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뇌경색의 해부생리
2. 뇌경색의 정의
3. 뇌경색의 원인
4. 뇌경색의 병태생리
5. 뇌경색의 증상
6. 뇌경색의 진단검사
7. 뇌경색의 치료
8. 뇌경색의 간호
Ⅱ. 본론
1. 간호력
2. 간호사정
3. 진단 검사
4. 간호과정
-참고문헌
1. 뇌경색의 해부생리
2. 뇌경색의 정의
3. 뇌경색의 원인
4. 뇌경색의 병태생리
5. 뇌경색의 증상
6. 뇌경색의 진단검사
7. 뇌경색의 치료
8. 뇌경색의 간호
Ⅱ. 본론
1. 간호력
2. 간호사정
3. 진단 검사
4.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택적인 환자에서 동맥으로 urokinase를 투여하고 있다.
(2) 항응고요법
출혈 위험성이 적은 심인성 색전증이나 혈관박리, 단백질 C,S 결핍증,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등과 같은 항응고병, 정맥혈전증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① heparin : 부하용량으로 투여한 후 일정 용량을 유지하여 투여한다. 치료적 농도는 정상의 1.5~2.5배로 유지하고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으로 확인한다.
② 저분자량 정제 헤파린(low molecular weighted heparin; LMWH) : 헤파린보다 반감기가 더 길고, factor Xa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출혈위험성 더 적고 aPTT가 필요치 않다.
③ wafarin : 혈액 응고 작용에 관여하는 비타민 K 의존성인 자연 Ⅱ,Ⅶ,ⅸ,ⅹ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3) 항혈소판제(antiplatelet)
혈관내막에서 일어나는 platelet adhesion→platelet activation & secretion → platelet aggregation 되는 일련의 과정 차단 작용을 한다.
① Aspirin ② Triflusal(disgren) ③ Clopidgrel(palvix) ④ Ticlopodine(ticlid) ⑤ Cilostazol(pletaal)
(4) 기타 뇌경색 환자 치료
① 혈압관리
급성 뇌경색 시 초기에는 수축기 혈압 20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110mmHg이상인 경우에만 혈압을 조절한다. 이후 아급성기(증상 발생 1주 정도 지난 후)에는 혈관 상태 혹은 뇌경색의 발생 기전에 따라 혈압을 조절하도록 한다. 대뇌조절기능이 파괴된 경우 혈압이 낮아 지면 상대적으로 뇌혈류가 감소할 위험도가 있으므로, 임상적으로는 발병 후 조기 특히 72시간 이내에 항고혈압약제는 투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맥박
맥박은 불규칙 하거나 빈맥 혹은 서맥 등이 관찰 될 때 심인성 색전증을 의심할 수 있다.
③ 발열
뇌졸중 원인질환 또는 뇌졸중의 합병증으로 폐렴, 혹은 요로계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발별이 있는 경우 허혈성 병변 악화 혹은 두 개내압 상승등을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하는것이 중요하다.
④ 혈당
뇌졸중 후 급성 스트레스 반응의 힐부 혹은 알지 못했던 당뇨병으로 고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다.
뇌졸중 시 고혈당증은 뇌세포가 저산소증의 상태에서 혐기성 대사를 하게 함으로서 국소적인 유발 산증을 유발 할 수 있는데 이는 허혈성 병변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가능한 혈당을 150mg/dL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⑤ 뇌부종 치료 및 두 개내압
- 고장성 용액 - 저체온
- 이뇨제 - 뇌실 배액술
- 스테로이드 - 감압술(개두술, 엽절제술)
- 과다환기(PaCO2 27~35mmHg)
- 두 개내압 상승 환자 간호(두부상승, 똑바로 눕히기, 기침/재채기/구토/경련/통증 valsalva\'s maneuver 막는 약물 투여, 정상배설 기능 유지, 흡인전 산보 용법 및 과도호흡, 감염예방 및 체온조절)
2) 비약물적 치료
(1) 혈관 성형술 혹은 스텐트 삽입술
경동맥, 척추동맥, 기저동맥, 중뇌동맥 등 큰 동맥에 동맥경화로 인한 심한 협착(70% 이상)이 있는 경우 스텐트라는 그물망을 삽입하는 혈관 성형술을 시행 할 수있다. 좁아진 혈관 넓여 주고 혈류 개선에 도움이 된다.
(2) 경동맥 내막절제술(carotid endarterectomu; CEA)
경동맥 협착이 70%이상 심하거나, 협착된 부위에 궤양이 있는 경우 시행 할 수 있는 것으로 측부순환이 잘 발달되고, 심방 세동과 같은 색전을 유발시킬 심장질환이 없는 경우 수술할 수 있다.
