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간호
7. 합병증 및 예방
Ⅲ.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및 자료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간호
7. 합병증 및 예방
Ⅲ.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활동시) 수면무호흡
기침 객담 콧물 객혈 기관 내 삽관 기관절개
■산소요법 [3] L/min 경로: nasal prong 기타
순환기계
통증
■무 유
특이사항 없음
가슴 답답함 활동 시 피로 심계항진
서맥 빈맥 부정맥 심잡음 기타
소화기계
통증
■무 유
복부
부드러움 단단함 팽만
특이사항 없음
오심 구토 상복부 불편감 속쓰림 산역류
토혈 연하곤란 연하시 통증
경관[ ] 위관루 ■ 기타 ( 소화장애 )
배변양상
■특이사항 없음
변비 설사 변실금 혈변 검은색 회색
인공장루 기타
비뇨생식
기계
통증
■무 유
■특이사항 없음
배뇨곤란 빈뇨 다뇨 핍뇨 야뇨 요실금
혈뇨 검은색 인공배뇨 [ ] 기타
일반상태
외양
■특이사항 없음 개인위생불량
감정상태
안정 ■걱정 불안 우울 분노 슬픔 무관심 흥분 기타
피부
욕창
■무 유
Braden scale: 17점
피부상태
■특이사항 없음
창백 홍조 청색증 황달 건조 소양감
발한 발진 수포 흉터 부종
drain IV/IA line 기타
장애 및 기타
■무 유
낙상위험
■무 유 기타
Morse Fall scale: 30점
2. 진단검사
04.07
04.08
04.09
04.10
04.11
04.12
04.13
00:00
120/70
37.0 55 16
120/60
37.7 71 20
120/70
36.7 65 20
120/80
36.6 70 17
120/60
36.7 85 17
120/70
36.8 86 22
110/60
36.7 70 18
06:00
100/70
37.1 70 17
110/60
37.8 66 18
110/60
36.5 70 20
130/80
36.7 80 20
100/50
36.6 55 14
120/80
36.7 88 21
130/70
36.9 88 20
12:00
120/60
37.7 60 20
120/70
36.5 84 18
100/60
36.8 55 16
120/70
36.5 65 19
110/70
36.6 60 17
110/60
36.7 68 18
120/80
36.9 78 17
18:00
120/60
37.8 56 19
100/50
36.8 55 20
130/80
36.5 60 18
110/70
36.6 54 15
130/80
36.5 86 21
130/80
36.8 84 19
120/70
36.8 80 17
1) 활력징후 (BP, BT, P, RR 순)
2) 혈액검사
검사항목
04.05
04.06
04.07
(수혈 전)
04.07
(수혈 후)
04.08
04.09
04.10
정상치
WBC
7.29
14,1
11.94
12.02
12.51
9.5
6.42
5-10 k/uL
RBC
5.07
3.8
3.12
3.5
3.11
3
3.38
4.2-6.1 Iu/uL
Hb
14.8
11.7
9.4
11
9.4
9
10.2
12-18 /dL
Hct
43.5
32.7
27.2
30
27.4
26
29.3
33-49 %
platelet
190
188
153
160
163
174
199
140-350 k/uL
Na
138
138
140
-
-
-
-
K
3.9
4
3.9
-
-
-
Osmo
290
470
380
-
270
-
-
280 ~ 300
BUN
14
12
-
-
-
-
-
CRE
0.9
0.74
-
-
-
-
-
<10
ALB
4
3.25
3.5
-
3.6
-
-
3.5~5
CBC with Diff
검사항목
04.07
정상치
ABO typing
A+
RH typing
positive
positive
혈액은행
3) 영상의학
검사명
검사일
검사결과
Cerebral embolization
(aneurysm) others
04.05
pick up
4 Vessel angiography
pick up
Chest P-A
Supine AP vasculature
R/O Consolidation at lower lung field
Advice clinical correlation and follow up study
Brain CT Noncontrast
04.06
Clipping of aneurysm
Pneumocephalus at RT frontal subdural space
Otherwise unremarkable
Skull 4 view
No gross bony abnormality
Skull A-P
S/P craniotomy
Rec) clinical and CT/MRI correlation if clinically necessary
약물 명
용량 및 용법
효능 및 효과
부작용
Naloxone Inj 2mg/2ml
-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5%포도당주사액에 희석할 수 있음,
- 혼합희석액은 24시간 이내에 사용하며, 24시간 이후에는 남은 액은 버려야 함.
