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목차
당사통속연의 28회 서강을 정벌하여 연달아 토번은 패배하며 동궁을 두 번 바꿔서 원망을 받다
당사통속연의 29회 배총관은 군사를 내어 자주 이기며 당나라 고종은 질병을 얻어 죽게 된다
당사통속연의 30회 여릉왕을 폐위당해 옮겨가고 좋은 계책을 위반한 서경업은 패배로 죽다
당사통속연의 29회 배총관은 군사를 내어 자주 이기며 당나라 고종은 질병을 얻어 죽게 된다
당사통속연의 30회 여릉왕을 폐위당해 옮겨가고 좋은 계책을 위반한 서경업은 패배로 죽다
본문내용
법령엄정 상하일심 소이능력구강성니
朴 [pl] 우둔하고 고지식하다
比 [bn] ①비교하다 ②비유하다 ③비유법
중종이 대답했다. “토번은 땅이 척박하고 날씨가 차며 풍속이 우둔하니 어찌 중국에 비교하겠습니까? 단지 법령이 엄정하여 위아래 사람이 일심동체라서 오래 강성할 수 있었습니다.”
(外域之强, 大都由此。)
외역지강 대도유차
大都 [dadu] ① 대부분 ② 대다수 ③ 대도시
외부땅의 강성함은 대개 이에 유래한다.
高宗又問道:“吐谷渾與吐蕃, 向系親, 吐蕃乃納叛棄和, 據有吐谷渾土地, 朕遣薛仁貴等, 往定吐谷渾, 吐蕃又發兵邀擊, 這是何理?難道我國果敵不過吐蕃?”
고종우문도 토곡혼여토번 향계친린 토번내납반기화 거유토곡혼토지 짐견설인귀등 왕정토곡혼 토번우발병요격 저시하리 난도아국과적불과토번마
당고종이 또 물었다. “토곡혼과 토번은 친한 이웃인데 토번은 반란하고 화친을 버려서 토곡혼 토지를 점거하니 짐이 설인귀등을 보내 토곡혼을 평정하러 보냈는데 토번은 또 병사를 내어 요격함이 이 어떤 이치요? 우리 나라가 과연 토번을 대적하기 못하리라 말하시오?”
琮頓首道:“臣奉使入貢, 他事非所敢聞。”
종돈수도 신봉사입공 타사비소감문
중종은 머리를 조아리며 말했다. “신은 사신일을 받들어 조공을 왔으니 다른 일은 감히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高宗以爲知言, 厚禮遣還;
고종이위지언 후례견환
당고종은 그가 지혜가 있고 말을 잘해 두터운 예물로 돌려보냈다.
再擬命將西征, 苦無統帥, 且因高麗餘衆, 出沒東方, 屢有亂事, 新羅王金法敏, 容納叛人, 串使爲亂, 乃暫停西略, 先事東征。
재의명장서정 고무통사 차인고려여중 출몰동방 루유난사 신라왕김법민 용납반인 관사위란 내잠정서략 선사동정
串(곶, 친압하다 곶{익힐 관,꿰미 천,꼬챙이 찬}; -총7획; chuan)
다시 서쪽 정벌을 임명하려나 고심스럽게 통솔할 장수가 없고 고구려 남은 무리가 동망에 나오지 않고 자주 반란을 일으켜 신라왕 김법민은 반란자를 용납해 친해서 반란을 일으키게 하니 잠깐 서쪽 침략을 정지하고 먼저 동쪽 정벌을 하려고 했다.
初遣高侃爲東川道行軍總管, 發兵討高麗叛衆, 屢次告捷, 終無成功。
초견고간위동천도행군총관 발병토고려반중 루차고첩 종무성공
초기에 고간을 동천도행군총관으로 보내 병사를 출발해 고구려에 반란을 하게 하여 자주 승첩을 고하나 종내 성공이 없었다.
再遣劉仁軌爲林道大總管, 及衛尉卿李弼, 燕山總管李謹行等, 同討新羅叛王, 斬獲頗衆。
재견유인궤위계림도대총관 급위위경이필 연산총관이근행등 동토신라반왕 참획파중
다시 유인궤를 계림도대총관과 위위경인 이필과 연산총관인 이근행등을 보내 동일하게 신라의 반란왕을 토벌하게 하여 베고 포로를 얻음이 많았다.
