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목차
단원 1 생명의 화학
2 생명체의 화학적 구성
3 물과 생명
4 생명의 탄소와 분자 다양성
5 거대 생체분자의 구조와 기능
단원 2 세포
6 세포로의 여행
7 막의 구조와 기능
8 물질대사 서론
9 세포호흡과 발효
10 광합성
11 세포의 신호교환
12 세포주기
단원 3 유전학
13 감수분열과 생식주기
14 멘델과 유전자 개념
15 염색체와 유전현상
16 유전의 분자적 기초
17 유전학에서 단백질로
18 유전자 발현 조절
19 바이러스
20 바이오테크놀로지
21 유전체 및 유전체의 진화
단원 4 진화의 방식
22 변형된 혈통 : 다윈주의 생물관
23 집단들의 진화
24 종의 기원
25 지구 생물의 역사
단원 5 생물다양성의 진화사
26 계통발생과 생물의 계통수
27 진정세균과 고세균
28 원생생물
29 식물의 다양성Ⅰ : 식물이 어떻게 육지로 이주하였나?
30 생물의 다양성Ⅱ : 종자식물의 진화
31 균류
32 동물의 다양성
33 무척추동물
34 척추동물의 기원과 진화
단원 6 식물의 형태 및 기능
35 식물의 구조, 생장, 발생
36 관다발식물의 자양분 공급과 수송
37 토양과 식물의 영양
38 속씨식물의 생식과 생명공학
39 내외 신호에 대한 식물의 반응
단원 7 동물의 형태 및 기능
40 동물형태와 기능의 기본원리
41 동물의 영양
42 순환계와 기체교환
43 면역계
44 삼투조절과 배설
45 호르몬과 내분비계
46 동물의 번식
47 동물의 발생
48 신경세포, 시냅스, 그리고 신경전달
49 신경계
50 감각과 운동의 기작
51 동물행동학
단원 8 생태학
52 생태학과 생물권
53 개체군생태학
54 군집생태학
55 생태계와 복원 생태학
56 보전생물학과 지구의 변화
2 생명체의 화학적 구성
3 물과 생명
4 생명의 탄소와 분자 다양성
5 거대 생체분자의 구조와 기능
단원 2 세포
6 세포로의 여행
7 막의 구조와 기능
8 물질대사 서론
9 세포호흡과 발효
10 광합성
11 세포의 신호교환
12 세포주기
단원 3 유전학
13 감수분열과 생식주기
14 멘델과 유전자 개념
15 염색체와 유전현상
16 유전의 분자적 기초
17 유전학에서 단백질로
18 유전자 발현 조절
19 바이러스
20 바이오테크놀로지
21 유전체 및 유전체의 진화
단원 4 진화의 방식
22 변형된 혈통 : 다윈주의 생물관
23 집단들의 진화
24 종의 기원
25 지구 생물의 역사
단원 5 생물다양성의 진화사
26 계통발생과 생물의 계통수
27 진정세균과 고세균
28 원생생물
29 식물의 다양성Ⅰ : 식물이 어떻게 육지로 이주하였나?
30 생물의 다양성Ⅱ : 종자식물의 진화
31 균류
32 동물의 다양성
33 무척추동물
34 척추동물의 기원과 진화
단원 6 식물의 형태 및 기능
35 식물의 구조, 생장, 발생
36 관다발식물의 자양분 공급과 수송
37 토양과 식물의 영양
38 속씨식물의 생식과 생명공학
39 내외 신호에 대한 식물의 반응
단원 7 동물의 형태 및 기능
40 동물형태와 기능의 기본원리
41 동물의 영양
42 순환계와 기체교환
43 면역계
44 삼투조절과 배설
45 호르몬과 내분비계
46 동물의 번식
47 동물의 발생
48 신경세포, 시냅스, 그리고 신경전달
49 신경계
50 감각과 운동의 기작
51 동물행동학
단원 8 생태학
52 생태학과 생물권
53 개체군생태학
54 군집생태학
55 생태계와 복원 생태학
56 보전생물학과 지구의 변화
본문내용
수 있는 RNA의 짧은 단편이었을 것이다. 이런 RNA가 있는 초기 원시세포는 자연선택을 통해 수가 증가할 수 있었을 것이다.
25.2 - 화석 기록은 생명의 역사를 증명하는 자료이다.
대부분 퇴적암에서 발견된 화석을 기초로 한 화석 기록은 시간에 따른 여러 생물군의 흥망성쇠를 보여준다.
