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력
1) 일반정보
2) 과거력
3) 최근 투약상태
4) 신체검진 특이사항
5) 간호과정
2. 간호 진단 # fever
1) 간호목표
2) 간호계획
3) 수행
4) 평가
3. 간호 진단 # 설사, 식욕부족과 관련된 탈수의 위험성
1) 간호목표
2) 간호계획
3) 수행
4) 평가
Ⅱ. 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력
1) 인적사항
2) 신체사정(입원 당시)
3) 건강사정
2. 의미 있는 자료 수집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1) 고혈압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2) Hemocatheter및 fistula 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3) 병에 대한 인식 부족 및 고통으로 인한 두려움
4. 간호 목표, 계획, 수행, 평가
1) 고혈압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2) Hemocatheter및 fistula 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3) 병에 대한 인식 부족 및 고통으로 인한 두려움
Ⅲ. 알코올중독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일반적 사항
1) 주진단명
2) 발병일시
3) 수술명
4) 결혼상태
5) 직업
6) 종교
7) 신체계측
8) 알레르기
9) 흡연
2. 과거력
1) op
2) 외모
3) speech
4) perception
5) thought
6) orientation
7) memory impair
8) 입원경력
3. 병력
1) 입원한 이유
2) 처음 음주한 나이와 계기
3) 술의 종류
4) 음주로 인해 자신이나 가족에게 문제가 시작한 나이와 문제점
5) 마지막 음주시기와 양
6) 술을 스스로 끊거나 조절해 본 경험
7) A.A.단주친목모임
8) 자살 또는 공격적 행동
9) 자살 또는 폭력의 과거력
Ⅳ. 위암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기초 자료 수집
1) 간호력
2) 진단검사
2. 의미 있는 자료 수집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1) 비정상적인 혈압과 관련된 허약감
2) 불안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3) 소화흡수 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4) 위절제식이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5) 위절제 수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4. 간호 목표, 계획, 수행, 평가
1) 비정상적 혈압과 관련된 허약감
2) 불안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3) 소화흡수 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Ⅴ. 뇌내출혈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2. 간호진단
1) 분비물 배출불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지각․인지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능력 결여
3. 간호 계획
1) 분비물 배출불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지각․인지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능력 결여
4. 간호중재
1) 분비물 배출불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지각․인지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능력 결여
5. 간호평가
1) 분비물 배출불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지각․인지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능력 결여
참고문헌
1. 간호력
1) 일반정보
2) 과거력
3) 최근 투약상태
4) 신체검진 특이사항
5) 간호과정
2. 간호 진단 # fever
1) 간호목표
2) 간호계획
3) 수행
4) 평가
3. 간호 진단 # 설사, 식욕부족과 관련된 탈수의 위험성
1) 간호목표
2) 간호계획
3) 수행
4) 평가
Ⅱ. 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력
1) 인적사항
2) 신체사정(입원 당시)
3) 건강사정
2. 의미 있는 자료 수집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1) 고혈압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2) Hemocatheter및 fistula 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3) 병에 대한 인식 부족 및 고통으로 인한 두려움
4. 간호 목표, 계획, 수행, 평가
1) 고혈압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2) Hemocatheter및 fistula 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3) 병에 대한 인식 부족 및 고통으로 인한 두려움
Ⅲ. 알코올중독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일반적 사항
1) 주진단명
2) 발병일시
3) 수술명
4) 결혼상태
5) 직업
6) 종교
7) 신체계측
8) 알레르기
9) 흡연
2. 과거력
1) op
2) 외모
3) speech
4) perception
5) thought
6) orientation
7) memory impair
8) 입원경력
3. 병력
1) 입원한 이유
2) 처음 음주한 나이와 계기
3) 술의 종류
4) 음주로 인해 자신이나 가족에게 문제가 시작한 나이와 문제점
5) 마지막 음주시기와 양
6) 술을 스스로 끊거나 조절해 본 경험
7) A.A.단주친목모임
8) 자살 또는 공격적 행동
9) 자살 또는 폭력의 과거력
Ⅳ. 위암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기초 자료 수집
1) 간호력
2) 진단검사
2. 의미 있는 자료 수집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1) 비정상적인 혈압과 관련된 허약감
2) 불안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3) 소화흡수 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4) 위절제식이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5) 위절제 수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4. 간호 목표, 계획, 수행, 평가
1) 비정상적 혈압과 관련된 허약감
2) 불안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3) 소화흡수 장애와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Ⅴ. 뇌내출혈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2. 간호진단
1) 분비물 배출불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지각․인지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능력 결여
3. 간호 계획
1) 분비물 배출불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지각․인지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능력 결여
4. 간호중재
1) 분비물 배출불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지각․인지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능력 결여
5. 간호평가
1) 분비물 배출불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 지각․인지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능력 결여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음
2) 과거력
1월 bronchiolitis
5월 bronchiolitis
6월 asthma(mast total IgE 1, egg 2, dog 1)
3) 최근 투약상태
(1)없음.