仁軌遽奉召還朝, 惟李謹行屢建奇功, 妻劉氏居守伐奴城, 環甲率兵, 擊退賊虜, 受封燕國夫人。
인궤거봉조환조 유이근행루건기공 처유씨거수벌노성 환갑솔병 격퇴적로 수봉연국부인
유인궤는 급히 조서를 받들어 조정에 돌아오니 이근만 자주 기이한 공로를 세우니 그의 처인 유씨는 벌노성을 지켜 갑옷을 두루고 병사를 인솔하여 적무리를 격퇴하여 연국부인의 봉을 받았다.
(不沒勇婦。)
불몰용부
용감한 부인은 없을 수 없다.
謹行進任東安鎭撫大使, 進逼新羅, 三戰皆捷。
근행진임동안진무대사 진핍신라 삼전개첩
이근은 진격해 동안진무대사로 승진해 신라를 핍박해 진격하여 3번 싸움에 모두 승첩을 거두었다.
新羅王乃遣使謝罪, 且貢方物, 高宗乃赦罪不問。
신라왕내견사사죄 차공방물 고종내사죄불문
신라왕이 사신을 보내 사죄하여 방물을 조공을 바쳐 당고종은 죄를 사면하여 묻지 않았다.
嗣復遣高藏扶, 餘隆歸國, 令各撫故土人民。
사부견고장 부여륭귀국 령각무고토인민
이어서 고장과 부여륭을 귀국을 보내서 각자 예전 땅 인민을 위로하게 했다.
藏得封爲朝鮮王, 隆得封爲帶方王。
장득봉위조선왕 륭득봉위대방왕
고장은 봉지를 얻어 조선왕이 되고 부여륭도 봉을 받아 대방왕이 되었다.
偏藏至遼東謀叛, 乃仍召還, 徙州而死, 隆畏新羅勢盛, 始終觀望, 不敢入故都, 尋且退歸內地, 於是高麗, 百濟, 幾盡入新羅。
편장지요동모반 내잉소환 도공주이사 륭외신라세성 시종관망 불감입고도 심차퇴납내지 어시고려백제 기진병입신라
(언덕 공; -총6획; qiong)
마침 고장은 요동에서 모반을 일으키다가 소환되고 공주로 옮겨져 죽고 부여륭은 신라의 위세가 성대함을 두려워하여 시종 관망만 하다가 감히 예전 수도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러나 내지를 가지고 귀순하이 이에 고구려와 백제는 거의 신라에 병입되었다.
(此段爲銷納文字。)
차단위초납문자
[xiona] ①팔림새 ②매기 ③팔리는 상태
이 단락은 문자를 팔아보았다.
是時劉仁軌已官尙書右僕射, 出任河鎭守使, 防禦吐蕃, 東方乏一熟手, 只可舍東顧西。
시시유인궤이관상서우복야 출임조하진수사 방어토번 동방핍일숙수 지가사동고서
감숙 타오허:(씻을 조; -총9획; tao)河
熟手 [shushu] ① 숙련자 ② 능숙한 사람 ③ 숙달한 사람
이 때 유인궤는 이미 관직이 상서우복야로 임지 조하진수사로 나가 토번을 방어하나 동방은 한 숙련자가 부족해 단지 동쪽을 버리고 서쪽만 돌아보았다.
(借仁軌事作穿, 以便東西連貫。)
차인궤사작천삽 이편동서연관
穿 [chunch] ① 교차하다 ② 엇바꾸다 ③ 삽입하다
유인궤의 일을 교차하여 곧 동서쪽이 연관됨을 보인다.
會許敬宗因病致仕, 未幾卽死。
회허경종인병치사 미기즉사
마침 허경종은 질병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얼마안되어 죽었다.
敬宗構害忠良, 驕奢無度, 在京師廣營第舍, 僭造連樓, 召諸妓走馬樓上, 縱酒奏樂, 自娛年。
경종구해충량 교사무도 재경사광영제사 참조연루 소제기주마루상 종주주악 자오만년
構害: 트집을 잡아 해침
허경종은 충신과 어진 신하를 트집잡아 해치고 교만 사치가 한도가 없고 수도에 널리 집을 만들어 참람되게 연달아 누각을 만들어 여러 기생을 불러 말을 누각위에서 달리며 술을 마음대로 마시며 음악을 연주하여 스스로 만년을 즐겼다.
