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고 싶은 욕구가 줄어들게 됩니다.
③ 건강한 사람과 폐암환자와의 상태 비교 (지각된 심각성)
건강한 사람폐와 폐암환자의 폐를 사진으로 보여줌으로써 한상호씨와 직원들도 지금처럼 흡연을 하시면 폐암걸릴 확률이 높아짐을 경고하여 흡연의 심각성을 인지하게 해줌
<2년간 3개비씩 흡연한 20대환자 폐 <하루 3개비씩 흡연하던 30대 초반의 폐>
(하얗게 보이는 부분은 녹은부분임)>
<40년 가까이 흡연후 폐암으로 사망한 환자의 폐> <50년 가까이 흡연해오다가 사망한 환자의 폐>
④ 비디오상영 : 흡연의 위험성 (지각된 민감성)
흡연을 하면 걸릴 수 있는 질병들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보여줌으로써 한상호씨와 직원들이 심각성을 느끼도록 함
<제 2 일>
① 간접흡연으로 인한 가족들 피해 사례 및 동영상 상영 (지각된 심각성)
가족들 뿐 만 아니라 한상호씨와 직원들이 밖에서 피는 담배로 인해 다른 사람들이 피해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피해 사례와 동영상을 통해 인지 시켜줌
간접흡연, 기억력 감퇴시킨다.
비흡연자인 경우라도 흡연 환경에 꾸준히 노출되면 기억력이 감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3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노썸브리아대학의 연구팀은 처음으로 간접흡연과 기억력간 상관관계를 연구하며 이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두 집단의 실험군은 각각 흡연 환경에 노출되거나 그렇지 않은 상태에 투입됐다. 흡연에 노출된 그룹은 매주 평균 25시간가량 흡연자와 함께 생활하거나 흡연구역에 놓여졌다. 그 결과 흡연에 노출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기억력이 20% 이상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직접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들은 흡연에 노출되지 않은 비흡연자보다 기억력이 30% 이상 감퇴해 직접 흡연이 더 치명적인 것임을 증명했다.
연구를 진행한 톰 헤퍼넌 박사는 \"이번 실험이 간접흡연과 건강간 상관관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도록 더 많은 연구를 촉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잡지 \'애딕션\'의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출처 : fnnews 온라인뉴스팀
당신의 담배 연기, 아내 뼈까지 상하게 한다
골다공증 가능성 높이는 간접흡연
이기헌 분당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해, 담배를 피우지 않았고 골다공증 약을 먹지 않은 55살 이상 여성 925명을 대상으로 간접흡연과 골다공증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흡연하고 있는 가족을 둔 143명의 경우 그렇지 않는 782명에 견줘 엉덩이 관절의 골다공증 비율이 3.7배 높았다. 특히 하루 한 갑 이상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를 가족으로 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척추 및 엉덩이 관절 골다공증 위험은 각각 5.4배, 4.4배 높아졌다.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는 여성이라도 가족 중에 흡연자가 있어 간접흡연을 하는 경우 골다공증에 걸릴 수 있음이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 교수는 “최근 흡연율이 줄고 있지만 간접흡연 노출률은 남성은 2005년 38.7%에서 2009년 44.9%로 높아졌고 여성은 같은 기간 34~35%로 간접흡연 노출률이 낮아지지 않고 있다”며 “흡연자는 더 늦기 전에 금연 치료를 받아 본인은 물론 가족의 건강까지도 지키길 권한다”고 말했다.
출처 :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6CSOMHHawNo&feature=related (폐기종)
http://blog.daum.net/bommira/15867858 (질환,확률)
② 금연으로 인한 이득을 적어보고 그것에 대해 짧게 강의 (지각된 유익성)
직접 금연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적어보도록 하고 금전적인 이득과 신체적 이득을 사진으로 보여줌
③ 금연 사례 기사 및 동영상 감상 (행위의 계기)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사례를 기사로 보여줌
금연 후 5년, 뇌출혈 위험 정상 수준 회복돼
금연 후 5년이 지나면 치명적 뇌출혈인 \'지주막하 출혈\'이 비흡연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병우, 이승훈 교수(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연구팀은 전국 33개병원 426명의 지주막하 출혈 환자와 426명의 정상인을 비교 분석한 결과, 흡연이 지주막하 출혈과 관련 있으며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금연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21일 밝혔다.
지주막하 출혈은 치명적인 뇌출혈의 일종으로 치명률이 50%에 달한다. 머리속 혈관에 생긴 꽈리가 터져 발생하는 질환으로, 고혈압과 더불어 흡연이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금연이 지주막하 출혈의 위험도를 얼마나 줄이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했다.
