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기이식에 관한 문제점
I. 이식 장기의 부족
II. 비밀거래
III. 공정배분
IV. 수술비용
V. 뇌사 환자로부터 장기적출
VI. 장기이식 정보관리
* 참고문헌
I. 이식 장기의 부족
II. 비밀거래
III. 공정배분
IV. 수술비용
V. 뇌사 환자로부터 장기적출
VI. 장기이식 정보관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장기 등 이식에 관한 젖툇 제14조에 의하여 뇌사판청의료기관 및 뇌사판정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제15조 뇌사의 판정신청에 의하여 뇌사의 판정(제16조)을 내리고 있고, 뇌사판정대상자 관리전문기관을 지정 운영(제16조 제2항)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동법의 제17조에서는 뇌사자라고 볼 수 있는 사망원인을 규정하고 있으며, 장기 등의 적출요건과 절차(제18조)를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그림. 뇌사판정의 업무 흐름
VI. 장기이식 정보관리
어느 병원에서 갑자기 장기기증을 받았으나, 당해 병원에서는 장기를 이식받을 자가 없어 장기이식 제휴병원에 연락을 하여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전체적으로는 기증되는 장기가 부족한 가운데도 기증된 장기가 이식되지 못하는 사례가 있었고, 실제로 뇌사자의 발생건수에 비해서 장기기증 의사를 확인하고 권유하는 작업이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그다지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심장과 간은 보존이 까다로워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이식수술을 하여야 하므로 기증 장기가 나타나면 즉시 조건이 맞는 대상자와 연결되도록 장기이식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구가 절실히 필요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에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 KONOS)를 설립하여 장기이식 대상자에 대한 공정한 선정과 장기 등의 적출 및 이식의 적정성을 도모하고 국내의 장기이식 전반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도록 하였다.
이들은 아래의 그림과 같은 업무 흐름에 따라서 생체이식과 뇌사자의 장기이식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뇌사자의 장기 발생건수 대비 공여율이 50-60% 정도인 것을 보면, 뇌사자 발생 시에 유족 상담과 신속한 업무처리 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그림. 국립장기이식센터의 업무 흐름
*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장기 등 이식에 관한 젖툇 제14조에 의하여 뇌사판청의료기관 및 뇌사판정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제15조 뇌사의 판정신청에 의하여 뇌사의 판정(제16조)을 내리고 있고, 뇌사판정대상자 관리전문기관을 지정 운영(제16조 제2항)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동법의 제17조에서는 뇌사자라고 볼 수 있는 사망원인을 규정하고 있으며, 장기 등의 적출요건과 절차(제18조)를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그림. 뇌사판정의 업무 흐름
VI. 장기이식 정보관리
어느 병원에서 갑자기 장기기증을 받았으나, 당해 병원에서는 장기를 이식받을 자가 없어 장기이식 제휴병원에 연락을 하여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전체적으로는 기증되는 장기가 부족한 가운데도 기증된 장기가 이식되지 못하는 사례가 있었고, 실제로 뇌사자의 발생건수에 비해서 장기기증 의사를 확인하고 권유하는 작업이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그다지 활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심장과 간은 보존이 까다로워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이식수술을 하여야 하므로 기증 장기가 나타나면 즉시 조건이 맞는 대상자와 연결되도록 장기이식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구가 절실히 필요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에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 KONOS)를 설립하여 장기이식 대상자에 대한 공정한 선정과 장기 등의 적출 및 이식의 적정성을 도모하고 국내의 장기이식 전반에 관한 사항을 총괄하도록 하였다.
이들은 아래의 그림과 같은 업무 흐름에 따라서 생체이식과 뇌사자의 장기이식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뇌사자의 장기 발생건수 대비 공여율이 50-60% 정도인 것을 보면, 뇌사자 발생 시에 유족 상담과 신속한 업무처리 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그림. 국립장기이식센터의 업무 흐름
*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추천자료
분리불안장애의 개념 정의, 이론적 설명, 진단기준, 치료사례연구 레포트
[브랜드][브랜드관리][네슬레][네슬레 사례]브랜드의 개념, 브랜드의 종류, 브랜드의 역할, ...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과 전략적 관리, 인적자원관리의 기능과 ...
[자율관리어업][일본의 자율관리어업 사례]자율관리어업의 개념, 자율관리어업의 필요성, 자...
[e-CRM(고객관계관리)] e-CRM의 개념(정의), 종류, 배경, 영역, 성공요인
[전사적자원관리]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의 개념(정의)과 도입배경, 특성, 도입방식, 도...
전략적 제휴의 의미, 개념, 고려사항, 사례, 장점, 단점, 역사, 유형, 특성, 방안, 마케팅 관...
[경영관리][경영][기업][경영관리 개념][경영관리 이론][경영관리 원칙]경영관리의 개념, 경...
[백화점][고객][CRM][고객관계관리][의류홍보][외국 사례]백화점의 개념, 백화점의 특징, 백...
영유아 안전 - 영유아 안전의 정의와 개념, 안전사고 사례, 안전사고 예방 방안
자신이 생각하는 개념적 정의와 정의의 개념을 기술하고 각각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비교하시오.
마케팅 관리론 - 관계 마케팅에 관해 조사 (관계마케팅의 성립배경과 의의, 관계마케팅의 개...
[임상영양관리] 임상영양학의 개념(정의), 임상영양사의 역할(임상영양치료, 의무기록방식), ...
위험요인에 따른 글로벌 SCM 위험관리전략 - Global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 GSCM 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