- 4 AMP INJ 됨
뇌졸중, 뇌출혈로 인한 허혈성 뇌신경장애
마약 등에 의한 호흡억제의 갑작스런 역전은 구역, 구토, 발한, 빈맥, 흉부고민감, 혈압증가, 진전, 발작, 심정지 등
Hartmann soln 1L inj
- 보통 성인 1회 500~
1,000mL를 점적 정맥주사
- 투여속도는 시간300~
500mL(분당 75~120방울)
- 1 BAG INJ 됨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ㆍ보정
대량ㆍ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cerebrolysin inj 10ml
- 두개골의 외상(뇌진탕, 뇌좌상, 수술 후 외상)
: 10 ~ 50mL
- 5 AMP INJ 됨
알츠하이머형 노인성치매, 뇌졸중 후 뇌기능장애, 두개골의 외상( 뇌진탕, 뇌좌상, 수술 후 외상)
알레르기 반응, 피부발적, 가려움증, 작열감, 과다호흡, 과다호흡긴장증, 근육긴장저하, 피로, 떨림, 우울증 등
Freamine 10% 500ml
- 일반적으로 1회 200 ~
400ml를 점적정주
- 1 BAG INJ 됨
- 아미노산 보급
: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 전후
발진, 구토, 구역,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백, 혈압상승, 오한, 발열, 두통 등
volulyte inj 6% 500ml
- 점적 정맥주사하며, 촉 10~20ml는 환자를 세심히 관찰하면서 천천히 투여
- 1 BAG INJ 됨
- 혈액량 감소의 치료 및 예방
- 신속한 동량 혈액희석요법
아나필락스
기침 객담 콧물 객혈 기관 내 삽관 기관절개
■산소요법 [3] L/min 경로: nasal prong 기타
순환기계
통증
■무 유
특이사항 없음
가슴 답답함 활동 시 피로 심계항진
서맥 빈맥 부정맥 심잡음 기타
소화기계
통증
■무 유
복부
부드러움 단단함 팽만
특이사항 없음
오심 구토 상복부 불편감 속쓰림 산역류
토혈 연하곤란 연하시 통증
경관[ ] 위관루 ■ 기타 ( 소화장애 )
배변양상
■특이사항 없음
변비 설사 변실금 혈변 검은색 회색
인공장루 기타
비뇨생식
기계
통증
■무 유
■특이사항 없음
배뇨곤란 빈뇨 다뇨 핍뇨 야뇨 요실금
혈뇨 검은색 인공배뇨 [ ] 기타
일반상태
외양
■특이사항 없음 개인위생불량
감정상태
안정 ■걱정 불안 우울 분노 슬픔 무관심 흥분 기타
피부
욕창
■무 유
Braden scale: 17점
피부상태
■특이사항 없음
창백 홍조 청색증 황달 건조 소양감
발한 발진 수포 흉터 부종
drain IV/IA line 기타
장애 및 기타
■무 유
낙상위험
■무 유 기타
Morse Fall scale: 30점
2. 진단검사
04.07
04.08
04.09
04.10
04.11
04.12
04.13
00:00
120/70
37.0 55 16
120/60
37.7 71 20
120/70
36.7 65 20
120/80
36.6 70 17
120/60
36.7 85 17
120/70
36.8 86 22
110/60
36.7 70 18
06:00
100/70
37.1 70 17
110/60
37.8 66 18
110/60
36.5 70 20
130/80
36.7 80 20
100/50
36.6 55 14
120/80
36.7 88 21
130/70
36.9 88 20
12:00
120/60
37.7 60 20
120/70
36.5 84 18
100/60
36.8 55 16
120/70
36.5 65 19
110/70
36.6 60 17
110/60
36.7 68 18
120/80
36.9 78 17
18:00
120/60
37.8 56 19
100/50
36.8 55 20
130/80
36.5 60 18
110/70
36.6 54 15
130/80
36.5 86 21
130/80
36.8 84 19
120/70
36.8 80 17
1) 활력징후 (BP, BT, P, RR 순)
2) 혈액검사
검사항목
04.05
04.06
04.07
(수혈 전)
04.07
(수혈 후)
04.08
04.09
04.10
정상치
WBC
7.29
14,1
11.94
12.02
12.51
9.5
6.42
5-10 k/uL
RBC
5.07
3.8
3.12
3.5
3.11
3
3.38
4.2-6.1 Iu/uL
Hb
14.8
11.7
9.4
11
9.4
9
10.2
12-18 /dL
Hct
43.5
32.7
27.2
30
27.4
26
29.3
33-49 %
platelet
190
188
153
160
163
174
199
140-350 k/uL
Na
138
138
140
-
-
-
-
K
3.9
4
3.9
-
-
-
Osmo
290
470
380
-
270
-
-
280 ~ 300
BUN