이번 연구결과 흡연을 하고 있는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해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할 위험이 2.8배 높았다.
하지만 금연을 5년 이상 한 사람은 발생률이 비흡연자에 비해 1.1배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이전에 담배를 한 갑 이상 흡연한 사람은 금연을 하더라도 비흡연자에 비해 발생 위험도가 2배 정도 높기 때문에 지속적 금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병우, 이승훈 연구팀은 “금연이 높은 치명률을 가지는 지주막하 출혈의 발생 위험성을 낮추므로 금연을 장려하기 위한 정부와 보건인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에 개재될 예정으로 지난달 30일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출처 :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제 3 일>
① 니코틴패치 사용법 교육 (지각된 장애)
니코틴 패치란?
- 니코틴 패치는 단번에 금연할 경우 올 수 있는 여러가지 금단증상을 줄이기 위해 니코틴 함량을 조금씩 줄여가며 금연을 시도하도록 도와주는 보조제
- 파스 형태로 되어 있고, 피부를 통해 니코틴을 공급해줌
사용법
1단계 패치(니코틴52.5mg함유)→2단계(니코틴30mg)→3단계(니코틴17.5mg)
- 보통 한갑~그 이상 피울 때 1단계, 10~15개피 정도는 2단계, 10개피는 3단계부터 시작
- 자신의 흡연량에 맞는 패치부터 시작하여 점점 단계를 낮춰감
-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붙이고 다음날 아침에 다른 것으로 갈아 붙임
- 심장을 제외한 털이 없는 부위는 어디든
③ 건강한 사람과 폐암환자와의 상태 비교 (지각된 심각성)
건강한 사람폐와 폐암환자의 폐를 사진으로 보여줌으로써 한상호씨와 직원들도 지금처럼 흡연을 하시면 폐암걸릴 확률이 높아짐을 경고하여 흡연의 심각성을 인지하게 해줌
<2년간 3개비씩 흡연한 20대환자 폐 <하루 3개비씩 흡연하던 30대 초반의 폐>
(하얗게 보이는 부분은 녹은부분임)>
<40년 가까이 흡연후 폐암으로 사망한 환자의 폐> <50년 가까이 흡연해오다가 사망한 환자의 폐>
④ 비디오상영 : 흡연의 위험성 (지각된 민감성)
흡연을 하면 걸릴 수 있는 질병들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보여줌으로써 한상호씨와 직원들이 심각성을 느끼도록 함
<제 2 일>
① 간접흡연으로 인한 가족들 피해 사례 및 동영상 상영 (지각된 심각성)
가족들 뿐 만 아니라 한상호씨와 직원들이 밖에서 피는 담배로 인해 다른 사람들이 피해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피해 사례와 동영상을 통해 인지 시켜줌
간접흡연, 기억력 감퇴시킨다.
비흡연자인 경우라도 흡연 환경에 꾸준히 노출되면 기억력이 감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3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노썸브리아대학의 연구팀은 처음으로 간접흡연과 기억력간 상관관계를 연구하며 이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두 집단의 실험군은 각각 흡연 환경에 노출되거나 그렇지 않은 상태에 투입됐다. 흡연에 노출된 그룹은 매주 평균 25시간가량 흡연자와 함께 생활하거나 흡연구역에 놓여졌다. 그 결과 흡연에 노출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기억력이 20% 이상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직접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들은 흡연에 노출되지 않은 비흡연자보다 기억력이 30% 이상 감퇴해 직접 흡연이 더 치명적인 것임을 증명했다.
연구를 진행한 톰 헤퍼넌 박사는 \"이번 실험이 간접흡연과 건강간 상관관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도록 더 많은 연구를 촉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잡지 \'애딕션\'의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출처 : fnnews 온라인뉴스팀
당신의 담배 연기, 아내 뼈까지 상하게 한다
골다공증 가능성 높이는 간접흡연
이기헌 분당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2008~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해, 담배를 피우지 않았고 골다공증 약을 먹지 않은 55살 이상 여성 925명을 대상으로 간접흡연과 골다공증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흡연하고 있는 가족을 둔 143명의 경우 그렇지 않는 782명에 견줘 엉덩이 관절의 골다공증 비율이 3.7배 높았다. 특히 하루 한 갑 이상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를 가족으로 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척추 및 엉덩이 관절 골다공증 위험은 각각 5.4배, 4.4배 높아졌다. 담배를 전혀 피우지 않는 여성이라도 가족 중에 흡연자가 있어 간접흡연을 하는 경우 골다공증에 걸릴 수 있음이 처음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 교수는 “최근 흡연율이 줄고 있지만 간접흡연 노출률은 남성은 2005년 38.7%에서 2009년 44.9%로 높아졌고 여성은 같은 기간 34~35%로 간접흡연 노출률이 낮아지지 않고 있다”며 “흡연자는 더 늦기 전에 금연 치료를 받아 본인은 물론 가족의 건강까지도 지키길 권한다”고 말했다.
