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sabel Briggs Myers와 손자인 Peter Myers에 이르기까지 무려 3대에 걸친 70여 년 동안 계속적으로 연구 개발한 보다 쉽고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유형지표
융의 심리 유형론은 인간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아 보여도, 사실은 아주 질서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 데서 출발
인간행동의 다양성은 개인이 인식(Perception)하고 판단(Judgement)하는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봄.
▶MBTI 역사
MBTI는 1900 ~ 1975년에 걸쳐 Katharine Cook Briggs와 Isabel Briggs Myers에 의해 개발→1921년 C.G. Jung의 Psychological Type 이론을 접하면서 인간관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MBTI form A, B, C, D, E를 거쳐 1962년 Form F가 미국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에 의해 출판→1975년 form G를 개발하여 미국 CPP로부터 출판, 현재에 이르러 Form K,M,Q 등이 개발
▶한국의 MBTI 역사
1988 - 1990년 심혜숙, 김정택에 의해 미국 CPP(Consulting Psychologist Press)와 MBTI의 한국판 표준화 법적 계약을 맺고 MBTI FORM G 표준화 작업이 완성→1990년 6월에 한국 MBTI 연구소를 설립 후 MBTI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1992년 2월에는 한국 심리유형학회 발족→2002년 MBTI form K 표준화 등 지속적인 MBTI 연구, 번역, 저술활동 등이 이루어지고 있음(한국어판은 현재 GS Form(자가채점용)과 GA(컴퓨터 채점용) Form K 세 가지 검사지가 제공됨)
▶MBTI의 기초가 되는 심리유형론
이론의 바탕이 되는 융의 심리유형 이론의 요점 : 각 개인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인식기능), 자신이 수집한 정보에 근거해서 행동을 위한 결정을 내리는데(판단기능) 있어서 각 개인이 선호하는 방법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융의 심리유형론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MBTI에서는 인식과정을 감각(S:Sensing)과 직관(N:iNtution)으로 구분하여 사물, 사람, 사건, 생각들을 인식하게 될 때 나타나는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며, 판단과정은 사고(T:Thinking)와 감정(F:Feeling)으로 구분하여 우리가 인식한 바에 의거해서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들간의 차이점을 알게 해준다.
▶검사의 대상
독해수준: 적어도 중학교 2학년 수준의 문장을 이해할 수 있는 고등학생이나 성인다. 중학교 학생들의 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연령: MBTI는 고등학생과 성인에게는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학교 학생들의 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유형에 따른 흥미나 학습양식의 차이를 찾기 위한 연구목적으로는 실시할 수도 있다.
MBTI는개인뿐 아니라 집단의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해 집단적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어린이 및 청소년용(MMTIC)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어린이 및 청소년이 검사 받을 수 있다.
▶검사문항
제1부 : 자신이 일상적으로 느끼고 행동하는데 가장 가깝다고 생각 되는 것을 선택하여 답안용지에 표시하십시오.(1~30)
예)1. 나는대체로
(A). 다른 사람들과 쉽게 어울리는 사람이다. (B). 보다 조용하고 말이 없는 편이다.
제2부: 두 개의 낱말이 있는 문항에서는, 자신에게 호감이 더 가는 말을 선택하여 답안용지에 표시하시오. 말이 여운이나 외모보다 그 의미를 생각 하십시오.(31~94)
예)31. (A). 유순한 (B). 견고한
▶4가지 선호지표
⑴ 외향(E)과 내향(I)
외 향 형
내 향 형
주의 집중 : 외부세계로
외부활동에 적극성 보임(활동해야 신남)
인간관계가 활발하고 폭넓은
말로하는 것을 즐긴다.
사교성이 많다.
아무에게나 인사를 쉽게 나눈다.
여러 사람과 한꺼번에 대화해도 거뜬
사람을 쉽게 잘 사귀고 즐긴다.
정력적이고 활동적이다.
행동부터 해놓고 생각한다.
자신을 잘 드러낸다.
주의집중 : 자기 내부세계로
내부활동에 집중력 보임
(생각하고 곰곰히 되새기고, 생각이 많다.)
소수와의 깊이 있는 인간관계
글로 표현할 때가 편안하다.
혼자 있을 공간을 찾는다.
조용하고 신중하다.
생각한 다음 행동에 옮긴다.
자신을 서서히 드러낸다.
⑵ 감각(S)과 직관(N)
감 각 형
직 관 형
오관에 의존한다.
“지금, 여기”에 주목한다.
실제의 경험을 중시한다.
사실적이고 구체적이다.
실태 파악에 능하다.
사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관례를 잘 따른다.(보수적 경향)
가꾸고 추수하는 사람이다.
