眩, 不能與武氏常親枕席, 武氏已鬱鬱寡歡, 好容易待到駕崩, 臨朝秉政, 大權在握, 一子廢黜, 一子居住別殿, 也似禁錮一般.
자종고종만년 루환두현 불능여무씨상친침석 무씨이울울과환 호용이대도가붕 임조병정 대권재악 일자폐출 일자거주별전 야사금고일반
당고종의 만년에 자주 어지러운 증상을 앓아서 무씨가 항상 침석에서 잠자리를 못해 무씨는 이미 답답해 즐거움이 적어 잘 붕어하기까지 기다려 조정에서 정권을 잡아 대권이 손아귀에 있어서 한 아들을
추천자료
채동번의 중국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7회 8회 9회 한문 및 한글번역 64페이지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21회 22회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 페이지 89
채동번의 중국 서한 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41회 42회 43회 44회 86페이지 한문 및 중국어 단...
채동번의 청나라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64회 65회 66회 한문 및 한글번역 중국어 단어 해설 7...
채동번의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79회 80회 81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서한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69회 70회 71회 72회 한문 및 한글번역 92페이지
채동번의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88회 89회 90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85페이지
채동번의 중국서한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65회 66회 67회 68회 한문 및 한글번역 91페이지.hwp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22회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 76 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