출처 :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6CSOMHHawNo&feature=related (폐기종)
http://blog.daum.net/bommira/15867858 (질환,확률)
② 금연으로 인한 이득을 적어보고 그것에 대해 짧게 강의 (지각된 유익성)
직접 금연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적어보도록 하고 금전적인 이득과 신체적 이득을 사진으로 보여줌
③ 금연 사례 기사 및 동영상 감상 (행위의 계기)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사례를 기사로 보여줌
금연 후 5년, 뇌출혈 위험 정상 수준 회복돼
금연 후 5년이 지나면 치명적 뇌출혈인 \'지주막하 출혈\'이 비흡연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병우, 이승훈 교수(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연구팀은 전국 33개병원 426명의 지주막하 출혈 환자와 426명의 정상인을 비교 분석한 결과, 흡연이 지주막하 출혈과 관련 있으며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금연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21일 밝혔다.
지주막하 출혈은 치명적인 뇌출혈의 일종으로 치명률이 50%에 달한다. 머리속 혈관에 생긴 꽈리가 터져 발생하는 질환으로, 고혈압과 더불어 흡연이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금연이 지주막하 출혈의 위험도를 얼마나 줄이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했다.
이번 연구결과 흡연을 하고 있는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해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할 위험이 2.8배 높았다.
하지만 금연을 5년 이상 한 사람은 발생률이 비흡연자에 비해 1.1배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이전에 담배를 한 갑 이상 흡연한 사람은 금연을 하더라도 비흡연자에 비해 발생 위험도가 2배 정도 높기 때문에 지속적 금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병우, 이승훈 연구팀은 “금연이 높은 치명률을 가지는 지주막하 출혈의 발생 위험성을 낮추므로 금연을 장려하기 위한 정부와 보건인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에 개재될 예정으로 지난달 30일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출처 :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제 3 일>
① 니코틴패치 사용법 교육 (지각된 장애)
니코틴 패치란?
- 니코틴 패치는 단번에 금연할 경우 올 수 있는 여러가지 금단증상을 줄이기 위해 니코틴 함량을 조금씩 줄여가며 금연을 시도하도록 도와주는 보조제
- 파스 형태로 되어 있고, 피부를 통해 니코틴을 공급해줌
사용법
1단계 패치(니코틴52.5mg함유)→2단계(니코틴30mg)→3단계(니코틴17.5mg)
- 보통 한갑~그 이상 피울 때 1단계, 10~15개피 정도는 2단계, 10개피는 3단계부터 시작
- 자신의 흡연량에 맞는 패치부터 시작하여 점점 단계를 낮춰감
-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붙이고 다음날 아침에 다른 것으로 갈아 붙임
- 심장을 제외한 털이 없는 부위는 어디든
추천자료
사업계획서-사상의학을 이용한 외식사업의 문화마케팅 전략 연구 및 실천 매뉴얼
거주지에 있는 보건소 1개를 선정해서, 건강증진사업의 내용과 사업 활동의 현황에 대해 파악...
[도시재개발사업][재개발사업][재개발]도시재개발사업의 개념, 필요성과 도시재개발사업의 과...
정신보건센터의 역할,개념,사업내용,운영내용,현황
지역사회복지관의 필요성,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 지역사회복지관 가정폭력개입, 지역사회복...
옥상농원 설치 사업 특성화 전략.PPT자료
[국가연구개발사업]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적재산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국가연구개발...
후원(후원활동, 후원사업) 개요, 후원(후원활동, 후원사업) 의미와 종류, 후원(후원활동, 후...
[사업][행정정보화사업]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 국가기간전산망사업 평가, 경의선교통망연결...
[사업 평가][원자력연구개발사업 평가][테크노파크조성사업 평가]산업안전국사업 평가, 산업...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란? {대사증후군 사업, 강동구보건소의 대사증후군 사업}
정신 보건 사업 [정의, 연혁, 현황, 문제점, 발전방향]
[간호학]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