나무만 보고 숲은 못 본다.
일처리 : 꼼꼼, 철저, 성실 근면
통찰 또는 육감에 의존함
미래, 가능성을 내다본다.
풍부한 아이디어를 선호한다.
상상적이고 영감적이다.
변화와 다양성을 추구한다.
사실을 비유적으로 상징적으로 묘사함
씨뿌리는 사람이다.
나무는 안보고 숲만 보려고 한다.
일처리 : 신속, 비약, 반복 싫어하고 새 로운 것을 시도
⑶ 사고(T)와 감정(F)
사 고 형
감 정 형
객관적 진실을 중시
원리와 원칙에 입각하여 판단
논리적이고 분석적
설명할 때 간단명료 핵심을 짚어 나감
지적인 논평을 즐긴다.
인과론에 입각한 객관적 판단
옳다 그르다를 선호
규범과 기준을 중시한다.
논리적이고 합당한 이유
사람과 관계에 중시함
보편적인 선을 중시
정상을 참작해가며 설명한다.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주관적 판단
좋다 나쁘다를 선호
원칙, 논리에 약하다.
감정을 숨기지 못한다.
나에게 주는 의미를 중시한다.
⑷판단(J)과 인식(P)
판 단 형
인 식 형
체계적이고 논리적이다.
정리정돈과 치밀한 계획 선호
신속한 결론 또는 도달
통제와 조정
목표의식이 분명하다.
뚜렷한 기준이 있고 자기의사가 분명함
기한을 철저히 지킨다.
미리 계획을 짠다. 계획짜다 세월보냄
규정이나 틀을 중시한다.
미리 계획해 놓고 일을 추진함
일은 치밀하게
경게선이 분명하다.
자율적이고 자발적이다.
상황에 따라 개방적이다.
변화에 대해 이해로 수용
융
융의 심리 유형론은 인간행동이 그 다양성으로 인해 종잡을 수 없는 것 같아 보여도, 사실은 아주 질서정연하고 일관된 경향이 있다는 데서 출발
인간행동의 다양성은 개인이 인식(Perception)하고 판단(Judgement)하는 특징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봄.
▶MBTI 역사
MBTI는 1900 ~ 1975년에 걸쳐 Katharine Cook Briggs와 Isabel Briggs Myers에 의해 개발→1921년 C.G. Jung의 Psychological Type 이론을 접하면서 인간관찰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MBTI form A, B, C, D, E를 거쳐 1962년 Form F가 미국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에 의해 출판→1975년 form G를 개발하여 미국 CPP로부터 출판, 현재에 이르러 Form K,M,Q 등이 개발
▶한국의 MBTI 역사
1988 - 1990년 심혜숙, 김정택에 의해 미국 CPP(Consulting Psychologist Press)와 MBTI의 한국판 표준화 법적 계약을 맺고 MBTI FORM G 표준화 작업이 완성→1990년 6월에 한국 MBTI 연구소를 설립 후 MBTI 전문가 양성프로그램개발→1992년 2월에는 한국 심리유형학회 발족→2002년 MBTI form K 표준화 등 지속적인 MBTI 연구, 번역, 저술활동 등이 이루어지고 있음(한국어판은 현재 GS Form(자가채점용)과 GA(컴퓨터 채점용) Form K 세 가지 검사지가 제공됨)
▶MBTI의 기초가 되는 심리유형론
이론의 바탕이 되는 융의 심리유형 이론의 요점 : 각 개인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인식기능), 자신이 수집한 정보에 근거해서 행동을 위한 결정을 내리는데(판단기능) 있어서 각 개인이 선호하는 방법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융의 심리유형론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MBTI에서는 인식과정을 감각(S:Sensing)과 직관(N:iNtution)으로 구분하여 사물, 사람, 사건, 생각들을 인식하게 될 때 나타나는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며, 판단과정은 사고(T:Thinking)와 감정(F:Feeling)으로 구분하여 우리가 인식한 바에 의거해서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들간의 차이점을 알게 해준다.
▶검사의 대상
독해수준: 적어도 중학교 2학년 수준의 문장을 이해할 수 있는 고등학생이나 성인다. 중학교 학생들의 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연령: MBTI는 고등학생과 성인에게는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학교 학생들의 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유형에 따른 흥미나 학습양식의 차이를 찾기 위한 연구목적으로는 실시할 수도 있다.
MBTI는개인뿐 아니라 집단의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해 집단적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어린이 및 청소년용(MMTIC)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어린이 및 청소년이 검사 받을 수 있다.
