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술치료 사례
1. 아동의 배경
2. 치료과정
3. 제1회기
4. 제2~3회기
5. 제4회기
6. 제5회기
7. 제6회기
8. 제7~8회기
9. 제9회기
10. 제10회기
11. 제11회기
12. 제12회기
13. 제13회기
14. 제18회기
15. 제21~22회기
16. 제23회기
* 참고문헌
1. 아동의 배경
2. 치료과정
3. 제1회기
4. 제2~3회기
5. 제4회기
6. 제5회기
7. 제6회기
8. 제7~8회기
9. 제9회기
10. 제10회기
11. 제11회기
12. 제12회기
13. 제13회기
14. 제18회기
15. 제21~22회기
16. 제23회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21~22회기
종이접기를 해 보자 했다. 생각보다 차분하게 순서를 보면서 종이접기(선인장)작품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교회기에 실시한 찰흙을 주었다. 아동은 무엇인가를 만들려 하지 않았다. 이번 회기에 치료자는 얼굴 모양을 만들어 보여주었다. 처음보다 주어진 재료를 가지고 생각하여 작품을 표현하려는 모습이 보였다. 피자형태만 반복하였다.
이번 회기에서 충동성으로 설명을 듣거나 함께하는 것을 거부했다. 착석이 좋아지고 집중력도 향상되었다. 아동은 그림을 그리는 것을 아주 싫어한다. 만들기나 물감을 이용한 응용은 좋아하나 연필이나 크레파스를 이용한 그림 그리기는 거의 거부하였다. 그간 중간 중간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감정을 조절하며 스스로 참여하는 모습이 자주 보였다.
16. 제23회기
"우리가 여러 번 만나서 그림 놀이를 하였는데 미술놀이가 재미있었니?"라고 물어보았다. "그냥요. 조금 재미있어요." 간단하게 대답했다. 아동은 여전히 연필로 그리는 것은 싫어했다. 처음보다 많이 차분하고 조금은 신중하게 그림을 그렸다.
본 미술치료 사례는 초등학교에서 다양한 미술활동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아동은 서울 S초등학교 2학년이다. 1주 2회 총 23회기를 실시하였다. 미술활동은 사례 아동에 맞게 구성하였다.
미술치료 초기에는 고집과 충동으로 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아동은 계획성과 조직에서 도형과 사물의 형태가 왜곡되고, 불안하여 전체적으로 순서가 흩어져 나타났다.
3회기에서 8회기까지 치료자의 지시, 요구 또는 명령 이행을 거부하거나 저항으로 미술활동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동은 색채 선택이 즉흥적이었다. 검정과 빨간색을 자주 선호하였다. 그러나 10회기 이후에 아동은 점차 흥미와 관심으로 집중력이 향상되고 적극적인 참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손바닥 찍기, 데칼코마니 등에서 내면의 불만을 표출하였다. 또래 친구들과 보였던 교실에서 공격과 반항적인 모습이 현저히 줄었다.
순서나 차례에서 배열이 나타나 충동성과 왜곡이 많이 줄고, 도형의 배치가 계획적으로 나타났다. 아동은 회기가 증가할수록 "재미있다"는 말을 반복하며 열심히 참여하였다.
특히 아동은 자기가 만든 만족스러운 작품은 어머니에게 선물하겠다는 의사를 몇 번이나 보였다. 12회기 이후에서 지시 따르기와 감정, 충동 조절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위축, 습관, 활동은 미술치료 후에도 변화가 거의 없었다(정정훈, 2006, 특수교사, 미술치료자).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종이접기를 해 보자 했다. 생각보다 차분하게 순서를 보면서 종이접기(선인장)작품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교회기에 실시한 찰흙을 주었다. 아동은 무엇인가를 만들려 하지 않았다. 이번 회기에 치료자는 얼굴 모양을 만들어 보여주었다. 처음보다 주어진 재료를 가지고 생각하여 작품을 표현하려는 모습이 보였다. 피자형태만 반복하였다.
이번 회기에서 충동성으로 설명을 듣거나 함께하는 것을 거부했다. 착석이 좋아지고 집중력도 향상되었다. 아동은 그림을 그리는 것을 아주 싫어한다. 만들기나 물감을 이용한 응용은 좋아하나 연필이나 크레파스를 이용한 그림 그리기는 거의 거부하였다. 그간 중간 중간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감정을 조절하며 스스로 참여하는 모습이 자주 보였다.
16. 제23회기
"우리가 여러 번 만나서 그림 놀이를 하였는데 미술놀이가 재미있었니?"라고 물어보았다. "그냥요. 조금 재미있어요." 간단하게 대답했다. 아동은 여전히 연필로 그리는 것은 싫어했다. 처음보다 많이 차분하고 조금은 신중하게 그림을 그렸다.
본 미술치료 사례는 초등학교에서 다양한 미술활동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아동은 서울 S초등학교 2학년이다. 1주 2회 총 23회기를 실시하였다. 미술활동은 사례 아동에 맞게 구성하였다.
미술치료 초기에는 고집과 충동으로 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아동은 계획성과 조직에서 도형과 사물의 형태가 왜곡되고, 불안하여 전체적으로 순서가 흩어져 나타났다.
3회기에서 8회기까지 치료자의 지시, 요구 또는 명령 이행을 거부하거나 저항으로 미술활동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동은 색채 선택이 즉흥적이었다. 검정과 빨간색을 자주 선호하였다. 그러나 10회기 이후에 아동은 점차 흥미와 관심으로 집중력이 향상되고 적극적인 참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손바닥 찍기, 데칼코마니 등에서 내면의 불만을 표출하였다. 또래 친구들과 보였던 교실에서 공격과 반항적인 모습이 현저히 줄었다.
순서나 차례에서 배열이 나타나 충동성과 왜곡이 많이 줄고, 도형의 배치가 계획적으로 나타났다. 아동은 회기가 증가할수록 "재미있다"는 말을 반복하며 열심히 참여하였다.
특히 아동은 자기가 만든 만족스러운 작품은 어머니에게 선물하겠다는 의사를 몇 번이나 보였다. 12회기 이후에서 지시 따르기와 감정, 충동 조절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위축, 습관, 활동은 미술치료 후에도 변화가 거의 없었다(정정훈, 2006, 특수교사, 미술치료자).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