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토의 주제 : 활동중심접근을 통한 과학과 수업개선방안
2. 주제설정의 취지
가. 특수교육대상 아동의 과학교과 수업의 필요성
나. 과학교과와 특수교육 대상 아동을 위한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연계성
다. 과학과 수업에서 활동 중심의 접근이 갖는 수월성
3. 과학과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가. 장애 아동의 과학 교과
나. 내용 중심에서 오는 과학 교수
다. 과학과 교수방법
라. 교사의 인식 부족
4. 개선 방안
5. 슬기로운 생활과 교수-학습 지도 계획(통합학급 협력교수)
♣ 단원명 : 2. 나의 몸
가. 단원의 개관 및 목표
나. 교실의 환경
다. 단원의 지도계획
라. 본시교수 - 학습 과정안
마. 지도상의 유의점
바. 평가 계획
6. 결론 및 제언
2. 주제설정의 취지
가. 특수교육대상 아동의 과학교과 수업의 필요성
나. 과학교과와 특수교육 대상 아동을 위한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연계성
다. 과학과 수업에서 활동 중심의 접근이 갖는 수월성
3. 과학과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가. 장애 아동의 과학 교과
나. 내용 중심에서 오는 과학 교수
다. 과학과 교수방법
라. 교사의 인식 부족
4. 개선 방안
5. 슬기로운 생활과 교수-학습 지도 계획(통합학급 협력교수)
♣ 단원명 : 2. 나의 몸
가. 단원의 개관 및 목표
나. 교실의 환경
다. 단원의 지도계획
라. 본시교수 - 학습 과정안
마. 지도상의 유의점
바. 평가 계획
6.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자료 및 유의점
일반교육교사-아동
특수교육교사-아동
정리
차시예고
-손으로 찍어 먹어본 것의 맛이 어땠나요?
-혀가 하는 일은 무엇일까요?
▶다음차시 예고
-다음 시간에는 ‘병원’에 대해서 공부하겠어요.
▶오늘 배운 내용을 생각하면서 ‘눈은 어디 있나’ 노래 부르기
5
마. 지도상의 유의점
(1) 활동 및 놀이중심의 활동을 통하여 감각기관의 하는 일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한다.
(2) 놀이중심의 활동으로 너무 치우치지 않도록 교사가 학습에 관련된 의도된 활동으로 전개한다.
(3) 장애학생이 모둠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모둠원 구성원에게 각각의 역할을 주어 활동하게 한다.
(4) 장애체험활동을 통하여 장애학생의 어려움을 알 수 있도록 피드백시간을 갖는다.
바. 평가 계획
(1) 인지적 평가
(가) 감각기관의 명칭을 알고 하는 일을 말할 수 있는가?
(2) 정의적 평가
(가) 감각기관의 손상으로 인한 불편함을 알고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는가?
(나) 장애인의 불편함을 알고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말할 수 있는가?
(3) 기능적 평가
(가) 놀이 활동 시 감각기관을 사용하여 물건을 식별할 수 있는가?
6. 결론 및 제언
과학교과가 갖는 본질적인 성격은 자연현상과 과학 탐구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과학적 태도를 길러 합리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생활적응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과학교과는 교과서가 사용되는 내용 중심의 접근으로 많은 양의 내용이 매년 다루어지고 중요한 개념들을 철저하게 연습하기 위한 활동 중심의 수업보다는 어휘 학습만이 강조된 언어 위주의 수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렇게 되다보니 과학과 협력교수에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학습목표 차이가 심하고 수준별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장애학생들은 실질적으로 유의미한 과학 학습에 참여하고 있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장애학생들이 취급하기에 용이한 실험기구나 흥미나 관심을 끌 수 있는 실험기구나 교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며 교사들 또한 장애학생들에게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 방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통합 과학 활동에서 장애학생들이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동료의 도움은 큰 영향을 차지하므로 또래학습과 협동학습이 적절하고 학습활동에 전개는 1:1 지도가 가능한 평행교수나 소집단 학습 보충과 심화결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교수가 적당하다. 그리고 새로운 경험을 맛보게 할 수 있는 생활장면의 구성과 구체물이나 놀이 및 작업을 통한 활동 중심으로 다루어 져야 한다. 교사들은 활동중심과 놀이 중심의 계열성 있는 교육과정의 연구와 적합한 자료를 개발하여야 한다.