14
12
-
-
-
-
-
CRE
0.9
0.74
-
-
-
-
-
<10
ALB
4
3.25
3.5
-
3.6
-
-
3.5~5
CBC with Diff
검사항목
04.07
정상치
ABO typing
A+
RH typing
positive
positive
혈액은행
3) 영상의학
검사명
검사일
검사결과
Cerebral embolization
(aneurysm) others
04.05
pick up
4 Vessel angiography
pick up
Chest P-A
Supine AP vasculature
R/O Consolidation at lower lung field
Advice clinical correlation and follow up study
Brain CT Noncontrast
04.06
Clipping of aneurysm
Pneumocephalus at RT frontal subdural space
Otherwise unremarkable
Skull 4 view
No gross bony abnormality
Skull A-P
S/P craniotomy
Rec) clinical and CT/MRI correlation if clinically necessary
약물 명
용량 및 용법
효능 및 효과
부작용
Naloxone Inj 2mg/2ml
-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5%포도당주사액에 희석할 수 있음,
- 혼합희석액은 24시간 이내에 사용하며, 24시간 이후에는 남은 액은 버려야 함.
- 4 AMP INJ 됨
뇌졸중, 뇌출혈로 인한 허혈성 뇌신경장애
마약 등에 의한 호흡억제의 갑작스런 역전은 구역, 구토, 발한, 빈맥, 흉부고민감, 혈압증가, 진전, 발작, 심정지 등
Hartmann soln 1L inj
- 보통 성인 1회 500~
1,000mL를 점적 정맥주사
- 투여속도는 시간300~
500mL(분당 75~120방울)
- 1 BAG INJ 됨
순환혈액량 및 조직간액의 감소시 세포외액의 보급ㆍ보정
대량ㆍ급속투여에 의해 뇌부종, 폐부종, 말초부종
cerebrolysin inj 10ml
- 두개골의 외상(뇌진탕, 뇌좌상, 수술 후 외상)
: 10 ~ 50mL
- 5 AMP INJ 됨
알츠하이머형 노인성치매, 뇌졸중 후 뇌기능장애, 두개골의 외상( 뇌진탕, 뇌좌상, 수술 후 외상)
알레르기 반응, 피부발적, 가려움증, 작열감, 과다호흡, 과다호흡긴장증, 근육긴장저하, 피로, 떨림, 우울증 등
Freamine 10% 500ml
- 일반적으로 1회 200 ~
400ml를 점적정주
- 1 BAG INJ 됨
- 아미노산 보급
: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 전후
발진, 구토, 구역,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백, 혈압상승, 오한, 발열, 두통 등
volulyte inj 6% 500ml
- 점적 정맥주사하며, 촉 10~20ml는 환자를 세심히 관찰하면서 천천히 투여
- 1 BAG INJ 됨
- 혈액량 감소의 치료 및 예방
- 신속한 동량 혈액희석요법
아나필락스
추천자료
SAH케이스
<케이스> 뇌출혈과 관련된 사례연구 간호과정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뇌실내출혈 케이스
경막하출혈(SDH ,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컨퍼런스
SAH 문헌고찰입니다^^
중환자실 케이스(ICU case) - 뇌내출혈 ICH(intracranial hemorrhage)
성인간호 IICH (Intra 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 케이스
[발병, 뇌졸중, 심근경색증, 암, 위암, 당뇨병, 출혈성뇌졸중, 허혈성뇌졸중, 뇌허혈발작, 바...
[간호학과] NSICU(신경외과중환자실) acute SDH (급성 경막하 혈종&#12539;출혈/Acute Su...
[성인간호학][Cerebral hemorrhage][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ICH(Intracerebral hemorrhage) ; 뇌내출혈 문헌고찰
[신경계 질환] 신경계 질환의 종류(유형)와 치료방법 - 뇌졸중(뇌출혈,뇌경색), 간질, 치매, ...
간호,case study,성인(병동,신경과), 뇌졸증(stroke), 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동서협진과 CASE] 두개내출혈 후 수두증이 나타난 87세 여환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