퇴적층은 화석의 상대적인 연대를 알려준다. 화석의 절대 연대는 방사성 연대측정법 및 여러 방법으로 추정할 수 있다.
화석 기록은 새로운 생물군이 어떻게 기준 생물에서 점진적인 변형의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25.3 - 생명의 역사에서 핵심이 되는 사건은 단세포 생물과 다세포 생물의 기원과 육상 진출이다.
25.4 - 생물군의 흥망성쇠는 종분화와 멸종의 속도 차이를 반영한다.
판구조론에서 대륙판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동하며, 지구의 물리적 지형과 기후를 변하게 한다. 이런 변화 때문에 어떤 생물군은 멸종하고 다른 생물군은 종분화가 폭발적으로 일어난다.
진화사를 보면 생명의 역사를 급격하게 바꾼 5번의 대멸종으로 단속되었다. 대멸종의 일부는 대륙의 위치 변화, 화산 활동 또는 운석이나 혜성의 충돌 때문에 발생되었을 것이다.
생명다양성의 커다란 증가는 대멸종에 뒤이은 적응방산으로 발생했다. 적응방산은 또한 다른 생물과 경쟁이 거의 없는 새로운 지역으로 진출하거나 주요한 진화적 신형이 생긴 생물군에서도 일어난다.
25.5 - 몸 형태의 주요한 변화는 발생 유전자들의 서열과 조절의 변화에서 초래될 수 있다.
발생 유전자는 생물이 성체로 발생할 때 생물의 형태 변화의 속도, 시기, 공간적 배열에 영향을 주어 사이에 형태적인 차이에 영향을 준다.
새로운 형태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나 발생 유전자 조절의 변화에 의해 만들어진다.
25.6 - 진화는 지향하는 목적이 없다.
새롭고 복잡한 생물 구조는 일련의 점진적인 변형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변형은 그 변형이 있는 생물에 이점을 준다.
진화의 경향은 종선택이나 변하는 환경의 자연선택이나 종선택 같은 요인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진화의 모든 측면과 같이 진화의 경향은 생물과 생물의 현재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나타난다.
26장. 계통발생과 생물의 계통수
26.1 - 계통발생은 진화적 관계를 보여준다.
린네의 이명법 체계에 따라 생물은 속과 종소명의 두 요소로 된 이름을 가진다.
린네 체계 내에서 종은 점점 더 큰 범주로 묶이게 된다. 관계가 있는 속들은 같은 과로 묶고, 과들은 목으로, 목들은 강으로, 강들은 문으로, 문들은 계로, 계들은 영역으로 묶는다.
계통분류학자는 진화관계를 분기하는 계통수로 설명한다. 많은 계통분류학자는 분류가 전적으로 진화관계에 기초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지 길이가 시간이나 유전적 변화에 비례하지 않는 한, 계통발생은 유래의 양상만을 표시한다.
진화의 역로부터 종에 대한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계통발생은 폭넓은 적응 분야에서 유용하다.
26.2 - 계통발생은 형태와 분자 자료로부터 추론된다.
매우 비슷한 형태나 DNA서열을 공유하는 생물은 매우 다른 구조나 유전자 서열을 가진 생물보다 더 가까운 관계에 있을 것이다.
계통발생을 추론하려면 상동(공유하는 조상 때문에 생긴 유사성)과 상사(수렴진화 때문에 생긴 유사성)를 구분하여야 한다.
오래전에 분기한 분류군 사이에 대응되는 핵산 서열을 정렬하고 분자 수준의 상동을 우연한 일체와 구분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26.3 - 공유 형질은 계통수를 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하나의 분기군은 조상종과 그 종의 후손 종들 모두를 포함하는 단원적인 군이다.
분기군은 공유 파생 형질에 의해 구별된다.
가지의 길이는 진화적 변화나 시간의 양에 비례하게 그릴 수 있다.
계통발생 중 가장 단순한 계통수는 가장 적은 수의 진화적 변화가 요구되는 계통수이다. 가장 개연성이 큰 계통수는 가장 일어날 가능성이 큰 변화의 양상에 근거를 둔 계통수이다.
잘 지지되는 계통발생 가설은 다양한 범위의 자료와 부합한다.
26.4 - 생명의 진화 역사는 유전체에 기록되어 있다.
병렬상동 유전자는 종분화 결과, 다른 종에서 발견되는 상동유전자이다. 적렬상동 유전자는 한 종 내에서 중복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러한 유전자들은 분기가 일어날 수 있으며, 종종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다.
