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MCV
MCH
MCHC Platelet count
RDW PDW-GENS
PCT
MPV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Eosinophil
Basophil
Neut count
Lymph count
Mono count
Eos count
Baso count
ESR Reticulocyte
Reticulocyte count
CHr
IRF
4.0~10.0
4.3~5.3
13~17
39~51
83~99.5
27-34
32-36
150-450
11.5~14.5
11-18
0.1~0.36%
6~10.9
40~74%
19~48%
3.4~10%
0~7%
0~4%
1.8~8
0.9~5.2
0.16~1.0
0~0.8
0~0.2
2~16
0.5~2.0
30.8~35.5
3~25
2.3
1.76 5.6 17.2
10.2
1.19
0.84
98
26.09
2.8
3.19
10.0
30.6
16.9
34.8
50.6
0.96
1.4
3.35
10.4
31.1
16.4
30.8
12.4
0.44
0.68
3.39
10.3
31.7
16.8
74.7
16.1
0.79
61
wbc 감소 : 면역력 감소
RBC 감소 : 빈혈
HB 감소 : 빈혈
헤마토크릿 감소 : 빈혈
RDW 증가: RBC크기 다양성 증가
호중구 감소 :면역력 약화
증가 염증
ERS 증가: 염증
* 종합의의 : 환자에게 염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2) Urinalysis
항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5월 26일
Color
Specific
pH
Protein
Glucose
Ketone body Bilirubin. Blood Urobilinogen
Nitrite
Yellow
1.005~1.030
4.5~8.0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Yellow
1.001
6.5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X
3) Blood Chemistry (※ Hematology 와 같은 형식)
항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5월 26일
5월 27일
5월 28일
5월30일.
AST
ALT
LD
ALP
CK
GGT
Protein, total
Albumin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Bilirubin, total Bilirubin, direct
BUN
Creatinine
Na
K
Cl
CO₂
5~40
5~40
135~250
40~129
39~308
8~69
6.0~8.3
3.2~5.2
120~220
40~194
70~99
0.2~1.4
0.0~0.5
5~23
0.50~1.20
135~145
3.5~5.5
96~111
24~31
18
10
244
73
342
36
6.4
3.7
166
42
110
0.3
0.1
14.9
0.95
141
4.4
111
17
260
5.6
PROTEIN 감소 :영양부족
4) Blood Gas Analysis (※ Hematology 와 같은 형식)
항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5월 26일
pH
Cl
7.35~7.45
96~111
7.472
108
PH 상승
대사성 산증
2. 진단검사 (※ 방사선검사, 핵의학 검사, 심전도 검사, 내시경 검사 등 진단적 검사는 모두 포함)
검사항목
검사일
검사소견
CT-3D (Urography+CE)
PACS
2015.05.31
결과X
CT-3D (Chest + CE)
2015.05.26
결과X
K.U.B
PACS
2015.05.31
결과X
Chest PA
PACS
2015.05.30
결과X
Chest PA
PACS
2015.05.27
결과X
Chest PA
PACS
2015.05.26
결과X
F. 특수치료 및 처치 (각종 tube 포함)
예) 각종 물리치료, tube 등이 포함
날짜
종류
목적
간호내용(관리)
평가
2015.05.27
O2 therapy
환자가 혼자서도 어려움 없이 호흡할 수 있다.
비강 캐뉼라로 O2 2L씩 계속 투여 하였다.
SPO2가 93%에서
95%가 되었다.
H. 간호과정
1)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간호진단 목록
발생일
해결일
1
2
3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염증과 관련된 배뇨곤란
재발과 관련된 불안
2015.05.26
~
2) 간호과정 적용(3개 이상)
1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자료
목적 및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수행 및 결과
평가
<주관적 자료>
“숨쉬기가 힘들어요.”
<객관적 자료>
PH 7.472로 대사성 산증
XYZAL TAB.
PO로 복용
호중구
감소 :면역력 약화
증가 :염증
ERS 증가: 염증
호흡음 : RALE
5/30 V/S
120 80 88 28 37.0
<목적>
1달 이내에 환자가 호흡하는데 어려움이 적어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기대되는 결과>
3일안에 환자가 Incentive
spirometry와
체위 배액을
혼자서도
할 수 있다.
1.비강 캐뉼라를 통해 o2 2L를 주입해서 호흡을 원활하게 할수 있게 한다.
(이론적 근거:O2를 주입하면 폐포내에 산소분압을 증가시켜 저혈량증이 개선된다)
2.처방된 약을 투약한다.
(XYZAL은 비염에 효과적이므로 환자의 호흡을 돕는다)
3.호흡하기 힘들어 하실때를 대비해 Incentive spirometry를 하도록 교육한다.
4.체위배액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1.비강캐뉼라를 통해 2L씩 산소공급을 하여 SPO2가 93% 95%로 올랐다.
2.처방된 약을 투여했다.XYZAL TAB PO로 투약.
3. 환자가 혼자서도 Incentive spirometry를 할 수 있다.
(강화폐활량계는 환자의 폐활량을 늘려준다.)
4.환자가 혼자서도 체위배액을
할 수있다.