4) 신체검진 특이사항
(1)기형:없음
(2)수면상태: 수면시간 하루 10시간. 수면장애 없음
(3)대변: 하루 2~3회. 대변 양상에 이상 없음
(4)소변: 하루 5~6회. 양 색깔 정상. 냄새 없음
(5)V/S: HR:160/min
BT(고막체온): 38.6℃
RR:38/min WT:12.8 HT:81.9
*입원 당일 사정.
진단명 : 모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5) 간호과정
간호 진단 # 1.기관지 분비물 축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1)간호목표
-대상자는 기관지 분비물 축척 증상이 완전히 없고 효율적 호흡 양상을 보인다.
(2)간호계획
-V/S을 3시간 마다 측정한다.
-호흡, 기침, 객담 양상을 사정한다.
-Nebulizer inhalation을 제공한다.
-필요시 suction을 통해 기관지 분비물을 제거한다.
-흉부 물리 요법(Percussion)의 목적 방법에 대해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spo2를 측정하고 필요시 O2를 제공한다.
-가습기로 주변 환경의 건조를 막는다.
-충분한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체위배액을 통해 분비물 제거를 돕는다.
(3)수행
-V/S을 3시간 마다 측정하여 호흡수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흉부 청진을 통해 천명음과 나음의 유무를 확인하여 보았다. 기침의 양상에 대해 관찰하고 보호자에게 기침의 빈도와 언제 가장 많이 하는지 등을 질문 하였다. Nebulizer inhalation을 통해 처방된 pulmicort, ventolin등의 약물을 제공하였고 보호자에게 흡입 기구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대상자의 양측 흉부 부위를 타진하여 객담 배출을 돕는 흉부 물리 요법에 대해 보호자에게 직접 시범을 보여 교육하였다.
oximetry를 이용해 SPO2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였고 충분한 수분섭취가 증상 완화를 도울수 있음을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4)평가
-호흡수의 변화는 1/17일 38~44회 정도로 약간의 빈호흡 증세를 보였으나 약물 요법. 흡입 치료. 흉부 물리 요법 등으로 증세가 완화되어 1/18일부터는 30~34회 정도로 호흡수가 감소되었다. 기침은 많이 줄어 낮 시간대에는 드물게 빈도가 나타났으나 밤시간의 기침 빈도는 여전하였다.
흡입약에 대한 보호자의 self care가 잘 이루어 졌으며 흉부 타진도 잘 수행 되었다. spo2 측정시 1/17일 day에는 95~96%였지만 이후 evening부터는 98~100%를 유지 하였다.
2. 간호 진단 # fever
1) 간호목표
체온을 정상 범위내로 유지시킨다.
2) 간호계획
-V/S을 3시간 마다 측정한다.
-Warm bath를 실시한다.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한다.
-대상자의 옷을 벗겨서 시원하게 한다.
-대상자가 울거나 보챌시 안정시켜 휴식하도록 한다.
-chilling이 있을 시에는 담요 등을 덮어 보온을 유지하여 준다.
-의식의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한다.
3) 수행
3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옷을 벗기고 warm bath를 실시하였고 children tylenol 80mg 2T를 prn처방 받아 투여하였다. 보호자에게 수분 섭취를 권장하고 1/17일 입원 시부터 대상자의 옷을 계속 벗겨 놓다가 1/19일 12시부터 다시 옷을 입게 하였다.
4) 평가
3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입원시(1/17 2pm) 대상자의 체온은 38.6도였고 옷을 벗기고 warm bath를 실시하였고 children tylenol 80mg 2T를 prn처방 받아 투여하였다. 이후 체온은 38.6-> 37.5->36로 떨어졌고 그 이후부터는 36.6~37.2 정도의 정상 체온 범위를 유지하였다. 1/17일 입원시부터 대상자의 옷을 계속 벗겨 놓다가 1/19일 12시부터 다시 옷을 입게 하였다.
3. 간호 진단 # 설사, 식욕부족과 관련된 탈수의 위험성
1) 간호목표
대상자는 탈수의 위험에서 벗어나 정상 체액량를 유지한다.
- I/O check를 한다.