관계가 먼 종들이 종종 병렬상동 유전자를 가진다. 다양하게 복잡한 생물들에 있는 유전자 수에 변화가 적다는 것은 유전자들이 다재다능하고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26.5 - 분자시계를 통해 진화 시간을 추적할 수 있다.
DNA의 일부에서 염기서열이 매우 일정한 속도로 변하여 분자시계로서 작용할 수 있다. 분자시계에서 유전적 변화의 정도는 과거 진화적 사건이 일어난 시간을 추산하는 데에 사용된다. 다른 DNA부위들은 예측이 덜 가능하게 변한다.
분자시계 분석에 의하면 HIV의 가장 흔한 변종이 1930년대에 영장류에서 사람에게 도약 전이되었다.
26.6 - 새로운 정보로 인해 생물 계통수에 대한 이해는 계속 수정된다.
과거 분류체계는 계통수에 대한 현재의 견해에 자리를 양보하였다. 현재 계통수는 세균영역, 고세균영역 및 진핵생물영역의 3영역으로 구성된다.
rRNA유전자에 기초한 계통발생은 진핵생물이 고세균과 가장 가까운 관계라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다른 유전자의 자료는 세균과 더 가까운 관계라는 것을 보여준다.
유전적 분석에 의하면 진핵생물은 세균과 고세균의 융합으로 출현하여 “생명의 고리”를 형성하였고, 진핵생물은 세균과 고세균 모두와 동등하게 가까운 관계이다.
27장. 진정세균과 고세균
27.1 - 원핵생물은 구조적, 기능적 적응을 통해 성공적으로 진화했다.
- 핌브리아: 세포가 다른 세포나 기질에 부착하는 것을 돕는 털 모양의 부속지
- 협막: 끈적끈적한 다당류나 단백질층으로 세포가 숙주세포에 부착하거나 숙주의 면역계를 회피하는 것을 돕는다.
- 세포벽: 거의 모든 원핵생물에 존재하며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세균은 각각 세포벽의 구조가 다르다.
- 내부구조: 핵이나 막으로 둘러싸인 다른 소가관이 없고 대개 복잡하게 구획이 되어 있지 않다.
- 원형 염색체: 때
25.2 - 화석 기록은 생명의 역사를 증명하는 자료이다.
대부분 퇴적암에서 발견된 화석을 기초로 한 화석 기록은 시간에 따른 여러 생물군의 흥망성쇠를 보여준다.
퇴적층은 화석의 상대적인 연대를 알려준다. 화석의 절대 연대는 방사성 연대측정법 및 여러 방법으로 추정할 수 있다.
화석 기록은 새로운 생물군이 어떻게 기준 생물에서 점진적인 변형의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25.3 - 생명의 역사에서 핵심이 되는 사건은 단세포 생물과 다세포 생물의 기원과 육상 진출이다.
25.4 - 생물군의 흥망성쇠는 종분화와 멸종의 속도 차이를 반영한다.
판구조론에서 대륙판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동하며, 지구의 물리적 지형과 기후를 변하게 한다. 이런 변화 때문에 어떤 생물군은 멸종하고 다른 생물군은 종분화가 폭발적으로 일어난다.
진화사를 보면 생명의 역사를 급격하게 바꾼 5번의 대멸종으로 단속되었다. 대멸종의 일부는 대륙의 위치 변화, 화산 활동 또는 운석이나 혜성의 충돌 때문에 발생되었을 것이다.
생명다양성의 커다란 증가는 대멸종에 뒤이은 적응방산으로 발생했다. 적응방산은 또한 다른 생물과 경쟁이 거의 없는 새로운 지역으로 진출하거나 주요한 진화적 신형이 생긴 생물군에서도 일어난다.
25.5 - 몸 형태의 주요한 변화는 발생 유전자들의 서열과 조절의 변화에서 초래될 수 있다.
발생 유전자는 생물이 성체로 발생할 때 생물의 형태 변화의 속도, 시기, 공간적 배열에 영향을 주어 사이에 형태적인 차이에 영향을 준다.
새로운 형태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나 발생 유전자 조절의 변화에 의해 만들어진다.
25.6 - 진화는 지향하는 목적이 없다.
새롭고 복잡한 생물 구조는 일련의 점진적인 변형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변형은 그 변형이 있는 생물에 이점을 준다.
진화의 경향은 종선택이나 변하는 환경의 자연선택이나 종선택 같은 요인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진화의 모든 측면과 같이 진화의 경향은 생물과 생물의 현재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나타난다.
26장. 계통발생과 생물의 계통수
26.1 - 계통발생은 진화적 관계를 보여준다.