8) 간호관리
① 기도 청결 및 호흡 유지
무균법으로 분비물 흡인 분비물 배액 촉진 위해 측위, 흉부타진, 물리치료, 체위변경
산소공급, 또는 유인성 폐활량기, 인공호흡게계, 기관절개술 실시 기관지 확장제 투여
② 뇌압상승 및 부동조절
침상머리 상승, 기침/재채기/변비/불안/스트레스 등 뇌압상승시키는 조건을 피한다. 혈압조절, 삼투성이뇨제, 이뇨제, corticisteroid 투여
③ 항혈전요법, 항응고제, 섬유소용해제, 항혈소판제 투여에 대해 설명한다.
④ 수술 방법, 적응증, 후유증에 대해 설명한다.
⑤ 체온조절, 혈당조절을 하고 수액공급 및 식이 요법을 한다.
⑥ 재출혈, 혈관경련, 뇌부종, 경막하혈종, 간질발작 등의 합병증 징상징후를 알려준다.
; 잦은 체위변경, 피부청결, 뼈 돌출부위마사지, 흉부타진, 분비물 흡인, 비위관 통해 음식과 물 공급해 기도흡인 방지한다. 뇨 색깔, 혼탁도, 배설량, 침전물 확인하고 뇨 배설량 적으면 폐색을 확인 한 후 세척을 실시 , 감염의 증상징후에 대해 알려준다. 등등
Ⅱ 본론
1. 간호력
1) 일반정보
입원일자 : 2017. 0. 0 진단명 : Rt.hemiplegia d/t Lt. BG,CR infarction
DM, BPH, HTN
이름 : ○○ 나이 : 75세 성별 : M
정보제공자 : 자녀 전화번호 : △△△-△△△△ 현주소 : 서울특별시 00구 00동
흡 연 : □ 유 무 양 : - 기간 : -
음 주 : 유 □ 무 양 : 연 1-2 회 기간 : -
키 : 172cm 몸무게 : 73kg vital sign : 148/61-74-36.2-18-93%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방법 : 휠체어
주증상 : Rt. side weakness
2016.00. 서울 병원 입원치료 받다가 금일 포괄적인 재활치료를 위해 본원 입원
최초발생일 : 2014. 08. Rt sdie weakness / 30년 전 HTN, DM / 8~9년 전 BPH
입원동기 :
최근투약상태 : 있음
과거병력 : DM, HTN (50대부터), BPH (8~9년 전부터)
수술병력 : 없음
알레르기 : 없음
약물이상반응 : 없음 보조기구 : W/C, 틀니 통증 : 없음
가족병력 : 없음
2) 간호사정
1. 신경학적 검사
(1) MMT (Manual muscle test)
상지
Rt / Lt
하지
Rt / Lt
어
(2) 항응고요법
출혈 위험성이 적은 심인성 색전증이나 혈관박리, 단백질 C,S 결핍증,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등과 같은 항응고병, 정맥혈전증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① heparin : 부하용량으로 투여한 후 일정 용량을 유지하여 투여한다. 치료적 농도는 정상의 1.5~2.5배로 유지하고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으로 확인한다.
② 저분자량 정제 헤파린(low molecular weighted heparin; LMWH) : 헤파린보다 반감기가 더 길고, factor Xa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출혈위험성 더 적고 aPTT가 필요치 않다.
③ wafarin : 혈액 응고 작용에 관여하는 비타민 K 의존성인 자연 Ⅱ,Ⅶ,ⅸ,ⅹ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3) 항혈소판제(antiplatelet)
혈관내막에서 일어나는 platelet adhesion→platelet activation & secretion → platelet aggregation 되는 일련의 과정 차단 작용을 한다.
① Aspirin ② Triflusal(disgren) ③ Clopidgrel(palvix) ④ Ticlopodine(ticlid) ⑤ Cilostazol(pletaal)
(4) 기타 뇌경색 환자 치료
① 혈압관리
급성 뇌경색 시 초기에는 수축기 혈압 20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110mmHg이상인 경우에만 혈압을 조절한다. 이후 아급성기(증상 발생 1주 정도 지난 후)에는 혈관 상태 혹은 뇌경색의 발생 기전에 따라 혈압을 조절하도록 한다. 대뇌조절기능이 파괴된 경우 혈압이 낮아 지면 상대적으로 뇌혈류가 감소할 위험도가 있으므로, 임상적으로는 발병 후 조기 특히 72시간 이내에 항고혈압약제는 투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맥박
맥박은 불규칙 하거나 빈맥 혹은 서맥 등이 관찰 될 때 심인성 색전증을 의심할 수 있다.
③ 발열
뇌졸중 원인질환 또는 뇌졸중의 합병증으로 폐렴, 혹은 요로계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발별이 있는 경우 허혈성 병변 악화 혹은 두 개내압 상승등을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하는것이 중요하다.
④ 혈당
뇌졸중 후 급성 스트레스 반응의 힐부 혹은 알지 못했던 당뇨병으로 고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다.