-배변양상을 모니터 한다.
-수분 섭취를 권하고 수액 요법을 한다.
-전해질 수치를 monitoring하고 정상 범위를 유지하게 한다.
-체중을 매일 측정한다.
-처방된 지사제를 투여한다.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3) 수행
I/O check를 8시간 마다 측정하였고 배변 양상에 대해 확인하였다. 보호자에게 수분 섭취를 권하고 전해질 균형을 위해 1:1SOL(5%DW+Na+K) 500CC를 10gtt로 투여 하였다. 전해질 검사를 하여 불균형을 예방하였다.
4) 평가
수분 섭취를 늘려서 1/17일 보터 1/18일 intake양이 증가 하였고, 전해질 균형은 정상 범위를 유지하였다. 1/17일 보타 1/18일에 0.2kg 감소가 보였으나 1/19 대상자 체중이 12.6kg로 유지 되었다. 처방된 지사제 SMECTA가 1/17일과 1/18일 이틀간 BY 2로 10CC씩 처방 되었다.
1/19일부터 대상자는 DIARRHEA가 SUBSIDE되었다.
Ⅱ. 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력
1) 인적사항
이름: 김○○
성별: female
나이: 23세
종교: 無
흡연: 無
음주: 無
입원일자: 03월 08일 오후 4시 50분
입원경로: 응급실
입원방법: 눕는차
의학적 진단: R/O glomerulonephritis(사구체 신염) ->퇴원시 CRF(만성 신부전)
정보제공자: 본인
2) 신체사정(입원 당시)
시진: 기형없고, 색소침착 없음.
청진: 이상 없음.
시력: 이상 없음.
신체측정
체중: 161㎝
신장: 67㎏
활력징후
BP:165/99
P:115
T:36.8
R: 36
3) 건강사정
(1)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
내원이유
상기 pt는 23세된 female pt로 과거력상 6년전 검진에서 protein uria check 됐으나 특별한 관리 없이 지내왔으며, 내원 1달 전부터 dyspnea develop 됐으며, 점차 symptom, aggravation
2) 과거력
1월 bronchiolitis
5월 bronchiolitis
6월 asthma(mast total IgE 1, egg 2, dog 1)
3) 최근 투약상태
(1)없음.
4) 신체검진 특이사항
(1)기형:없음
(2)수면상태: 수면시간 하루 10시간. 수면장애 없음
(3)대변: 하루 2~3회. 대변 양상에 이상 없음
(4)소변: 하루 5~6회. 양 색깔 정상. 냄새 없음
(5)V/S: HR:160/min
BT(고막체온): 38.6℃
RR:38/min WT:12.8 HT:81.9
*입원 당일 사정.
진단명 : 모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5) 간호과정
간호 진단 # 1.기관지 분비물 축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1)간호목표
-대상자는 기관지 분비물 축척 증상이 완전히 없고 효율적 호흡 양상을 보인다.
(2)간호계획
-V/S을 3시간 마다 측정한다.
-호흡, 기침, 객담 양상을 사정한다.
-Nebulizer inhalation을 제공한다.
-필요시 suction을 통해 기관지 분비물을 제거한다.
-흉부 물리 요법(Percussion)의 목적 방법에 대해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spo2를 측정하고 필요시 O2를 제공한다.
-가습기로 주변 환경의 건조를 막는다.
-충분한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체위배액을 통해 분비물 제거를 돕는다.
(3)수행
-V/S을 3시간 마다 측정하여 호흡수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흉부 청진을 통해 천명음과 나음의 유무를 확인하여 보았다. 기침의 양상에 대해 관찰하고 보호자에게 기침의 빈도와 언제 가장 많이 하는지 등을 질문 하였다. Nebulizer inhalation을 통해 처방된 pulmicort, ventolin등의 약물을 제공하였고 보호자에게 흡입 기구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대상자의 양측 흉부 부위를 타진하여 객담 배출을 돕는 흉부 물리 요법에 대해 보호자에게 직접 시범을 보여 교육하였다.
oximetry를 이용해 SPO2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였고 충분한 수분섭취가 증상 완화를 도울수 있음을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4)평가
-호흡수의 변화는 1/17일 38~44회 정도로 약간의 빈호흡 증세를 보였으나 약물 요법. 흡입 치료. 흉부 물리 요법 등으로 증세가 완화되어 1/18일부터는 30~34회 정도로 호흡수가 감소되었다. 기침은 많이 줄어 낮 시간대에는 드물게 빈도가 나타났으나 밤시간의 기침 빈도는 여전하였다.
