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중국역사 남북사통속연의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68페이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중국역사 남북사통속연의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68페이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第一回 射蛇首興王呈預兆 睹龍顏慧婦忌英雄
제일회 사사수흥왕정예조 도룡안혜부기영웅
第二回 起義師入京討逆 迎御駕報績增封
제이회 기의사입경토역 영어가보적증봉
第三回 伐燕南冒險成功 捍東都督兵禦寇
제삼회 벌연남모험성공 한동도독병어구

본문내용

가부자적행의 야불상개치세진인 수연고착일시요행 엄유남북 종구시이흥이쇠 재경일전 변이복국 저야지호시작윤운 불응이정통상대
行誼:바르고 점잖은 행실
[run yun] 世。指不正常的世
양씨 집안 부자의 점잖은 행실은 치세의 진실된 사람과 다르니 비록 한때 요행을 의지해 문득 남북을 소유하나 종내 쉽게 흥기했다 쉽게 쇠약하여 겨우 한 세대를 전하니 곧 네가 나라를 엎어뜨리니 이는 부득불 난세처럼 보고 정통으로 상대할 수 없다.
(獨具隻眼。)
독구쌍안
具只眼 [du ju zh yn] 탁월한 식견을 가지고 있다
탁월한 식견을 가지고 있다.
小子依例演述, 摹說部體裁, 編成一部《南北史通俗演義》, 自始徹終, 看官聽着, 開場白已經說過, 下文便是南北史正傳了。
소자의례연술 모방설부체재 편성일부 남북사통속연의 자시철종 간관청착 개장백이경설과 하문변시남북사정전료
演述:자기의 생각을 말이나 글로 나타냄
部 [shubu] 옛날 소설이나 일화·민간 전설 따위의 작품
白 [kichngbai] ① (연극 따위의) 개막사 ② 머리말 ③ 프롤로그 ④ 서두
내가 예에 따라 글로 서술해 철수 체재를 모방해 일부의 남북사통속연의를 편성해 시작부터 끝까지 여러분은 들어 보고 개막사는 설명하니 아래 문장이 남북사의 정전이다.
(虛寫一段, 已括全書大意。)
허사일단 이괄전서대의
헛되게 한 단락을 써 이미 전 서책의 대의를 포괄한다.
且說東晉哀帝興寧元年, 江南丹徒縣地方, 生了一位亂世的梟雄, 姓劉名裕字德輿, 小字叫作寄奴, 他的遠祖, 乃是漢高帝弟楚元王交, 交受封楚地, 建國彭城, 子孫就在彭城居住。
차설동진애제흥녕원년 강남단사현지방 생료일위난세적효웅 성유명유자덕여 소자규작기노 타적 원조 내시한고조제초원왕교 교수봉초지 건국팽성 자손취재팽성거주
興寧:東晋 애제(哀帝) 때의 연호. 363년~365년
小字 [xiozi] ① 저의 자(字) ② 어릴 때의 이름 ③ 작은 글자
각설하고 동진 애제 흥녕원년에 강남 단사현 지방에서 한 난세의 영웅이 탄생하여 성은 유씨 이름은 유 자는 덕여 어릴 때 이름은 기노라고 부르며 그의 먼 조상은 한나라 고조의 아우인 초원왕인 유교로 유교는 초지역을 분봉받아 팽성에 건국하고 자손은 팽성에 거주했다.
及晉室東遷, 劉氏始徙居丹徒縣京口里。
급진실동천 유씨시사거단도현경구리
진나라 황실이 동쪽으로 천도하여 유씨가 비로소 단도현 경구리로 옮겨 살았다.
東安太守劉靖, 就是裕祖, 郡功曹劉翹, 就是裕父, 自從楚元王交起算, 傳至劉裕, 共歷二十一世。
동안태수유정 취시유조 군공조유교 취시유부 자종초원왕교기산 전지유유 공력이십일세
靖(편안할 정; -총13획; jing)
起算:일정한 시간이나 장소를 기준으로 하여 셈이나 계산을 시작함
동안태수인 유정은 곧 유유의 조부이고, 군공조인 유교는 유유의 부친으로 초나라 원왕 유교로부터 계산해 유유까지 전해져내려오면 모두 21세대로 계산된다.
