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성경전승과 공관복음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스라엘의 성경전승과 공관복음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 있는 세력은 그리스도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의 권세에 복종한다. 예수께서 앞서 보인 축사와 축사의 권세를 제자들에게 수여하신 것이 이러한 능력을 증거 한다. 교회가 음부를 지배하는 능력을 지닌 반석 위에 세워졌다는 담대한 선포는 마태복음의 정복 신학을 천명하고 있다. 정복되어야 할 세력은 구약 이야기에서처럼 몇몇 이방민족이 아니다. 물론 이들이 우상숭배적인 것은 사실이었다. ‘대적’이 누구인가에 대한 이해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이런 점에서 이방민족은 더 이상 정복되거나 멸망되어야 할 대상이 아니다. 영적 영역에 있는 악한 세력이 예수와 그를 따르는 자들의 대적으로 규명되고 있다. 셋째, 매고 풀 수 있도록 수여된 권세는 두 차원의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중간기 문헌과 예수 자신의 축사 사건에 비추어 볼 때 권세는 사탄의 세력들을 묶는 권세와 사탄의 세력에 의해 속박된 사람들을 풀어 주는 권세를 가리킨다. 회개한 자들에게 용서를 중재한다는 점에서 죄로부터 사람들을 풀어주는 권세가 담겨있다. 사람들을 사탄의 세력의 속박으로부터 묶고 푸는 일은 무엇이 옳고 그른 것인가에 대한 지식을 전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매고 푸는 것”과 예수의 이름으로 용서를 선포하는 것은 예수께서 자신의 삶, 죽음, 부활을 통해 이루신 승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예수의 규정이라는 뜻이다. 마태복음의 중간 섹션이 강조하는 바들은 구약의 가나안 정복에서 강조되는 것들과 유기적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 약속된 최종적 보상 기능을 얻고 유지하는 일이 이 섹션의 날줄이며, 씨줄은 예수의 필연적인 고난과 죽음이라는 공관복음서의 핵심이다. 이 고난과 죽음은 예수를 따르는 자들에게 ‘새로운 세계’를 열어주는 부활 승리에 이르는 길이다.
예수의 승리 입성의 절정은 예수의 성전 청결과 성전에서 이루어진 소경과 절름발이의 치유, 어린이들의 찬양의 외침이다. 스가랴 9장9절에 대한 마태복음의 성취의 인용은 이미 예수의 예루살렘 입성을 평화의 겸손한 왕의 입성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마태는 입성 후에 이어지는 이야기들이 기쁨의 환희를 보여주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고, 스가랴 9장9절의 첫 번째 표현인 “크게 기뻐하라”를 이사야 62장 11절의 첫 번째 표현인 “시온의 딸들에게 말하라”로 대체하고 있다. 이는 시편 8편2절은 하나의 묶음인 예루살렘 입성과 성전 청결 사건을 열고 닫는 일종의 해석상의 수미상관 구조로 간주된다. 승리의 입성에서 길 위의 축제의 나뭇가지들과 “호산나”라는 외침,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송 하리로다”라는 환호는 모두 시편 118편 25-26에서 반영하고 있다. 분명히 예수의 예루살렘 입성은 시편 본문이 말하고 있는바, 곧 순례자가 예루살렘을 향한 순례의 끝에 하나님이 자신의 언약 백성을 구원하실 것이라는 ‘호산나’ 라는 강렬한 소망과 함께 열렬한 환영 가운데 예루살렘에 입성하여 성전으로 들어가는 것과 동일한 맥락에 있는 시편 본문의 성취로 묘사한다. 또한 예수께서 성전에 들어가셔서 성전에서 팔고 사는 모든 자를 내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3.0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60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