▶검사문항
제1부 : 자신이 일상적으로 느끼고 행동하는데 가장 가깝다고 생각 되는 것을 선택하여 답안용지에 표시하십시오.(1~30)
예)1. 나는대체로
(A). 다른 사람들과 쉽게 어울리는 사람이다. (B). 보다 조용하고 말이 없는 편이다.
제2부: 두 개의 낱말이 있는 문항에서는, 자신에게 호감이 더 가는 말을 선택하여 답안용지에 표시하시오. 말이 여운이나 외모보다 그 의미를 생각 하십시오.(31~94)
예)31. (A). 유순한 (B). 견고한
▶4가지 선호지표
⑴ 외향(E)과 내향(I)
외 향 형
내 향 형
주의 집중 : 외부세계로
외부활동에 적극성 보임(활동해야 신남)
인간관계가 활발하고 폭넓은
말로하는 것을 즐긴다.
사교성이 많다.
아무에게나 인사를 쉽게 나눈다.
여러 사람과 한꺼번에 대화해도 거뜬
사람을 쉽게 잘 사귀고 즐긴다.
정력적이고 활동적이다.
행동부터 해놓고 생각한다.
자신을 잘 드러낸다.
주의집중 : 자기 내부세계로
내부활동에 집중력 보임
(생각하고 곰곰히 되새기고, 생각이 많다.)
소수와의 깊이 있는 인간관계
글로 표현할 때가 편안하다.
혼자 있을 공간을 찾는다.
조용하고 신중하다.
생각한 다음 행동에 옮긴다.
자신을 서서히 드러낸다.
⑵ 감각(S)과 직관(N)
감 각 형
직 관 형
오관에 의존한다.
“지금, 여기”에 주목한다.
실제의 경험을 중시한다.
사실적이고 구체적이다.
실태 파악에 능하다.
사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관례를 잘 따른다.(보수적 경향)
가꾸고 추수하는 사람이다.
나무만 보고 숲은 못 본다.
일처리 : 꼼꼼, 철저, 성실 근면
통찰 또는 육감에 의존함
미래, 가능성을 내다본다.
풍부한 아이디어를 선호한다.
상상적이고 영감적이다.
변화와 다양성을 추구한다.
사실을 비유적으로 상징적으로 묘사함
씨뿌리는 사람이다.
나무는 안보고 숲만 보려고 한다.
일처리 : 신속, 비약, 반복 싫어하고 새 로운 것을 시도
⑶ 사고(T)와 감정(F)
사 고 형
감 정 형
객관적 진실을 중시
원리와 원칙에 입각하여 판단
논리적이고 분석적
설명할 때 간단명료 핵심을 짚어 나감
지적인 논평을 즐긴다.
인과론에 입각한 객관적 판단
옳다 그르다를 선호
규범과 기준을 중시한다.
논리적이고 합당한 이유
사람과 관계에 중시함
보편적인 선을 중시
정상을 참작해가며 설명한다.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주관적 판단
좋다 나쁘다를 선호
원칙, 논리에 약하다.
감정을 숨기지 못한다.
나에게 주는 의미를 중시한다.
⑷판단(J)과 인식(P)
판 단 형
인 식 형
체계적이고 논리적이다.
정리정돈과 치밀한 계획 선호
신속한 결론 또는 도달
통제와 조정
목표의식이 분명하다.
뚜렷한 기준이 있고 자기의사가 분명함
기한을 철저히 지킨다.
미리 계획을 짠다. 계획짜다 세월보냄
규정이나 틀을 중시한다.
미리 계획해 놓고 일을 추진함
일은 치밀하게
경게선이 분명하다.
자율적이고 자발적이다.
상황에 따라 개방적이다.
변화에 대해 이해로 수용
융
키워드
추천자료
MBTI의 개발과 활용
MBTI(Myers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검사
MBTI유형별 설명
MBTI 검사후 나와 고객의 성향에 맞는 스포츠와 이상적 성향을 위한 변화에 적합한 스포츠 비...
나 자신의 성격을 분석하시오. 우선 내 성격을 성격결정요인별로 설명하고, 그 다음에는 유형...
품행장애와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정의, 특징, 증상, 원인, 치료방안[A+ 평가 레포트]
심리검사를 통해 본 자기 분석
생활지도(상담, 집단상담,성격이론) 깔끔정리!! - 6장. 성격과 인간관계, 8장. 상담, 9장. 집...
대인기술을 위한 자신의 성격의 장/단점 분석
아동발달과 교육(MBTI 검사 - 자신의 기질)
자기성격분석
심리검사의 종류
전북가족상담연구소 사회복지현장실습 보고서(기관소개, 실습일정, 집단프로그램, 상담사례) PPT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모델(심리사회적 모델, 인지행동모델, 인간중심모델, 과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