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매스미디어의 기능과 생산과정
2. 대중문화에 수동적인 대중
3. 긍정적 대중문화 사용을 위하여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매스미디어의 기능과 생산과정
2. 대중문화에 수동적인 대중
3. 긍정적 대중문화 사용을 위하여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대중의 안목과 의식이 성숙하지 못하다면, 과거 역사의 비극이 반복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할 수가 없다. 현대인은 매스미디어 효과가 지대하다는 주장을 의심할 수 없는 사실로 받아들인다. 매스미디어 영향이 지대하다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이러한 인식 자체가 하나의 효과가 되어 버렸다. 하지만 그 사회적 파장을 생각해 보면, ‘효과에 대한 인식’의 문제도 ‘효과’ 자체에 대한 문제만큼이나 심각하다. 심지어 많은 사람들은 자신은 대중 매체에서 보거나 들은 것을 그대로 믿지 않는다고 변명하지만 남들은 그럴 것이라고 쉽게 판단해 버리고 만다. 대중에 대한 직접적인 대중 매체의 효과는 가정이 아니라 사실이 되었고, 가설이 아니라 상식이 되었다.
이렇듯 매스미디어는 우리 개개인이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사고의 틈을 비집고 들어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에 수동적으로 끌려가지 않으려면 대중 스스로가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에 수동적인 소비자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매스미디어의 효과에 대한 의문을 품을 줄 알아야 한다. 즉, 매스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의식과 시각, 스스로 대중문화를 생산하는 능동적 주체가 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보를 수용할 때에는 정보를 비판하여 걸러낸 뒤 수용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가 필요하며, 필요한 정보만을 찾아 정확하게 사용하는 안목을 키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
비판적이고 깨어있는 시민이 있다면 대중매체 역시 그 기능과 역할을 함부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아무리 대중매체의 영향력과 파급력이 크고 강력하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시민의식 하에서는 부정적으로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대중매체의 방향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는 성숙한 시민의식과 비판적 사고, 대중의 자정능력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Ⅳ. 참고자료
김성태, 이영환 (2006).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의제 설정 모델의 적용 : 의제 파급과 역의제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다이애너 머츠 (2000). <<미디어 정치 효과: 비개인적 영향력>>. 양승찬 옮김. 한나래.
이준웅 (2000).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언론과 사회, 29, 85~153.
이준웅 (2008). 인터넷 현실구성과 규제담론의 재설정. 건전한 인터넷 문화정착 세미나.
차배근 (1996).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 제2판 . 나남.
세버린, 탱커드 (2000). 현대 매스 커뮤니케이션 개론. 김흥규
이렇듯 매스미디어는 우리 개개인이 알지도 못하는 사이에 사고의 틈을 비집고 들어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에 수동적으로 끌려가지 않으려면 대중 스스로가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에 수동적인 소비자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매스미디어의 효과에 대한 의문을 품을 줄 알아야 한다. 즉, 매스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의식과 시각, 스스로 대중문화를 생산하는 능동적 주체가 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보를 수용할 때에는 정보를 비판하여 걸러낸 뒤 수용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가 필요하며, 필요한 정보만을 찾아 정확하게 사용하는 안목을 키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
비판적이고 깨어있는 시민이 있다면 대중매체 역시 그 기능과 역할을 함부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아무리 대중매체의 영향력과 파급력이 크고 강력하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시민의식 하에서는 부정적으로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대중매체의 방향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는 성숙한 시민의식과 비판적 사고, 대중의 자정능력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Ⅳ. 참고자료
김성태, 이영환 (2006).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의제 설정 모델의 적용 : 의제 파급과 역의제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다이애너 머츠 (2000). <<미디어 정치 효과: 비개인적 영향력>>. 양승찬 옮김. 한나래.
이준웅 (2000).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언론과 사회, 29, 85~153.
이준웅 (2008). 인터넷 현실구성과 규제담론의 재설정. 건전한 인터넷 문화정착 세미나.
차배근 (1996).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 제2판 . 나남.
세버린, 탱커드 (2000). 현대 매스 커뮤니케이션 개론. 김흥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