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2.간호사례
3.결론 및 제언
4.소감
5.참고문헌
2.간호사례
3.결론 및 제언
4.소감
5.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죽겠다 나중에 와”
2. 간호진단 : 식욕부진과 위장관이상과 관련된 영양부족(07.07.05~)
객관적자료 : 위가 쓰리다고 하여, 제산제와 항상 국수를 드셔서 올바른 영양섭취가 되지 않음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정상적인 장배설이
유지된다.
처방된 범위내의
균형잡힌 식사를한다.
고칼로리, 중정도의 단백질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소량씩 자주 음식을 제공하고, 환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식사 전에 구강간호를 해준다.
오심, 구토, 설사 또는 변비 등에 관한 약을 투여하거나 자가투여를 지도한다.
환자의 식사량이 줄어 들고 위가 항상 쓰리다고 말씀하셔서 제산제와 함께 위의 자극이 덜 되도록 미지근한 물을 마시도록 권유하였다.
보호자에게 맛이있고, 입맛을 돋울수 있는 음식을 준비하여달라고 말씀드렸다.
정상적인 장배설이 유지되었다.
균형잡힌 식사를 하였다.
주관적자료 : 식사시간이 끝난 후에“배고파 남편에게 국수 좀 가져라고 해줘”
3. 간호진단 : 기동성장애와 관련된 피부간호(07.07.05~)
객관적자료 : 장기간 부동으로 인한 욕창이 생기려는 흔적이 보임
주관적자료 : “등이 배긴다 힘이 없어서 그러니 등 뒤에 베게좀 대어줘”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대상자는 피부 손상의 증후를 보이지 않고 피부 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압박부위의 피부, 발적부위, 찰과상, 표피박리, 플라스터 부착부위를 사정) >피부사정을 통해 전반 적인 피부 상태를 파악할수 있다.
규칙적으로 체위 변경을 시행한다. > 잦은 체위변경은 피부손상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침대 시트를 건조하게 유지시키고 구김이 없게 한다. > 시트의 구김은 마찰력을 증가시켜 신체에 자극이 된다.
소변, 대변, 상처 배액 등이 피부에 묻었을 때 즉시 닦아주어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잘 건조시킨 뒤 보호적보습제를 사용한다. > 환자의 대, 소변은 세균의 배지가 될 수 있으므로 청결히 유지하고 적절한 양의 보습제는 표피를 부드럽게 하며 대, 소변의 독소로부터 환자를 보호한다.
대상자 침대의 side rail이 항상 올려져 있어 낙상을 예방하도록 교육한다.
v/s check 시마다 환자 피부상태와 IV line 상태를 확인하였다.
2시간에 한번씩 체위변경 및 침상정돈을 실시했다.
체위변경시 침상 정돈을 실시하여 구김없고 깨끗한 sheet를 유지하게 했다.
시간마다 urine을 check했고 이상시 즉시 보고했다.
항상 side rail을 올려놓고 낙상 예방에 주의했다.
머리에 욕창이 생길우려가 있어서 도넛모양의 베게를 베어주었다.
환자의 귀저기를확인하여 젖은상태로 오래 있지 않도록 귀저기를 갈아주었다.
대상자에게 욕창 등의 피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깨끗한 피부상태를 유지하였다.
4. 간호진단 : 장기간 침상안정으로 인한 변비(07.07.05~)
객관적자료 : “배가 땡땡해, 변이 나올 것 같은데 안나오네?”
주관적자료 : 일주일째 변을 못보고 계심
매일 섭취하는 수분의 양이 1000ml가 되지 않았다.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변비가 있다.
변을 볼수 있도록 마사지로 배의 장운동을 유도 한다.
1500~2000ml/일 수분섭취한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한다.
물을 먹고 싶어 할때는 물을 바로 먹을 수 있도록 빨대가 달린 컵에 물을 따라 놓았다.
식사시간에는 채소위주의 식사를 권유했다.
보호자에게 환자의 복부를 시계방향으로 마사지 해주라고 권유하였다.
씹기쉬운 과일을 섭취하도록 보호자에게 말씀드렸다.
enema를 시켜 장내에 변을 빼내었다.
변비가 없다.
5. 간호진단 : 수면의 양과 질이 손상되어 일상생활에 불편과 장애초래(07.07.05~)
객관적자료 : REM수면이 줄어듬, 수면유지 불능
눈을 감고 주무실 때 얼굴이 약간 찡그리신모습을 보이심
주관적자료 : None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취침 시간에 불편함 없이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취침시간에는 Suction등 시끄러운 기계소리를 줄이 도록한다.
