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의 유리창 1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지용의 유리창 1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이남호(2001)의 글에 대한 정리
2)이 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본문내용

불러도 대답이 없다. 훨훨 강을 건너고 있는데
그림자마저 아른거린다. 이리도 내 가슴에 천둥이 치랴
②이미지의 독창성이 이 시에 끼치는 영향
이미지가 시의 핵심적인 시 방법이 됨은 그것이 단순한 수식의 장치나 기교의 단계를 벗어나 인식의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즉 이미지는 상상력의 자극을 통해 은유, 상징 등 기타 구성단위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시적 의미와 효과를 총체적으로 드러내는 가장 특징적인 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김덕상, <정지용시 이미지의 교육적 활용방안>,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1991
이 시에서 화자가 느끼는 외로움은 대상이 떠나갔다는 사실을 인시하는 데서 오는 정서이며 그의 황홀함은 대상과 만날 수 있으리라는 기대에서 오는 감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런데 화자의 이런 양면적 정서는 이 시의 핵심적 이미지인 유리창의 양면성을 통하여 아주 적절하게 객관화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리적으로 시적 화자에게 있어서 유리창은 그것을 통하여 대상이 존재하는 방 밖의 세계와 서로 통할 수 있는 투명한 통로이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 유리창은 방 안의 세계와 방 밖의 세계를 갈라놓는 차가운 벽로 존재하는 것이기도 하다. 박노균. <정지용과 김광균의 이미지즘시>, 개신어문연구 제 8집, 1991
이러한 것을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가르치는 것이 이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미지즘에 있어서도 시사(詩史)적인 큰 이해는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시적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드러내는 한 방편으로서 학생들에게 충분히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10.17
  • 저작시기201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6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