又納美婢爲繼室, 婢竟與敬宗子私通, 敬宗奏斥至嶺外, 久乃表還, 復以女嫁蠻酋馮子, 多得私賂。
우납미비위계실 비경여경종자앙사통 경종주척앙지령외 구내표환 부이여가만추빙영자 다득사뢰
허경종은 또 아름다운 계집종을 계실로 들이니 종이 마침내 경종 아들 허앙과 사통하여 허경종은 상주해 배척해 허앙을 령외로
朴 [pl] 우둔하고 고지식하다
比 [bn] ①비교하다 ②비유하다 ③비유법
중종이 대답했다. “토번은 땅이 척박하고 날씨가 차며 풍속이 우둔하니 어찌 중국에 비교하겠습니까? 단지 법령이 엄정하여 위아래 사람이 일심동체라서 오래 강성할 수 있었습니다.”
(外域之强, 大都由此。)
외역지강 대도유차
大都 [dadu] ① 대부분 ② 대다수 ③ 대도시
외부땅의 강성함은 대개 이에 유래한다.
高宗又問道:“吐谷渾與吐蕃, 向系親, 吐蕃乃納叛棄和, 據有吐谷渾土地, 朕遣薛仁貴等, 往定吐谷渾, 吐蕃又發兵邀擊, 這是何理?難道我國果敵不過吐蕃?”
고종우문도 토곡혼여토번 향계친린 토번내납반기화 거유토곡혼토지 짐견설인귀등 왕정토곡혼 토번우발병요격 저시하리 난도아국과적불과토번마
당고종이 또 물었다. “토곡혼과 토번은 친한 이웃인데 토번은 반란하고 화친을 버려서 토곡혼 토지를 점거하니 짐이 설인귀등을 보내 토곡혼을 평정하러 보냈는데 토번은 또 병사를 내어 요격함이 이 어떤 이치요? 우리 나라가 과연 토번을 대적하기 못하리라 말하시오?”
琮頓首道:“臣奉使入貢, 他事非所敢聞。”
종돈수도 신봉사입공 타사비소감문
중종은 머리를 조아리며 말했다. “신은 사신일을 받들어 조공을 왔으니 다른 일은 감히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高宗以爲知言, 厚禮遣還;
고종이위지언 후례견환
당고종은 그가 지혜가 있고 말을 잘해 두터운 예물로 돌려보냈다.
再擬命將西征, 苦無統帥, 且因高麗餘衆, 出沒東方, 屢有亂事, 新羅王金法敏, 容納叛人, 串使爲亂, 乃暫停西略, 先事東征。
재의명장서정 고무통사 차인고려여중 출몰동방 루유난사 신라왕김법민 용납반인 관사위란 내잠정서략 선사동정
串(곶, 친압하다 곶{익힐 관,꿰미 천,꼬챙이 찬}; -총7획; chuan)
다시 서쪽 정벌을 임명하려나 고심스럽게 통솔할 장수가 없고 고구려 남은 무리가 동망에 나오지 않고 자주 반란을 일으켜 신라왕 김법민은 반란자를 용납해 친해서 반란을 일으키게 하니 잠깐 서쪽 침략을 정지하고 먼저 동쪽 정벌을 하려고 했다.
初遣高侃爲東川道行軍總管, 發兵討高麗叛衆, 屢次告捷, 終無成功。
초견고간위동천도행군총관 발병토고려반중 루차고첩 종무성공
초기에 고간을 동천도행군총관으로 보내 병사를 출발해 고구려에 반란을 하게 하여 자주 승첩을 고하나 종내 성공이 없었다.
再遣劉仁軌爲林道大總管, 及衛尉卿李弼, 燕山總管李謹行等, 同討新羅叛王, 斬獲頗衆。
재견유인궤위계림도대총관 급위위경이필 연산총관이근행등 동토신라반왕 참획파중
다시 유인궤를 계림도대총관과 위위경인 이필과 연산총관인 이근행등을 보내 동일하게 신라의 반란왕을 토벌하게 하여 베고 포로를 얻음이 많았다.
仁軌遽奉召還朝, 惟李謹行屢建奇功, 妻劉氏居守伐奴城, 環甲率兵, 擊退賊虜, 受封燕國夫人。
인궤거봉조환조 유이근행루건기공 처유씨거수벌노성 환갑솔병 격퇴적로 수봉연국부인
유인궤는 급히 조서를 받들어 조정에 돌아오니 이근만 자주 기이한 공로를 세우니 그의 처인 유씨는 벌노성을 지켜 갑옷을 두루고 병사를 인솔하여 적무리를 격퇴하여 연국부인의 봉을 받았다.
(不沒勇婦。)
불몰용부
용감한 부인은 없을 수 없다.
謹行進任東安鎭撫大使, 進逼新羅, 三戰皆捷。
근행진임동안진무대사 진핍신라 삼전개첩
이근은 진격해 동안진무대사로 승진해 신라를 핍박해 진격하여 3번 싸움에 모두 승첩을 거두었다.