취침시간에는 보호자의 면회를 제한하도록한다.
따뜻한 물을 섭취하여 잘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준다.
취침들기 전에는 따뜻한 물을 마시도록 하였다.
취침시간에는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낮에는 낮잠을 자지않도록 하고 , 되도록 밤에 잘 것을 권유했다.
취침시간이 예전 보다 약 2~3시간이 늘었다.
3. 결론
Ⅲ. 결론 및 제언
2007년 6월 2일 pm1시30분에 입원하신 김**님은 L.C 5월1일 dis후에 경대 응급실방문 CVC insent 후에 특별히 해줄 것 없다하여 환자가 경상병원 본원을 원해서 금일 응급실을 눕는 차로 오셨습니다.
Ⅳ.실습소감
2번째 실습을 하게 된 경상병원에서 저번에는 응급실에서 실습하였는데, 이번에는 중환자실에서 실습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중환자실에서는 병원 실습가기 전에 먼저 실습해 보았던 친구들에게 물어보아서 알아두어야 할 것들을 먼저 알아가서 이번 실습은 편히 보낸 것 같습니다. 중환자실을 경대병원에서도 한번해보았지만 경대병원에서 보지 못했던 환자들도 보게 되었고 환자들의 처치를 옆에서 보고 Section하는 것도 처음 해보았고, 간호사 선생님을 따라 다니면서 처치하시는 것을 옆에서 보다가 IM을 한번해볼래? 라고 나에게 기회를 주셔서 또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었고, CPR하는 것도 구경하였고, 선생님들께서 너무 잘해 주셨고, 새로운 것들도 많이 가르쳐 주셔서 좋았습니다. 시간마다 할 일이 정해져있는 중환자실은 어렵고 힘들기도 했지만, 좋은 경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보다 나은 모습으로 다음 실습에 임해 보아야 겠습니다.
Ⅴ. 참고문헌
http://www.healthkorea.net/ - 건강샘
http://www.druginfo.co.kr/ - 약물
http://www.kimsonline.co.kr/ - 약물
성인간호학(상) p.645. 서울:현문사.
Sigma Theta Tau Lambda (2004).최신 임상간호매뉴얼Ⅰ. 서울: 현문사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 현문사
임상실습지침서 : 영남외대
병태생리학 : 메디컬 코리아
기본간호학 : 퍼시픽 출판사
2. 간호진단 : 식욕부진과 위장관이상과 관련된 영양부족(07.07.05~)
객관적자료 : 위가 쓰리다고 하여, 제산제와 항상 국수를 드셔서 올바른 영양섭취가 되지 않음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정상적인 장배설이
유지된다.
처방된 범위내의
균형잡힌 식사를한다.
고칼로리, 중정도의 단백질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소량씩 자주 음식을 제공하고, 환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식사 전에 구강간호를 해준다.
오심, 구토, 설사 또는 변비 등에 관한 약을 투여하거나 자가투여를 지도한다.
환자의 식사량이 줄어 들고 위가 항상 쓰리다고 말씀하셔서 제산제와 함께 위의 자극이 덜 되도록 미지근한 물을 마시도록 권유하였다.
보호자에게 맛이있고, 입맛을 돋울수 있는 음식을 준비하여달라고 말씀드렸다.
정상적인 장배설이 유지되었다.
균형잡힌 식사를 하였다.
주관적자료 : 식사시간이 끝난 후에“배고파 남편에게 국수 좀 가져라고 해줘”
3. 간호진단 : 기동성장애와 관련된 피부간호(07.07.05~)
객관적자료 : 장기간 부동으로 인한 욕창이 생기려는 흔적이 보임
주관적자료 : “등이 배긴다 힘이 없어서 그러니 등 뒤에 베게좀 대어줘”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대상자는 피부 손상의 증후를 보이지 않고 피부 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압박부위의 피부, 발적부위, 찰과상, 표피박리, 플라스터 부착부위를 사정) >피부사정을 통해 전반 적인 피부 상태를 파악할수 있다.
규칙적으로 체위 변경을 시행한다. > 잦은 체위변경은 피부손상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침대 시트를 건조하게 유지시키고 구김이 없게 한다. > 시트의 구김은 마찰력을 증가시켜 신체에 자극이 된다.
소변, 대변, 상처 배액 등이 피부에 묻었을 때 즉시 닦아주어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잘 건조시킨 뒤 보호적보습제를 사용한다. > 환자의 대, 소변은 세균의 배지가 될 수 있으므로 청결히 유지하고 적절한 양의 보습제는 표피를 부드럽게 하며 대, 소변의 독소로부터 환자를 보호한다.
