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est X-ray
- 대부분 비특이적이며, 증상 및 병리소견과의 관련성도 부족
- 5~10%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임.
- 초기에는 diffuse ground glass pattern
- reticular, nodular, reticuonodular
- 말기엔 cystic area 발생 : 예후 나쁨.
(2) HRCT
- 활동성과 범위 및 분배를 동시에 판정할 수 있고, 원인을 찾는데 유용
- 최종진단과의 상관성이 매우 높다.
- 검체를 채취할 적당한 부위를 결정하는데도 유용
4) 폐기능 검사
(1) spirometry와 폐용적
- 대부분의 ILD는 제한성 형태 (TRC, FRC, residual volume 등이 감소)
- FEV1과 FVC 감소 (TLC의 감소와 연관)
- FEV1/FVC 비는 정상이거나 증가
- 일부 질환 (예, tuberous sclerosis)에서는 폐쇄성 형태로 나타난다.
(2) 확산증 (diffuse capacity)
- 일산화탄소의 폐확산능 (DLCO) 감소 : 흔한 소견이나 비특이적
- DLCO 감소 원인 : 환기-관류 () mismatching, alveolar capillary units의 소실 등
- DLCO의 감소 정도와 질병의 심한 정도 (severity)는 일치하지 않는다.
5) ABGA
- 안정시에는 정상 or PCO2감소, 호흡성 알칼리증
- 저산소증의 원인 : V/Q mismaching, diffusing capacity 감소
- 안정 및 운동 시 ABGA는 ILD의 진행정도 및 치료반응 평가에 매우 유용
6) BAL
- 정상범위 : 대식세포 80~90%, 림프구 10~15%(70%가 T림프구), 중성구 1~3%,
CD4/CD8=1.5
- 림프구가 증가하는 경우 : Tb, 유육종증, 경결성 폐렴,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 베릴륨폐 증, 약물로 유발된 ILD, LIP, 림프종, 콜라겐 혈관성 질환 등
- 호산구가 증가하는 경우 : 호산구성 폐렴, 천식, IPF, SLE, Hodgkin\'s dz, ABPA 등
- 중성구가 증가하는 경우 : IPF, ARDS, 석면폐증
- CXR, HRCT 소견은 BAL 소견과 일치하지 않는다.
7) 폐생검
- ILD의 확진과 질병의 활동성 판정에 가장 정확한 방법
- 모든 환자에서 시행할 필요는 없다.(원인 밝혀진 경우는 안해도 됨.)
- 폐생검의 금기 : 심한 심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 흉부 X선 소견상 미만성 말기 질환 인 경우, 기타 수술 위험요인 (예, 노인)
6. 치료
(1) 안정시 또는 운동시 저산소혈증 (PaO2 < 55 mmHg) : 산소공급
(2) 폐인성 심질환이 발생한 경우 이뇨제와 정맥절개술 (phlebotomy) 시행
(3) 약물 치료
① glucocorticoid
② cyclophosphamide와 azathioprine
③ 폐이식
7. 간호
1) 검사시 간호
(1) 동맥혈 가스분석
① 모든 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할 수 있으나 대부분 요골, 상완, 대퇴부위에서 채취한다.
② 요골동맥을 사용한다면 측부 순환을 확인하기 위해 천자를 하기 전 Allen검사를 실시 한다.
(2) 객담검사
① 객담을 정확하게 수집하고 즉시 표본을 검사실로 보낸다.
② 객담을 다양한 방법으로 채취한다.
- 심호흡과 기침, 초음파 또는 고장성 식염수 분무요법, 기관흡인, 기관지경을 통한 제거, 위액 흡인, 횡기관지 흡인 등
(3) 폐 생검
① 동의서를 받는다.
② 생검 후 기흉, 출혈(객혈)과 늑막강의 세균오염 등의 합병증 가능성을 관찰한다.
2) 호흡운동 교육
(1) 횡격막 호흡
① 한손을 늑골 바로 아래의 위 상부에 놓고 다른 한 손은 흉부의 중간에 놓는다.
② 코를 통해 서서히 깊게 들이쉬고 복부를 가능한 최대로 내민다.
③ 복부근을 수축시키는 동안 오므린 입을 통해 숨을 내쉰다. 숨을 내쉬는 동안 복부를 안과 위로 압박한다.
④ 복부는 움직이고 흉부는 움직이지 않는다.
⑤ 약 1분동안 반복한다. 점차 10분으로 늘려 하루에 4회 수행한다.
⑥ 처음에는 누워서 횡격막 호흡법을 배우고, 그 후 앉아서 하도록 한다.
(2) 오므린 입을 통한 호흡
① 코를 통해 2를 셀 때까지 흡기한다.
② 복부근을 완전히 수축시키는 동안 오므린 입을 통해 서서히 숨을 내쉬게 한다.
(3) 하부 흉곽호흡
① 양손을 하부 늑골 양측에 놓는다.
② 양측이 팽창되어 손이 밖으로 움직이는 동안 숨을 깊게 서서히 들이쉰다.
③ 오므린 입을 통해 서서히 숨을 내쉬고 안으로 움직이는 손과 늑골의 움직임을 느낀다.
④ 휴식한다.
(4) 분절호흡
① 양측 하부 늑골에 손을 올려놓는다.
② 우흉곽의 팽창에 의해 손이 바깥으로 움직이는 것에 집중하여 숨을 깊게 서서히 들이쉰다.
③ 왼손이 움직이는 것보다 오른손이 더 바깥으로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④ 손을 그대로 놓고 서서히 숨을 내쉬고 오른손과 늑골이 안으로 움직이는지 느낀다.
⑤ 반복한다. 우측보다 좌측이 더 팽창되는지 집중해 지켜본다.
