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1차시-슬견설 학습지도안
ⅱ. 2차시-협동학습 수업모형 : 양아록
1. 협동학습 수업설계
2. 제재 소개 및 선정 이유
3. 학습지도안
Ⅲ. 결론
Ⅱ. 본론
ⅰ. 1차시-슬견설 학습지도안
ⅱ. 2차시-협동학습 수업모형 : 양아록
1. 협동학습 수업설계
2. 제재 소개 및 선정 이유
3. 학습지도안
Ⅲ. 결론
본문내용
② ‘說’ 설명-사물이나 사건의 뜻과 이치를 해석하고 자기 의견을 서술하여, 독자들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깨우쳐 주는 글.
-2단 구성 : 사실의 제시(예화)와 의미의 부여(예화에 대한 필자의 견해)
-예) 중1-1, 강희맹의 「스스로 터득한 지혜」
5) 관련 내용 학습(PPT)
① 저자 설명-이규보(李奎報, 1168-1241) 고려 중기의 문신문인. 호탕 활달한 시풍은 당 대를 풍미했으며 특히 즉흥시가 유명하다.
저서:《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동명왕편>등
② 관련 내용 설명-달팽이, 소, 메추리, 붕새
(3) 정리(5분)
1) 학습 내용 정리(PPT)
-갈래 : 고전 수필, 한문 수필(說)
-주제 : 선입견(편견)을 버리고 사물의 본질을 올바로 파악하자.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소중하다.
2) 과제 제시(PPT)
-학습지4 : 지은이의 주장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거나, 이 글의 교훈과 관계있는 자신의 경 험을 얘기해보자.
3) 형성평가(학습지)
4) 차시 예고-모둠별 협동학습 : 돌잔치 때 하는 돌잡이에 대해서 자신이 보았거나 들어본 일, 또는 자신의 돌잡이에 대해 생각해 오기
ⅱ. 2차시-협동학습 수업모형 :『養兒錄』중에서-돌잡이 돌잡이 : 돌잡히는 일
돌잡히다 : 여러 가지 물건을 상에 차려 놓고 돌장이에게 제 마음대로 물건을 집게 하다.
1. 협동학습 수업 설계 김현섭(서울 대림중, 협동학습연구회 대표), 「협동학습을 통한 효과적인 수업지도 방안」-지난 6월 13일 교과교육론 특강에서 김현섭 선생님을 초청해서 협동학습에 관한 강의를 들었다. 위에 제시한 협동학습수업설계는 특강자료 중 <협동학습 수업디자인>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내용 분석
⇒
핵심 파악
⇒
수업 디자인
(구조 설계)
⇒
학습 도구 준비 제작
⇒
수업 진행
⇒
피드백
(1) 내용 분석
학습 목표와 교육과정, 그리고 실제 교과서 본문을 비교하여 교사 나름대로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는 단계이다. 주어진 국가적 교육과정에 따라 교사가 수동적으로 반응하여 교과서에 있는 그대로의 내용을 전달하는 데 급급하기보다는 교사가 나름대로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요한 경우 적당한 제재를 찾아서 활용할 수도 있다.
(2) 핵심 파악
내용 분석을 통하여 학습 단원의 핵심을 찾아내는 단계이다. 대개 수업을 준비할 때 나무에만 관심을 둔 채 숲을 바라보지 못하므로 정작 중요한 부분을 놓쳐 버리는 경우가 많다.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할 경우, 현재 교과서대로 적용하고자 하면 무리가 따른다. 왜냐하면 현행 교과서는 일제학습 구조나 경쟁학습 구조를 기본 전제로 해서 개발된 교재이기 때문이다. 협동학습에 전제를 둔 교과서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협동수업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긴 하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교사가 내용 분석 작업을 통해 핵심적인 내용을 추리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미 있는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량을 줄이고 학생들의 삶과 경험에 연결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의미 있는’ 협동학습을 위해서는 단원의 핵심을 찾고 핵심을 중심으로 협동학습 구조를 도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3) 구조 디자인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에 따라 적절한 학습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수업 전개와 학습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수업 구조 일제학습구조, 개별학습구조, 경쟁학습구조, 협동학습구조 등
의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구조를 도입하는 것이다. 다양한 구조들을 많이 알수록 수업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을 것이다. 수업 디자인 작업은 교사의 전문성이 많이 요구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같은 단원을 협동수업으로 진행한다 하더라도 교사에 따라 각기 다르게 디자인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학생이나 교실 환경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구조를 찾아 배치해야 할 것이다.
(4) 학습 도구 준비 및 제작
수업 디자인을 한 다음 필요한 학습 도구를 개발하고 준비하는 단계이다. 강의식 수업의 경우, 특별한 수업 도구가 필요 없겠지만 개별학습 구조나 협동학습 구조의 경우 다양한 수업 도구를 미리 마련해야 할 것이다. 기존 전통 수업이 언어적 전달 방식에 많이 의존했다면 새로운 형태의 수업은 언어 뿐 아니라 비언어적 전달 방식을 많이 포함해야 한다. 구조나 활동에 따라 다양한 학습 도구들이 필요한데, 창의적인 학습 도구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협동학습의 경우, 예컨대 깔끔이 장판을 이용한 모둠 칠판, 모둠 팻말, 다양한 학습 활동지(sheet), 가위, 풀, 색지, 신호등
-2단 구성 : 사실의 제시(예화)와 의미의 부여(예화에 대한 필자의 견해)
-예) 중1-1, 강희맹의 「스스로 터득한 지혜」
5) 관련 내용 학습(PPT)
① 저자 설명-이규보(李奎報, 1168-1241) 고려 중기의 문신문인. 호탕 활달한 시풍은 당 대를 풍미했으며 특히 즉흥시가 유명하다.