대상자 침대의 side rail이 항상 올려져 있어 낙상을 예방하도록 교육한다.
v/s check 시마다 환자 피부상태와 IV line 상태를 확인하였다.
2시간에 한번씩 체위변경 및 침상정돈을 실시했다.
체위변경시 침상 정돈을 실시하여 구김없고 깨끗한 sheet를 유지하게 했다.
시간마다 urine을 check했고 이상시 즉시 보고했다.
항상 side rail을 올려놓고 낙상 예방에 주의했다.
머리에 욕창이 생길우려가 있어서 도넛모양의 베게를 베어주었다.
환자의 귀저기를확인하여 젖은상태로 오래 있지 않도록 귀저기를 갈아주었다.
대상자에게 욕창 등의 피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깨끗한 피부상태를 유지하였다.
4. 간호진단 : 장기간 침상안정으로 인한 변비(07.07.05~)
객관적자료 : “배가 땡땡해, 변이 나올 것 같은데 안나오네?”
주관적자료 : 일주일째 변을 못보고 계심
매일 섭취하는 수분의 양이 1000ml가 되지 않았다.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변비가 있다.
변을 볼수 있도록 마사지로 배의 장운동을 유도 한다.
1500~2000ml/일 수분섭취한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한다.
물을 먹고 싶어 할때는 물을 바로 먹을 수 있도록 빨대가 달린 컵에 물을 따라 놓았다.
식사시간에는 채소위주의 식사를 권유했다.
보호자에게 환자의 복부를 시계방향으로 마사지 해주라고 권유하였다.
씹기쉬운 과일을 섭취하도록 보호자에게 말씀드렸다.
enema를 시켜 장내에 변을 빼내었다.
변비가 없다.
5. 간호진단 : 수면의 양과 질이 손상되어 일상생활에 불편과 장애초래(07.07.05~)
객관적자료 : REM수면이 줄어듬, 수면유지 불능
눈을 감고 주무실 때 얼굴이 약간 찡그리신모습을 보이심
주관적자료 : None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취침 시간에 불편함 없이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취침시간에는 Suction등 시끄러운 기계소리를 줄이 도록한다.
취침시간에는 보호자의 면회를 제한하도록한다.
따뜻한 물을 섭취하여 잘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준다.
취침들기 전에는 따뜻한 물을 마시도록 하였다.
취침시간에는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낮에는 낮잠을 자지않도록 하고 , 되도록 밤에 잘 것을 권유했다.
취침시간이 예전 보다 약 2~3시간이 늘었다.
3. 결론
Ⅲ. 결론 및 제언
2007년 6월 2일 pm1시30분에 입원하신 김**님은 L.C 5월1일 dis후에 경대 응급실방문 CVC insent 후에 특별히 해줄 것 없다하여 환자가 경상병원 본원을 원해서 금일 응급실을 눕는 차로 오셨습니다.
Ⅳ.실습소감
2번째 실습을 하게 된 경상병원에서 저번에는 응급실에서 실습하였는데, 이번에는 중환자실에서 실습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중환자실에서는 병원 실습가기 전에 먼저 실습해 보았던 친구들에게 물어보아서 알아두어야 할 것들을 먼저 알아가서 이번 실습은 편히 보낸 것 같습니다. 중환자실을 경대병원에서도 한번해보았지만 경대병원에서 보지 못했던 환자들도 보게 되었고 환자들의 처치를 옆에서 보고 Section하는 것도 처음 해보았고, 간호사 선생님을 따라 다니면서 처치하시는 것을 옆에서 보다가 IM을 한번해볼래? 라고 나에게 기회를 주셔서 또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었고, CPR하는 것도 구경하였고, 선생님들께서 너무 잘해 주셨고, 새로운 것들도 많이 가르쳐 주셔서 좋았습니다. 시간마다 할 일이 정해져있는 중환자실은 어렵고 힘들기도 했지만, 좋은 경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보다 나은 모습으로 다음 실습에 임해 보아야 겠습니다.
Ⅴ. 참고문헌
http://www.healthkorea.net/ - 건강샘
http://www.druginfo.co.kr/ - 약물
http://www.kimsonline.co.kr/ - 약물
성인간호학(상) p.645. 서울:현문사.
Sigma Theta Tau Lambda (2004).최신 임상간호매뉴얼Ⅰ. 서울: 현문사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 현문사
임상실습지침서 : 영남외대
병태생리학 : 메디컬 코리아
기본간호학 : 퍼시픽 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