(객담이 이 체위를 취하는 경우 기관으로 배출되기 쉽다)
환자가 O2주입중이지만 호흡수 20, SP02 95%로 호흡하는데 어려움이 적어졌다. -목적 진행중
환자가 이제 혼자서도 체위배액과 Incentive
spirometry를 할 수 있게
MCH
MCHC Platelet count
RDW PDW-GENS
PCT
MPV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Eosinophil
Basophil
Neut count
Lymph count
Mono count
Eos count
Baso count
ESR Reticulocyte
Reticulocyte count
CHr
IRF
4.0~10.0
4.3~5.3
13~17
39~51
83~99.5
27-34
32-36
150-450
11.5~14.5
11-18
0.1~0.36%
6~10.9
40~74%
19~48%
3.4~10%
0~7%
0~4%
1.8~8
0.9~5.2
0.16~1.0
0~0.8
0~0.2
2~16
0.5~2.0
30.8~35.5
3~25
2.3
1.76 5.6 17.2
10.2
1.19
0.84
98
26.09
2.8
3.19
10.0
30.6
16.9
34.8
50.6
0.96
1.4
3.35
10.4
31.1
16.4
30.8
12.4
0.44
0.68
3.39
10.3
31.7
16.8
74.7
16.1
0.79
61
wbc 감소 : 면역력 감소
RBC 감소 : 빈혈
HB 감소 : 빈혈
헤마토크릿 감소 : 빈혈
RDW 증가: RBC크기 다양성 증가
호중구 감소 :면역력 약화
증가 염증
ERS 증가: 염증
* 종합의의 : 환자에게 염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2) Urinalysis
항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5월 26일
Color
Specific
pH
Protein
Glucose
Ketone body Bilirubin. Blood Urobilinogen
Nitrite
Yellow
1.005~1.030
4.5~8.0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Yellow
1.001
6.5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Negative
X
3) Blood Chemistry (※ Hematology 와 같은 형식)
항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5월 26일
5월 27일
5월 28일
5월30일.
AST
ALT
LD
ALP
CK
GGT
Protein, total
Albumin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Bilirubin, total Bilirubin, direct
BUN
Creatinine
Na
K
Cl
CO₂
5~40
5~40
135~250
40~129
39~308
8~69
6.0~8.3
3.2~5.2
120~220
40~194
70~99
0.2~1.4
0.0~0.5
5~23
0.50~1.20
135~145
3.5~5.5
96~111
24~31
18
10
244
73
342
36
6.4
3.7
166
42
110
0.3
0.1
14.9
0.95
141
4.4
111
17
260
5.6
PROTEIN 감소 :영양부족
4) Blood Gas Analysis (※ Hematology 와 같은 형식)
항목
정상범주
결 과
임상적 의의
5월 26일
pH
Cl
7.35~7.45
96~111
7.472
108
PH 상승
대사성 산증
2. 진단검사 (※ 방사선검사, 핵의학 검사, 심전도 검사, 내시경 검사 등 진단적 검사는 모두 포함)
검사항목
검사일
검사소견
CT-3D (Urography+CE)
PACS
2015.05.31
결과X
CT-3D (Chest + CE)
2015.05.26
결과X
K.U.B
PACS
2015.05.31
결과X
Chest PA
PACS
2015.05.30
결과X
Chest PA
PACS
2015.05.27
결과X
Chest PA
PACS
2015.05.26
결과X
F. 특수치료 및 처치 (각종 tube 포함)
예) 각종 물리치료, tube 등이 포함
날짜
종류
목적
간호내용(관리)
평가
2015.05.27
O2 therapy
환자가 혼자서도 어려움 없이 호흡할 수 있다.
비강 캐뉼라로 O2 2L씩 계속 투여 하였다.
SPO2가 93%에서
95%가 되었다.
H. 간호과정
1)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간호진단 목록
발생일
해결일
1
2
3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염증과 관련된 배뇨곤란
재발과 관련된 불안
2015.05.26
~
2) 간호과정 적용(3개 이상)
1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자료
목적 및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수행 및 결과
평가
<주관적 자료>
“숨쉬기가 힘들어요.”
<객관적 자료>
PH 7.472로 대사성 산증
XYZAL TAB.
PO로 복용
호중구
감소 :면역력 약화
증가 :염증
ERS 증가: 염증
호흡음 : RALE
5/30 V/S
120 80 88 28 37.0
<목적>
1달 이내에 환자가 호흡하는데 어려움이 적어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기대되는 결과>
3일안에 환자가 Incentive
spirometry와
체위 배액을
혼자서도
할 수 있다.
1.비강 캐뉼라를 통해 o2 2L를 주입해서 호흡을 원활하게 할수 있게 한다.
(이론적 근거:O2를 주입하면 폐포내에 산소분압을 증가시켜 저혈량증이 개선된다)
2.처방된 약을 투약한다.
(XYZAL은 비염에 효과적이므로 환자의 호흡을 돕는다)
3.호흡하기 힘들어 하실때를 대비해 Incentive spirometry를 하도록 교육한다.
4.체위배액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1.비강캐뉼라를 통해 2L씩 산소공급을 하여 SPO2가 93% 95%로 올랐다.
2.처방된 약을 투여했다.XYZAL TAB PO로 투약.
3. 환자가 혼자서도 Incentive spirometry를 할 수 있다.
(강화폐활량계는 환자의 폐활량을 늘려준다.)
4.환자가 혼자서도 체위배액을
할 수있다.
(객담이 이 체위를 취하는 경우 기관으로 배출되기 쉽다)
환자가 O2주입중이지만 호흡수 20, SP02 95%로 호흡하는데 어려움이 적어졌다. -목적 진행중
환자가 이제 혼자서도 체위배액과 Incentive
spirometry를 할 수 있게
키워드
추천자료
담석증case study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A+_Diffuse large cell type lymphoma(non-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병 케이스 스터디, no...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