저서:《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동명왕편>등
② 관련 내용 설명-달팽이, 소, 메추리, 붕새
(3) 정리(5분)
1) 학습 내용 정리(PPT)
-갈래 : 고전 수필, 한문 수필(說)
-주제 : 선입견(편견)을 버리고 사물의 본질을 올바로 파악하자.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소중하다.
2) 과제 제시(PPT)
-학습지4 : 지은이의 주장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거나, 이 글의 교훈과 관계있는 자신의 경 험을 얘기해보자.
3) 형성평가(학습지)
4) 차시 예고-모둠별 협동학습 : 돌잔치 때 하는 돌잡이에 대해서 자신이 보았거나 들어본 일, 또는 자신의 돌잡이에 대해 생각해 오기
ⅱ. 2차시-협동학습 수업모형 :『養兒錄』중에서-돌잡이 돌잡이 : 돌잡히는 일
돌잡히다 : 여러 가지 물건을 상에 차려 놓고 돌장이에게 제 마음대로 물건을 집게 하다.
1. 협동학습 수업 설계 김현섭(서울 대림중, 협동학습연구회 대표), 「협동학습을 통한 효과적인 수업지도 방안」-지난 6월 13일 교과교육론 특강에서 김현섭 선생님을 초청해서 협동학습에 관한 강의를 들었다. 위에 제시한 협동학습수업설계는 특강자료 중 <협동학습 수업디자인>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내용 분석
⇒
핵심 파악
⇒
수업 디자인
(구조 설계)
⇒
학습 도구 준비 제작
⇒
수업 진행
⇒
피드백
(1) 내용 분석
학습 목표와 교육과정, 그리고 실제 교과서 본문을 비교하여 교사 나름대로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는 단계이다. 주어진 국가적 교육과정에 따라 교사가 수동적으로 반응하여 교과서에 있는 그대로의 내용을 전달하는 데 급급하기보다는 교사가 나름대로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요한 경우 적당한 제재를 찾아서 활용할 수도 있다.
(2) 핵심 파악
내용 분석을 통하여 학습 단원의 핵심을 찾아내는 단계이다. 대개 수업을 준비할 때 나무에만 관심을 둔 채 숲을 바라보지 못하므로 정작 중요한 부분을 놓쳐 버리는 경우가 많다.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할 경우, 현재 교과서대로 적용하고자 하면 무리가 따른다. 왜냐하면 현행 교과서는 일제학습 구조나 경쟁학습 구조를 기본 전제로 해서 개발된 교재이기 때문이다. 협동학습에 전제를 둔 교과서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협동수업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긴 하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교사가 내용 분석 작업을 통해 핵심적인 내용을 추리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미 있는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량을 줄이고 학생들의 삶과 경험에 연결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의미 있는’ 협동학습을 위해서는 단원의 핵심을 찾고 핵심을 중심으로 협동학습 구조를 도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3) 구조 디자인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에 따라 적절한 학습 구조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수업 전개와 학습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수업 구조 일제학습구조, 개별학습구조, 경쟁학습구조, 협동학습구조 등
의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절한 구조를 도입하는 것이다. 다양한 구조들을 많이 알수록 수업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을 것이다. 수업 디자인 작업은 교사의 전문성이 많이 요구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같은 단원을 협동수업으로 진행한다 하더라도 교사에 따라 각기 다르게 디자인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학생이나 교실 환경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구조를 찾아 배치해야 할 것이다.
(4) 학습 도구 준비 및 제작
수업 디자인을 한 다음 필요한 학습 도구를 개발하고 준비하는 단계이다. 강의식 수업의 경우, 특별한 수업 도구가 필요 없겠지만 개별학습 구조나 협동학습 구조의 경우 다양한 수업 도구를 미리 마련해야 할 것이다. 기존 전통 수업이 언어적 전달 방식에 많이 의존했다면 새로운 형태의 수업은 언어 뿐 아니라 비언어적 전달 방식을 많이 포함해야 한다. 구조나 활동에 따라 다양한 학습 도구들이 필요한데, 창의적인 학습 도구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협동학습의 경우, 예컨대 깔끔이 장판을 이용한 모둠 칠판, 모둠 팻말, 다양한 학습 활동지(sheet), 가위, 풀, 색지, 신호등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문학의 이해 제석본 풀이
[고전문학] <구운몽>의 서사구조와 사상
[고전문학] 배비장전의 이해
[고전문학] <정을선전>의 민간 신앙
한국고전문학 교재연구를 읽고
[고전문학]춘향전의 이본 연구
[고전문학]방한림전 - 연구사검토, 작품의의
[고전문학] 영웅좌절담류 비극소설의 특징과 계보파악을 위한 시론
고전수필에 대하여
고전 수필의 이해와 현대적 양상
[국어과 수업 지도안][고전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수업안 작성하기](속미인곡)
감상문 - 고전수필 이옥의 ‘선생,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를 읽고
[문학교육론] 심청전의 작품 분석(심청의 ‘효’를 중심으로) - 심청전의 작품 소개, 심청전의 ...
[문학교육론] 허구 서사형 자기계발서의 서사 분석 - 인물의 형상화 방식, 갈등의 발생과 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