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남북사통속연의 16회 17회 18회 한문 및 한글번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중국역사소설 남북사통속연의 16회 17회 18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십육회 영안궁위주피장 함장전송제우시
남북사통속연의 16회 영안궁에서 위나라 군주는 죽임을 당하고 함장전에서 송나라 황제는 시해를 당하다
제십칠회 발심양출사문죄 극건강효악서간
남북사통속연의 17회 심양을 출발해 군사를 출발해 죄를 문책하고 건강을 이기며 수괴를 효수하고 간사한자를 베어내다
제십팔회 범상흥병일패도지 주숙납매지수만천
남북사통속연의 18회 윗사람을 범하려고 병사를 일으켜 한번에 패망하고 숙부를 죽이고 누이를 들여 한손으로 천하를 속이다

본문내용

후는 상서령이 되고 개부의동삼사에 더해지니 국사가 대략 평정되어 위험이 편안함으로 바뀌었다.
那南朝的宋天子, 却親遭子禍, 死於非命, 佛有銅山西崩, 洛鍾東應的情狀, 這正所謂亂世紛紛, 華夷一律。
나남조적송천자 각친조자화 사어비명 방불유동산서붕 낙종동응적정상 저정소위난세분분 화이일률니
저 남쪽 조정 송나라 천자는 친히 아들 재앙을 당해 비명에 죽어 마치 구리산의 서쪽이 붕궤하면 낙양 종이 동쪽에서 응한 정황과 같이 이는 바로 이른바 난세에 어지러움은 중국이나 오랑캐나 똑같다는 점이다.
(開下半回文字。)
개하반회문자
반회의 내용을 열었다.
宋自袁皇后病逝後, 潘淑妃得專總內政。
송자원황후병서후 반숙비득전총내정
송나라는 원황후가 병사한 뒤로 반숙비다 내정을 오로지 총괄했다.
太子性本凶險, 又憶及母后病亡, 由淑妃所致, 不免仇恨淑妃, 及淑妃子浚。
태자소성본흉험 우억급모후병망 유숙비소치 불면구한숙비 병급숙비자준
태자 유소는 성격이 본래 흉하고 험해 또 모후의 사망을 추억하면 숙비가 한 것이라 숙비와 숙비 아들 유준의 원한을 면치 못했다.
浚恐爲所害, 曲意事, 因得與相親。
준공위소소해 곡의사소 인득여소상친
유준은 유수에게 피해당할까 두려워 자신의 뜻을 굽혀 유소를 섬겨 유소와 서로 친해졌다.
東陽公主, 有婢王鸚鵡, 與女巫嚴道育往來.
소자동양공주 유비왕앵무 여여무엄도육왕래
유소의 누이인 동양공주의 시비인 왕앵무가 있어서 여자무당인 엄도육과 왕래를 했다.
道育緣干進, 得見公主, 自言能穀導氣, 役使鬼物。
도육인연간진 득견공주 자언능벽곡도기 사역귀물
[yinyuan] 뇌물을 주거나 연줄을 타고 출세하려 함① 달라붙다 ② 빌붙다 ③ 아첨하다 ④ 매달리다
干進 : 벼슬에 나아가기를 구함
엄도욱은 인연으로 나아가길 구해 공주를 보면 자신이 곡기를 끊고 기를 인도해 귀신도 부릴수 있다고 했다.
婦人家多半迷信, 遂視道育爲神巫。
부인가다반미신 수시도육위신무
부인들은 태반이 미신을 믿어 곧장 엄도욱을 신들린 무당으로 보았다.
道育嘗語公主道:“神將賜公主重寶, 請公主留意!”
도육상어공주도 신장사공주중보 청공주류의
엄도육은 일찍이 공주에게 말했다. “신장께서 공주님께 중요한 보물을 하사하시니 공주님은 유념하길 청합니다!”
公主記在心中, 入夜臥床, 果見流光若螢, 飛入書, 慌忙起視, 開得二珠, 卽目爲神賜, 益信道育。
공주기재심중 입야와상 과견유광약형 비입서사 황망기시 개협득이청주 즉목위신사 익신도육
書(네모진 상자 사; -총11획; si):편지통, 서적을 넣는 상자
공주는 마음속에 기억하여 야간에 침상에 누워 과연 빛이 반딧불이처럼 흘러와 책상자에 날라 들어가 바삐 일어나 보아 상자를 열어보니 2푸른 구슬이 있어 신이 준 것으로 지목해 더욱 엄도육을 믿었다.
與浚出入主家, 由公主與語道育神術, 亦信以爲眞。
