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병태생리 -------------3p
2. 원인 -----------------
3. 임상증상 -------------
4. 진단검사 -------------
5. 두개내압 감시 --------
6. 치료 -----------------
7. 간호 -----------------
8. 참고문헌 -------------
2. 원인 -----------------
3. 임상증상 -------------
4. 진단검사 -------------
5. 두개내압 감시 --------
6. 치료 -----------------
7. 간호 -----------------
8. 참고문헌 -------------
본문내용
carbamazepine
- 경련, 떨림, 불안 예방
③ Corticosteroid
- 혈관성부종 예방
- 경구용 투여
④ 제산제와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 위장자극과 출혈 줄임
- Cushing 궤양 예방 (병용)
⑤ 배변완화제
- ducosate sodium
⑥ Acetaminophen(Tylenol)
- 두통, 체온상승
5) Barbiturate 혼수요법 : ICP 조절이 되지 않고 급한 상황일 때 의도적으로 혼수상태 유도
① sodium pentovarbital 정맥주사
② barbiturate : 혈중농도 2.5~4mg/dl 유지
1~3일 동안 정상 유지할 때까지 혼수상태
③ pentobarbital 용량 서서히 감소
7. 간호 : 신경계 증상 파악
1) 목표
① 정상적인 뇌관류 유지
② 정상적인 호흡 유지
③ 기도청결 유지
④ 체액균형 유지
⑤ 감염예방
2) 간호진단
①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② 분비물과다와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③ 수분제한과 이뇨제 투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④ 삽관 등의 치료적 행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 뇌관류 유지
① 서맥, 혈압사승 관찰
② 머리를 똑바로 가운데 놓이게 하며, 경추 collar 부목 이용
③ 두부를 약간 높여 경정맥 배액을 도움
④ 경부의 과도한 회전이나 굴곡 금지
⑤ 과도한 둔부 굴곡 금지
⑥ 기침과 긴장, Valsalva maneuver 금지
⑦ 등척성 운동 금지
⑧ 흡인은 10초 미만
⑨ 회전침상, 최전침대보 이용
⑩ 두 개내압 25mmHg 이상 상승하지 않게 하고 5분 이내 회복 확인
⑪ 조용한 환경
⑫ 관장, 하제 사용 금지
4) 호흡 유지
① 호흡상태 확인
② 기도개방 유지
③ 8시간마다 청진 : 수포음, 울혈부위 확인
④ 침상머리를 높여 뇌정맥 배액과 분비물 제거
5) 체액균형 유지
① 수분섭취 제한
② 뇌부종 완화 : corticosterioid
③ 소변 배설량, 비중, 요당 측정
④ 피부긴장도, 점막상태, 요삼투압 확인
⑤ 구강간호
6) 감염예방
① 뇌막염의 증상과 징후 (열, 오한, 경부강직, 두통) 확인
② 드레싱은 항상 건조 유지
③ 화종성 배액이나 가피 형성 관찰
④ 도뇨관 개방상태 유지
⑤ 교차감염 예방(손씻기, 감염 대상자와 격리)
⑥ 소변 관찰
⑦ 장 팽만 평가 : 복부 시진, 장음 측정
⑧ 위장관 출혈 : 대변의 잠혈반응 검사
8. 참고문헌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하권, 제6판), 2014, 현문사
- 경련, 떨림, 불안 예방
③ Corticosteroid
- 혈관성부종 예방
- 경구용 투여
④ 제산제와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 위장자극과 출혈 줄임
- Cushing 궤양 예방 (병용)
⑤ 배변완화제
- ducosate sodium
⑥ Acetaminophen(Tylenol)
- 두통, 체온상승
5) Barbiturate 혼수요법 : ICP 조절이 되지 않고 급한 상황일 때 의도적으로 혼수상태 유도
① sodium pentovarbital 정맥주사
② barbiturate : 혈중농도 2.5~4mg/dl 유지
1~3일 동안 정상 유지할 때까지 혼수상태
③ pentobarbital 용량 서서히 감소
7. 간호 : 신경계 증상 파악
1) 목표
① 정상적인 뇌관류 유지
② 정상적인 호흡 유지
③ 기도청결 유지
④ 체액균형 유지
⑤ 감염예방
2) 간호진단
① 두 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② 분비물과다와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③ 수분제한과 이뇨제 투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④ 삽관 등의 치료적 행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 뇌관류 유지
① 서맥, 혈압사승 관찰
② 머리를 똑바로 가운데 놓이게 하며, 경추 collar 부목 이용
③ 두부를 약간 높여 경정맥 배액을 도움
④ 경부의 과도한 회전이나 굴곡 금지
⑤ 과도한 둔부 굴곡 금지
⑥ 기침과 긴장, Valsalva maneuver 금지
⑦ 등척성 운동 금지
⑧ 흡인은 10초 미만
⑨ 회전침상, 최전침대보 이용
⑩ 두 개내압 25mmHg 이상 상승하지 않게 하고 5분 이내 회복 확인
⑪ 조용한 환경
⑫ 관장, 하제 사용 금지
4) 호흡 유지
① 호흡상태 확인
② 기도개방 유지
③ 8시간마다 청진 : 수포음, 울혈부위 확인
④ 침상머리를 높여 뇌정맥 배액과 분비물 제거
5) 체액균형 유지
① 수분섭취 제한
② 뇌부종 완화 : corticosterioid
③ 소변 배설량, 비중, 요당 측정
④ 피부긴장도, 점막상태, 요삼투압 확인
⑤ 구강간호
6) 감염예방
① 뇌막염의 증상과 징후 (열, 오한, 경부강직, 두통) 확인
② 드레싱은 항상 건조 유지
③ 화종성 배액이나 가피 형성 관찰
④ 도뇨관 개방상태 유지
⑤ 교차감염 예방(손씻기, 감염 대상자와 격리)
⑥ 소변 관찰
⑦ 장 팽만 평가 : 복부 시진, 장음 측정
⑧ 위장관 출혈 : 대변의 잠혈반응 검사
8. 참고문헌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하권, 제6판), 2014,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