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이식의 문제점(장기이식 관련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기이식의 문제점(장기이식 관련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장기이식에 관한 문제점

I. 이식 장기의 부족

II. 비밀거래

III. 공정배분

IV. 수술비용

V. 뇌사 환자로부터 장기적출

VI. 장기이식 정보관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장기 등 이식에 관한 젖툇 제14조에 의하여 뇌사판청의료기관 및 뇌사판정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제15조 뇌사의 판정신청에 의하여 뇌사의 판정(제16조)을 내리고 있고, 뇌사판정대상자 관리전문기관을 지정 운영(제16조 제2항)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동법의 제17조에서는 뇌사자라고 볼 수 있는 사망원인을 규정하고 있으며, 장기 등의 적출요건과 절차(제18조)를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그림. 뇌사판정의 업무 흐름
VI. 장기이식 정보관리
어느 병원에서 갑자기 장기기증을 받았으나, 당해 병원에서는 장기를 이식받을 자가 없어 장기이식 제휴병원에 연락을 하여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전체적으로는 기증되는 장기가 부족한 가운데도 기증된 장기가 이식되지 못하는 사례가 있었고, 실제로 뇌사자의 발생건수에 비해서 장기기증 의사를 확인하고 권유하는 작업이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그다지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심장과 간은 보존이 까다로워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이식수술을 하여야 하므로 기증 장기가 나타나면 즉시 조건이 맞는 대상자와 연결되도록 장기이식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구가 절실히 필요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에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 KONOS)를 설립하여 장기이식 대상자에 대한 공정한 선정과 장기 등의 적출 및 이식의 적정성을 도모하고 국내의 장기이식 전반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도록 하였다.
이들은 아래의 그림과 같은 업무 흐름에 따라서 생체이식과 뇌사자의 장기이식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뇌사자의 장기 발생건수 대비 공여율이 50-60% 정도인 것을 보면, 뇌사자 발생 시에 유족 상담과 신속한 업무처리 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그림. 국립장기이식센터의 업무 흐름
*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5.10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4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