앞으로 과학교과의 질적으로 유의미한 교수를 위해서는 장애아동에게도 적합한 과학기구의 개발을 위한 기업체와의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보다 효율적인 협력교수를 위해 일반 교육체제에서 학급아동수의 하향조정과 업무경감 등으로 협력 협의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들이 활동중심 과학교육과 협력교수에 대해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교육의 기회가 요청된다.
일반교육교사-아동
특수교육교사-아동
정리
차시예고
-손으로 찍어 먹어본 것의 맛이 어땠나요?
-혀가 하는 일은 무엇일까요?
▶다음차시 예고
-다음 시간에는 ‘병원’에 대해서 공부하겠어요.
▶오늘 배운 내용을 생각하면서 ‘눈은 어디 있나’ 노래 부르기
5
마. 지도상의 유의점
(1) 활동 및 놀이중심의 활동을 통하여 감각기관의 하는 일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한다.
(2) 놀이중심의 활동으로 너무 치우치지 않도록 교사가 학습에 관련된 의도된 활동으로 전개한다.
(3) 장애학생이 모둠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모둠원 구성원에게 각각의 역할을 주어 활동하게 한다.
(4) 장애체험활동을 통하여 장애학생의 어려움을 알 수 있도록 피드백시간을 갖는다.
바. 평가 계획
(1) 인지적 평가
(가) 감각기관의 명칭을 알고 하는 일을 말할 수 있는가?
(2) 정의적 평가
(가) 감각기관의 손상으로 인한 불편함을 알고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는가?
(나) 장애인의 불편함을 알고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말할 수 있는가?
(3) 기능적 평가
(가) 놀이 활동 시 감각기관을 사용하여 물건을 식별할 수 있는가?
6. 결론 및 제언
과학교과가 갖는 본질적인 성격은 자연현상과 과학 탐구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과학적 태도를 길러 합리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생활적응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과학교과는 교과서가 사용되는 내용 중심의 접근으로 많은 양의 내용이 매년 다루어지고 중요한 개념들을 철저하게 연습하기 위한 활동 중심의 수업보다는 어휘 학습만이 강조된 언어 위주의 수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렇게 되다보니 과학과 협력교수에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학습목표 차이가 심하고 수준별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장애학생들은 실질적으로 유의미한 과학 학습에 참여하고 있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장애학생들이 취급하기에 용이한 실험기구나 흥미나 관심을 끌 수 있는 실험기구나 교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며 교사들 또한 장애학생들에게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 방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통합 과학 활동에서 장애학생들이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동료의 도움은 큰 영향을 차지하므로 또래학습과 협동학습이 적절하고 학습활동에 전개는 1:1 지도가 가능한 평행교수나 소집단 학습 보충과 심화결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교수가 적당하다. 그리고 새로운 경험을 맛보게 할 수 있는 생활장면의 구성과 구체물이나 놀이 및 작업을 통한 활동 중심으로 다루어 져야 한다. 교사들은 활동중심과 놀이 중심의 계열성 있는 교육과정의 연구와 적합한 자료를 개발하여야 한다.
앞으로 과학교과의 질적으로 유의미한 교수를 위해서는 장애아동에게도 적합한 과학기구의 개발을 위한 기업체와의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보다 효율적인 협력교수를 위해 일반 교육체제에서 학급아동수의 하향조정과 업무경감 등으로 협력 협의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들이 활동중심 과학교육과 협력교수에 대해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교육의 기회가 요청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