뇌졸중 시 고혈당증은 뇌세포가 저산소증의 상태에서 혐기성 대사를 하게 함으로서 국소적인 유발 산증을 유발 할 수 있는데 이는 허혈성 병변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가능한 혈당을 150mg/dL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⑤ 뇌부종 치료 및 두 개내압
- 고장성 용액 - 저체온
- 이뇨제 - 뇌실 배액술
- 스테로이드 - 감압술(개두술, 엽절제술)
- 과다환기(PaCO2 27~35mmHg)
- 두 개내압 상승 환자 간호(두부상승, 똑바로 눕히기, 기침/재채기/구토/경련/통증 valsalva\'s maneuver 막는 약물 투여, 정상배설 기능 유지, 흡인전 산보 용법 및 과도호흡, 감염예방 및 체온조절)
2) 비약물적 치료
(1) 혈관 성형술 혹은 스텐트 삽입술
경동맥, 척추동맥, 기저동맥, 중뇌동맥 등 큰 동맥에 동맥경화로 인한 심한 협착(70% 이상)이 있는 경우 스텐트라는 그물망을 삽입하는 혈관 성형술을 시행 할 수있다. 좁아진 혈관 넓여 주고 혈류 개선에 도움이 된다.
(2) 경동맥 내막절제술(carotid endarterectomu; CEA)
경동맥 협착이 70%이상 심하거나, 협착된 부위에 궤양이 있는 경우 시행 할 수 있는 것으로 측부순환이 잘 발달되고, 심방 세동과 같은 색전을 유발시킬 심장질환이 없는 경우 수술할 수 있다.
8) 간호관리
① 기도 청결 및 호흡 유지
무균법으로 분비물 흡인 분비물 배액 촉진 위해 측위, 흉부타진, 물리치료, 체위변경
산소공급, 또는 유인성 폐활량기, 인공호흡게계, 기관절개술 실시 기관지 확장제 투여
② 뇌압상승 및 부동조절
침상머리 상승, 기침/재채기/변비/불안/스트레스 등 뇌압상승시키는 조건을 피한다. 혈압조절, 삼투성이뇨제, 이뇨제, corticisteroid 투여
③ 항혈전요법, 항응고제, 섬유소용해제, 항혈소판제 투여에 대해 설명한다.
④ 수술 방법, 적응증, 후유증에 대해 설명한다.
⑤ 체온조절, 혈당조절을 하고 수액공급 및 식이 요법을 한다.
⑥ 재출혈, 혈관경련, 뇌부종, 경막하혈종, 간질발작 등의 합병증 징상징후를 알려준다.
; 잦은 체위변경, 피부청결, 뼈 돌출부위마사지, 흉부타진, 분비물 흡인, 비위관 통해 음식과 물 공급해 기도흡인 방지한다. 뇨 색깔, 혼탁도, 배설량, 침전물 확인하고 뇨 배설량 적으면 폐색을 확인 한 후 세척을 실시 , 감염의 증상징후에 대해 알려준다. 등등
Ⅱ 본론
1. 간호력
1) 일반정보
입원일자 : 2017. 0. 0 진단명 : Rt.hemiplegia d/t Lt. BG,CR infarction
DM, BPH, HTN
이름 : ○○ 나이 : 75세 성별 : M
정보제공자 : 자녀 전화번호 : △△△-△△△△ 현주소 : 서울특별시 00구 00동
흡 연 : □ 유 무 양 : - 기간 : -
음 주 : 유 □ 무 양 : 연 1-2 회 기간 : -
키 : 172cm 몸무게 : 73kg vital sign : 148/61-74-36.2-18-93%
2) 입원과 관련된 정보
방법 : 휠체어
주증상 : Rt. side weakness
2016.00. 서울 병원 입원치료 받다가 금일 포괄적인 재활치료를 위해 본원 입원
최초발생일 : 2014. 08. Rt sdie weakness / 30년 전 HTN, DM / 8~9년 전 BPH
입원동기 :
최근투약상태 : 있음
과거병력 : DM, HTN (50대부터), BPH (8~9년 전부터)
수술병력 : 없음
알레르기 : 없음
약물이상반응 : 없음 보조기구 : W/C, 틀니 통증 : 없음
가족병력 : 없음
2) 간호사정
1. 신경학적 검사
(1) MMT (Manual muscle test)
상지
Rt / Lt
하지
Rt / Lt
어
추천자료
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심근경색 케이스
[간호학]중환자실케이스-뇌출혈
ICH케이스(두개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케이스 스터디-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심근경색 (MI ; myocardial infarction)
[케이스스터디][세기관지염][만성신부전]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케...
NSICU(신경외과중환자실) S-ICH on Lt B.G Spontaneous IntraCellural hemorrhage on Lt. Bas...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MI) 케이스 스터디
성인 간호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뇌출혈 케이스, ICH 케이스
흡인성 폐렴 케이스 (현병력 뇌출혈) , 흡인성 폐렴 케이스,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
응급실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 A+
케이스 -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STEMI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