新羅王乃遣使謝罪, 且貢方物, 高宗乃赦罪不問。
신라왕내견사사죄 차공방물 고종내사죄불문
신라왕이 사신을 보내 사죄하여 방물을 조공을 바쳐 당고종은 죄를 사면하여 묻지 않았다.
嗣復遣高藏扶, 餘隆歸國, 令各撫故土人民。
사부견고장 부여륭귀국 령각무고토인민
이어서 고장과 부여륭을 귀국을 보내서 각자 예전 땅 인민을 위로하게 했다.
藏得封爲朝鮮王, 隆得封爲帶方王。
장득봉위조선왕 륭득봉위대방왕
고장은 봉지를 얻어 조선왕이 되고 부여륭도 봉을 받아 대방왕이 되었다.
偏藏至遼東謀叛, 乃仍召還, 徙州而死, 隆畏新羅勢盛, 始終觀望, 不敢入故都, 尋且退歸內地, 於是高麗, 百濟, 幾盡入新羅。
편장지요동모반 내잉소환 도공주이사 륭외신라세성 시종관망 불감입고도 심차퇴납내지 어시고려백제 기진병입신라
(언덕 공; -총6획; qiong)
마침 고장은 요동에서 모반을 일으키다가 소환되고 공주로 옮겨져 죽고 부여륭은 신라의 위세가 성대함을 두려워하여 시종 관망만 하다가 감히 예전 수도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러나 내지를 가지고 귀순하이 이에 고구려와 백제는 거의 신라에 병입되었다.
(此段爲銷納文字。)
차단위초납문자
[xiona] ①팔림새 ②매기 ③팔리는 상태
이 단락은 문자를 팔아보았다.
是時劉仁軌已官尙書右僕射, 出任河鎭守使, 防禦吐蕃, 東方乏一熟手, 只可舍東顧西。
시시유인궤이관상서우복야 출임조하진수사 방어토번 동방핍일숙수 지가사동고서
감숙 타오허:(씻을 조; -총9획; tao)河
熟手 [shushu] ① 숙련자 ② 능숙한 사람 ③ 숙달한 사람
이 때 유인궤는 이미 관직이 상서우복야로 임지 조하진수사로 나가 토번을 방어하나 동방은 한 숙련자가 부족해 단지 동쪽을 버리고 서쪽만 돌아보았다.
(借仁軌事作穿, 以便東西連貫。)
차인궤사작천삽 이편동서연관
穿 [chunch] ① 교차하다 ② 엇바꾸다 ③ 삽입하다
유인궤의 일을 교차하여 곧 동서쪽이 연관됨을 보인다.
會許敬宗因病致仕, 未幾卽死。
회허경종인병치사 미기즉사
마침 허경종은 질병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얼마안되어 죽었다.
敬宗構害忠良, 驕奢無度, 在京師廣營第舍, 僭造連樓, 召諸妓走馬樓上, 縱酒奏樂, 自娛年。
경종구해충량 교사무도 재경사광영제사 참조연루 소제기주마루상 종주주악 자오만년
構害: 트집을 잡아 해침
허경종은 충신과 어진 신하를 트집잡아 해치고 교만 사치가 한도가 없고 수도에 널리 집을 만들어 참람되게 연달아 누각을 만들어 여러 기생을 불러 말을 누각위에서 달리며 술을 마음대로 마시며 음악을 연주하여 스스로 만년을 즐겼다.
又納美婢爲繼室, 婢竟與敬宗子私通, 敬宗奏斥至嶺外, 久乃表還, 復以女嫁蠻酋馮子, 多得私賂。
우납미비위계실 비경여경종자앙사통 경종주척앙지령외 구내표환 부이여가만추빙영자 다득사뢰
허경종은 또 아름다운 계집종을 계실로 들이니 종이 마침내 경종 아들 허앙과 사통하여 허경종은 상주해 배척해 허앙을 령외로
추천자료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21회 22회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 페이지 89
채동번의 중국 서한 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41회 42회 43회 44회 86페이지 한문 및 중국어 단...
채동번의 중국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52회 53회 54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55회 56회 57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중국어해설
채동번의 청나라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64회 65회 66회 한문 및 한글번역 중국어 단어 해설 7...
채동번의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79회 80회 81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82회 83회 84회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서한역사소설 전한통속연의 69회 70회 71회 72회 한문 및 한글번역 92페이지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22회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 76 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