린네의 이명법 체계에 따라 생물은 속과 종소명의 두 요소로 된 이름을 가진다.
린네 체계 내에서 종은 점점 더 큰 범주로 묶이게 된다. 관계가 있는 속들은 같은 과로 묶고, 과들은 목으로, 목들은 강으로, 강들은 문으로, 문들은 계로, 계들은 영역으로 묶는다.
계통분류학자는 진화관계를 분기하는 계통수로 설명한다. 많은 계통분류학자는 분류가 전적으로 진화관계에 기초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지 길이가 시간이나 유전적 변화에 비례하지 않는 한, 계통발생은 유래의 양상만을 표시한다.
진화의 역로부터 종에 대한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계통발생은 폭넓은 적응 분야에서 유용하다.
26.2 - 계통발생은 형태와 분자 자료로부터 추론된다.
매우 비슷한 형태나 DNA서열을 공유하는 생물은 매우 다른 구조나 유전자 서열을 가진 생물보다 더 가까운 관계에 있을 것이다.
계통발생을 추론하려면 상동(공유하는 조상 때문에 생긴 유사성)과 상사(수렴진화 때문에 생긴 유사성)를 구분하여야 한다.
오래전에 분기한 분류군 사이에 대응되는 핵산 서열을 정렬하고 분자 수준의 상동을 우연한 일체와 구분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26.3 - 공유 형질은 계통수를 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하나의 분기군은 조상종과 그 종의 후손 종들 모두를 포함하는 단원적인 군이다.
분기군은 공유 파생 형질에 의해 구별된다.
가지의 길이는 진화적 변화나 시간의 양에 비례하게 그릴 수 있다.
계통발생 중 가장 단순한 계통수는 가장 적은 수의 진화적 변화가 요구되는 계통수이다. 가장 개연성이 큰 계통수는 가장 일어날 가능성이 큰 변화의 양상에 근거를 둔 계통수이다.
잘 지지되는 계통발생 가설은 다양한 범위의 자료와 부합한다.
26.4 - 생명의 진화 역사는 유전체에 기록되어 있다.
병렬상동 유전자는 종분화 결과, 다른 종에서 발견되는 상동유전자이다. 적렬상동 유전자는 한 종 내에서 중복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러한 유전자들은 분기가 일어날 수 있으며, 종종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다.
관계가 먼 종들이 종종 병렬상동 유전자를 가진다. 다양하게 복잡한 생물들에 있는 유전자 수에 변화가 적다는 것은 유전자들이 다재다능하고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26.5 - 분자시계를 통해 진화 시간을 추적할 수 있다.
DNA의 일부에서 염기서열이 매우 일정한 속도로 변하여 분자시계로서 작용할 수 있다. 분자시계에서 유전적 변화의 정도는 과거 진화적 사건이 일어난 시간을 추산하는 데에 사용된다. 다른 DNA부위들은 예측이 덜 가능하게 변한다.
분자시계 분석에 의하면 HIV의 가장 흔한 변종이 1930년대에 영장류에서 사람에게 도약 전이되었다.
26.6 - 새로운 정보로 인해 생물 계통수에 대한 이해는 계속 수정된다.
과거 분류체계는 계통수에 대한 현재의 견해에 자리를 양보하였다. 현재 계통수는 세균영역, 고세균영역 및 진핵생물영역의 3영역으로 구성된다.
rRNA유전자에 기초한 계통발생은 진핵생물이 고세균과 가장 가까운 관계라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다른 유전자의 자료는 세균과 더 가까운 관계라는 것을 보여준다.
유전적 분석에 의하면 진핵생물은 세균과 고세균의 융합으로 출현하여 “생명의 고리”를 형성하였고, 진핵생물은 세균과 고세균 모두와 동등하게 가까운 관계이다.
27장. 진정세균과 고세균
27.1 - 원핵생물은 구조적, 기능적 적응을 통해 성공적으로 진화했다.
- 핌브리아: 세포가 다른 세포나 기질에 부착하는 것을 돕는 털 모양의 부속지
- 협막: 끈적끈적한 다당류나 단백질층으로 세포가 숙주세포에 부착하거나 숙주의 면역계를 회피하는 것을 돕는다.
- 세포벽: 거의 모든 원핵생물에 존재하며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세균은 각각 세포벽의 구조가 다르다.
- 내부구조: 핵이나 막으로 둘러싸인 다른 소가관이 없고 대개 복잡하게 구획이 되어 있지 않다.
- 원형 염색체: 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