흡입약에 대한 보호자의 self care가 잘 이루어 졌으며 흉부 타진도 잘 수행 되었다. spo2 측정시 1/17일 day에는 95~96%였지만 이후 evening부터는 98~100%를 유지 하였다.
2. 간호 진단 # fever
1) 간호목표
체온을 정상 범위내로 유지시킨다.
2) 간호계획
-V/S을 3시간 마다 측정한다.
-Warm bath를 실시한다.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한다.
-대상자의 옷을 벗겨서 시원하게 한다.
-대상자가 울거나 보챌시 안정시켜 휴식하도록 한다.
-chilling이 있을 시에는 담요 등을 덮어 보온을 유지하여 준다.
-의식의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한다.
3) 수행
3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옷을 벗기고 warm bath를 실시하였고 children tylenol 80mg 2T를 prn처방 받아 투여하였다. 보호자에게 수분 섭취를 권장하고 1/17일 입원 시부터 대상자의 옷을 계속 벗겨 놓다가 1/19일 12시부터 다시 옷을 입게 하였다.
4) 평가
3시간 마다 체온을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입원시(1/17 2pm) 대상자의 체온은 38.6도였고 옷을 벗기고 warm bath를 실시하였고 children tylenol 80mg 2T를 prn처방 받아 투여하였다. 이후 체온은 38.6-> 37.5->36로 떨어졌고 그 이후부터는 36.6~37.2 정도의 정상 체온 범위를 유지하였다. 1/17일 입원시부터 대상자의 옷을 계속 벗겨 놓다가 1/19일 12시부터 다시 옷을 입게 하였다.
3. 간호 진단 # 설사, 식욕부족과 관련된 탈수의 위험성
1) 간호목표
대상자는 탈수의 위험에서 벗어나 정상 체액량를 유지한다.
- I/O check를 한다.
-배변양상을 모니터 한다.
-수분 섭취를 권하고 수액 요법을 한다.
-전해질 수치를 monitoring하고 정상 범위를 유지하게 한다.
-체중을 매일 측정한다.
-처방된 지사제를 투여한다.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3) 수행
I/O check를 8시간 마다 측정하였고 배변 양상에 대해 확인하였다. 보호자에게 수분 섭취를 권하고 전해질 균형을 위해 1:1SOL(5%DW+Na+K) 500CC를 10gtt로 투여 하였다. 전해질 검사를 하여 불균형을 예방하였다.
4) 평가
수분 섭취를 늘려서 1/17일 보터 1/18일 intake양이 증가 하였고, 전해질 균형은 정상 범위를 유지하였다. 1/17일 보타 1/18일에 0.2kg 감소가 보였으나 1/19 대상자 체중이 12.6kg로 유지 되었다. 처방된 지사제 SMECTA가 1/17일과 1/18일 이틀간 BY 2로 10CC씩 처방 되었다.
1/19일부터 대상자는 DIARRHEA가 SUBSIDE되었다.
Ⅱ. 만성신부전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 간호력
1) 인적사항
이름: 김○○
성별: female
나이: 23세
종교: 無
흡연: 無
음주: 無
입원일자: 03월 08일 오후 4시 50분
입원경로: 응급실
입원방법: 눕는차
의학적 진단: R/O glomerulonephritis(사구체 신염) ->퇴원시 CRF(만성 신부전)
정보제공자: 본인
2) 신체사정(입원 당시)
시진: 기형없고, 색소침착 없음.
청진: 이상 없음.
시력: 이상 없음.
신체측정
체중: 161㎝
신장: 67㎏
활력징후
BP:165/99
P:115
T:36.8
R: 36
3) 건강사정
(1)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
내원이유
상기 pt는 23세된 female pt로 과거력상 6년전 검진에서 protein uria check 됐으나 특별한 관리 없이 지내왔으며, 내원 1달 전부터 dyspnea develop 됐으며, 점차 symptom, aggravation
키워드
추천자료
담석증,당낭염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아토피 스터디케이스)
경막하출혈 간호사례연구(케이스스터디)
간호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폐렴(뉴모니아), pneumonia
급성 인두편도선염으로 인한 열성경련에 관한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케이스스터디-경막하혈종(SDH)
비소세포암(NSCLCa) 사례연구보고서, 케이스스터디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당뇨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췌장염(Pancreatitis) 케이스스터디
Pneumonia(폐렴) A+케이스스터디
모성간호학(분만실) 케이스스터디 - 조기진통(pre- labor)
아동간호학!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호흡기계 간호과정 적용가능!
보건소, 방문간호 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