소여준출입주가 유공주여어도육신술 역신이위진
유소와 유준이 공주집을 출입하니 공주는 엄도육의 신기한 기술을 말해 또 진실로 믿었다.
他兩人素行多虧, 常遭父皇呵斥, 可巧與道育相識, 便祈請, 欲令過不上聞。
타양인소행다휴 상조부황가척 가교여도육상식 변매저기청 욕령과불상문
多 [duku] ① 덕분에 ② 은혜를 입다 ③ 다행히
(더럽힐, 의뢰하다 매; -총10획; mei)
그들 두 사람 평소 행실이 빠짐이 많아 항상 부친 황제 질책을 받아 공교롭게 엄도육이 알고 곧 그들의 의뢰로 기도를 청하니 과실이 주상께 들리지 않게 했다.
道育設起香案, 對天膜拜, 念念有詞, 也不知他是甚語。(是無等等。)
도육설기향안 대천막배 념념유사 야부지타시심마주어 시무득등주
膜拜 [mobai] 부복(俯伏)하여 절하다
엄도육은 향불 책상을 설치하고 하늘을 대해 부복해 절하고 중얼중얼 말을 하니 어떤 주문인지는 몰랐다. (이는 무등등 주문이다.)
旣而向空問答, 好似有天神下降, 與他對談, 約有半個時辰, 算禱畢。
기이향공문답 호사유천신하강 여타대담 약유반개시진 재산도필
이어 공중을 향하여 문답하여 마치 천신이 하강한 듯이 그와 대답하니 대략 1시간만에 겨우 기도를 마쳤다.
(無非搗鬼。)
무비도귀
鬼 [do//gu] ① 음모를 꾀하다 ② 짓궂은 장난을 하다 ③ 나쁜 일을 계획하다
음모를 꾀함이다.
入語、浚二人道:“我已轉告天神, 必不泄露。”
입어소 준이인도 아이전고천신 필불설로
유소와 유준을 불러 말했다. “내가 이미 다시 천신에게 고하니 반드시 누설하지 말라.”
二人大喜, 共稱道育爲天神。
이인대희 공칭도육위천신
두 사람이 매우 기뻐하며 같이 엄도육이 하늘신이 되었다고 말했다.
道育恐所言未驗, 索性爲、浚設法, 用巫蠱術, 雕玉成像, 假托宋主形神, 埋含章殿前。
도육공소언미험 삭성위소 준설법 용무고술 조옥성상 가탁송주형신 매함장전전
巫蠱:남을 해치기 위한 주술을 우리 나라에서는 저주(咀呪)라고 하였는데, 서양에서는 이를 흑주술(黑呪術, black magic)이라고 부른다.
(묻을 예; -총15획; yi)
엄도육은 말이 아직 징험이 없을까 두려워 차라리 유소와 유준을 위해 방법을 내어 무고술을 써서 옥을 조각해 형상을 만들어 송나라 군주 형신으로 빌려 함장전앞에 묻었다.
東陽公主婢王鸚鵡, 與主奴陳天與, 黃門陳慶國, 共預秘謀。
동양공주비왕앵무 여주노진천여 황문진경국 공예비모
동양공주 비인 왕앵무는 군주노비인 진천여와 황문 진경국과 비밀 음모를 공모했다.
擢天與爲隊主, 宋主說他錄用非人, 面加詰責。
소탁천여위대주 송주설타녹용비인 면가힐책
主[dui zh]一之主。
用 [luyong] ① 채용하다 ② 고용하다 ③ 임용하다
유소는 진천여를 대주[대장]로 발탁해 송나라 군주는 그에게 잘못된 사람을 임용했다고 대면해서 힐책했다.
(天神何不代爲掩飾。)
천신하부대위엄식
掩 [ynshi] ① (결점·실수 따위를) 덮어 숨기다 ② 속이다
하늘 신은 어찌 대신 덮어 숨겨주지 않는가?
未免心虛, 且恨且懼, 適浚出鎭京口, 遂馳書相告。
소미면심허 차한차구 적준출진경구 수치서상고
유소는 마음이 허함을 면치 못하고 한탄하고 또 두려워 마침 유준이 경구를 다스리러 나갈 때 곧장 서신을 보내 고했다.
浚復書道:“彼人若所爲不已, 正好促他餘命。”
준부서도 피인약소위불이 정호촉타여명
正好 [zhengho] ① (시간·위치·체적·수량·정도 따위가) 꼭 알맞다 ② 마침 ③ 딱 좋다 ④ 때마침
유준이 답신을

키워드

  • 가격10,000
  • 페이지수71페이지
  • 등록일2017.08.30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2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