裕生時適當夜間, 滿室生光, 不白晝;
유생시적당야간 만실생광 부체백주
不 [buchi] ① 다만 …뿐만 아니다 ② …와 같다
유유가 탄색할 때 야간이나 온 방에 광채가 생겨 백주대낮같았다.
偏偏兒墮地, 母趙氏得病暴亡, 乃父翹以生裕爲不祥, 意欲棄去, 還虧有一從母, 憐惜侄兒, 獨爲留養, 乳哺保抱, 乃得生成。
편편영아추지 모조씨득병폭망 내부교이생유위불상 의욕기거 환휴유일종모 련석질아 독위유양 유포보포 내득생성
偏偏() [pinpin(r)] ① 기어코 ② 마침 ③ 유달리 ④ 일부러
母 [congm] 이모
마침 영아가 탄생할 때 모친인 조씨가 질병으로 갑자기 사망하고 부친인 유교는 낳은 유유가 상서롭지 않아 뜻은 버리려고 했다가 한 이모 덕분에 조카를 가련하게 여겨 홀로 길러줘 젖을 먹이고 보호하여 안아서 자라게 되었다.
翹復娶蕭氏女爲繼室, 待裕有恩, 勤加撫字, 裕體益發育, 年未及冠, 已長至七尺有餘。
교부취소씨녀위계실 대유유은 근가무자 유체익발육 년미급관 이장성칠척유여
撫字: 어루만져 사랑한다는 뜻으로, 즉 지방관이 선정(善政)을 베푼 것
유교는 다시 소씨 딸에게 장가들어 첩으로 삼아 유유 대우에 은혜가 있어서 부지런히 사랑해 유유 몸이 더욱 발육되어 나이가 20세가 안되어 이미 7척이 넘게 장성했다.
會翹病不起, 竟致去世, 剩得一對婦孤兒, 度日, 家計又復蕭條, 常憂凍。
회교병불기 경치거세 잉득일대리부고아 처량도일 가계우부소조 상우동뇌
마침 유교가 병으로 일어나지 못하고 마침내 별세하여 남은 것은 한 쌍 과부와 고아로 처량하게 세월을 보내 집재산이 다시 쓸쓸해지고 항상 추위와 굶주림을 근심했다.
裕素性不喜讀書, 但識得幾個普通文字, 便算了事;
유소성불희독서 단식득기개보통문자 변산료사
유유는 평소 성격이 독서를 좋아하지 않고 단지 몇 개 보통 문자만 알고 곧 일처리를 했다.
平日喜弄拳棒, 兼好騎射, 里間無從施技;
평일희농권봉 겸호기사 향리간무종시기
평소 권법과 봉술만 즐기고 말타기 활쏘기만 겸해 잘해 마을에서는 재주를 펼칠수 없었다.
因謀生日, 不得已織易食, 伐薪爲炊, 勞苦得了不得, 尙且饔鮮繼, 饑飽未勻;
병인모생일극 부득이직구역식 벌신위취 노고득료부득 상차옹손선계 기포미균
勻(적을, 흩어지다 균; -총4획; yun)
饔 [yngsn] 아침밥과 저녁밥
생계도모가 날로 빨라져 부득이하게 삼신을 짜 식량과 바꾸고 땔나무를 베어 때서 매우 노고가 커서 심지어 아침밥과 저녁밥도 이어 못 먹어서 굶주림과 배고픔이 균등하지 못했다.
惟奉養繼母, 必誠必敬, 寧可自己乏食, 不使甘旨少虧。
유봉양계모 필성필경 녕가자기핍식 불사감지소휴
甘旨 [gnzh] 맛있는 음식
계모 봉양만은 반드시 정성과 공경을 다해 유유는 차라리 자기의 식량이 모자랄지언정 맛있는 음식을 적게 봉양하지 않았다.
(揭出孝道, 借古風世。)
게출효도 차고풍세
효도를 게시해 내어
一日, 遊京口竹林寺, 稍覺疲倦, 遂就講堂前假寐。
일일 유경구죽림사 초각피권 수취강당전가매
하루에 경구의 죽림사에서 놀다가 조금 피곤함을 느껴 곧 강당앞에서 낮잠을 잤다.
僧徒不識姓名, 見他衣冠襤褸, 有逐客意, 正擬上前呵逐, 忽見裕身上現出龍章, 光呈五色, 衆僧駭異得, 禁不住起來。
승도불식성명 견타의관남루 유축객의 정의상전가축 홀견유신상현출용장 광정오색 중승해이득흔 금부주화조기래
승려들은 성명도 모른채 유유 의관이 남루함을 보고 나그네를

키워드

  • 가격12,000
  • 페이지수68페이지
  • 등록일2017.06.27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8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