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 자궁경부암_병태생리 및 치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 자궁경부암_병태생리 및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인

2) 분류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
상피내암의 경우 환자가 임신을 원하는 경우 루프환상 투열절제술, CO2 레이저 요법, 전기소작, 냉동요법, 원추절제술, 자궁경부절단술 등의 보전요법을 실시 후 추적관찰을 하며, 임신을 원하지 않을 때는 단순 전자궁절제술을 한다.
6) 자궁경부암 치료 후 추추관리
치료 후 추후관리는 재발된 암을 발견하고, 치료 후 합병증의 발견 및 신속한 처치, 다른 의학적 문제점의 발견 및 다른 원발암을 색출하기 위해서이다. 치료 후 검사방법과 검사시기에 대해 논란이 많으나 대개는 침윤암 치료 후 2년 이내 60%에서 재발하고, 5년 이내에 90%가 재발하므로, 치료 후 첫 2년간은 3개월마다, 이후 3년간은 6개월마다, 이후로는 1년마다 추적 조사를 한다. 검사는 내원할 때마다 pap 도말검사, 종양 마커(tumor marker)를 측정하고, 진행성 암인 경우는 매년 흉부 X선 촬영을 한다. 그 외에 내진으로 직장-질검진을 하고 쇄골상 임파결절을 촉지하여 종양의 전이를 확인한다. 재발암의 방사선 치료 시 첫 3개월간은 병변의 진행성 유무를 면밀히 검사하여 호전이 안되는 경우 수술요법을 고려한다.
7) 임신 중의 자궁경부암 치료
임신 24주 이전에는 비임신상태와 동일하게 각 임상병기에 따른 치료를 시행한다. 즉 근치 자궁절제술과 골반임파절 절제술 또는 방사선치료를 한다. 태아의 생존가능성이 있는 임신 28주-32주 이후 자궁경부암 발견 시는 제왕절개분만 후에 각 병기에 따른 치료를 한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Ⅰ(201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201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4.09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3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