(5) 환자교육
① 항상 코를 통해 숨을 들이쉬도록 한다. 이것은 공기의 여과와 습화를 유지시킨다.
② 이완상태에서 규칙적으로 서서히 호흡한다. 더 완전한 호기를 할 수 있으며 폐를 더 잘 비운다.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을 극복하며 산소 요구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③ 갑작스러운 활동은 피한다.
④ 여러 가지 체위에서 연습한다.
3) 타진과 진동법
① 환자가 횡격막 호흡을 하도록 교육한다.
② 환자가 처방된 체위배액의 체위를 취하게 한다.
③ 손을 컵 모양으로 하여 폐의 각 분절을 1~2분간 두드린다.
④ 척추, 간, 비장, 신장, 유방, 견갑골, 쇄골 EH는 흉골 위는 두드리지 않는다.
⑤ 환자에게 숨을 서서히 깊게 쉬도록 지시한다. 환자가 오므린 입을 통해 서서히 숨을 내쉴 때 흉벽을 진동시킨다.
⑥ 환자가 숨을 들이쉴 때 흉부 위의 압력을 경감한다.
⑦ 몇 분 동안 환자가 휴식을 취하게 한다.
⑧ 호흡음의 변화를 청진한다.
⑨ 환자의 내성과 임상반응에 따라 타진과 진동의 주기를 반복한다. 대개 15~30분동안 행한다.
4) 산소투여(비강 캐뉼라)
① 환자에게 비강 캐뉼라를 보여주고 절차를 설명한다.
② 가습기에 증류수가 채우져 있
- 대부분 비특이적이며, 증상 및 병리소견과의 관련성도 부족
- 5~10%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임.
- 초기에는 diffuse ground glass pattern
- reticular, nodular, reticuonodular
- 말기엔 cystic area 발생 : 예후 나쁨.
(2) HRCT
- 활동성과 범위 및 분배를 동시에 판정할 수 있고, 원인을 찾는데 유용
- 최종진단과의 상관성이 매우 높다.
- 검체를 채취할 적당한 부위를 결정하는데도 유용
4) 폐기능 검사
(1) spirometry와 폐용적
- 대부분의 ILD는 제한성 형태 (TRC, FRC, residual volume 등이 감소)
- FEV1과 FVC 감소 (TLC의 감소와 연관)
- FEV1/FVC 비는 정상이거나 증가
- 일부 질환 (예, tuberous sclerosis)에서는 폐쇄성 형태로 나타난다.
(2) 확산증 (diffuse capacity)
- 일산화탄소의 폐확산능 (DLCO) 감소 : 흔한 소견이나 비특이적
- DLCO 감소 원인 : 환기-관류 () mismatching, alveolar capillary units의 소실 등
- DLCO의 감소 정도와 질병의 심한 정도 (severity)는 일치하지 않는다.
5) ABGA
- 안정시에는 정상 or PCO2감소, 호흡성 알칼리증
- 저산소증의 원인 : V/Q mismaching, diffusing capacity 감소
- 안정 및 운동 시 ABGA는 ILD의 진행정도 및 치료반응 평가에 매우 유용
6) BAL
- 정상범위 : 대식세포 80~90%, 림프구 10~15%(70%가 T림프구), 중성구 1~3%,
CD4/CD8=1.5
- 림프구가 증가하는 경우 : Tb, 유육종증, 경결성 폐렴,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 베릴륨폐 증, 약물로 유발된 ILD, LIP, 림프종, 콜라겐 혈관성 질환 등
- 호산구가 증가하는 경우 : 호산구성 폐렴, 천식, IPF, SLE, Hodgkin\'s dz, ABPA 등
- 중성구가 증가하는 경우 : IPF, ARDS, 석면폐증
- CXR, HRCT 소견은 BAL 소견과 일치하지 않는다.
7) 폐생검
- ILD의 확진과 질병의 활동성 판정에 가장 정확한 방법
- 모든 환자에서 시행할 필요는 없다.(원인 밝혀진 경우는 안해도 됨.)
- 폐생검의 금기 : 심한 심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 흉부 X선 소견상 미만성 말기 질환 인 경우, 기타 수술 위험요인 (예, 노인)
6. 치료
(1) 안정시 또는 운동시 저산소혈증 (PaO2 < 55 mmHg) : 산소공급
(2) 폐인성 심질환이 발생한 경우 이뇨제와 정맥절개술 (phlebotomy) 시행
(3) 약물 치료
① glucocorticoid
② cyclophosphamide와 azathioprine
③ 폐이식
7. 간호
1) 검사시 간호
(1) 동맥혈 가스분석
① 모든 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할 수 있으나 대부분 요골, 상완, 대퇴부위에서 채취한다.
② 요골동맥을 사용한다면 측부 순환을 확인하기 위해 천자를 하기 전 Allen검사를 실시 한다.
(2) 객담검사
① 객담을 정확하게 수집하고 즉시 표본을 검사실로 보낸다.
② 객담을 다양한 방법으로 채취한다.
- 심호흡과 기침, 초음파 또는 고장성 식염수 분무요법, 기관흡인, 기관지경을 통한 제거, 위액 흡인, 횡기관지 흡인 등
(3) 폐 생검
① 동의서를 받는다.
② 생검 후 기흉, 출혈(객혈)과 늑막강의 세균오염 등의 합병증 가능성을 관찰한다.
2) 호흡운동 교육
(1) 횡격막 호흡
① 한손을 늑골 바로 아래의 위 상부에 놓고 다른 한 손은 흉부의 중간에 놓는다.
② 코를 통해 서서히 깊게 들이쉬고 복부를 가능한 최대로 내민다.
③ 복부근을 수축시키는 동안 오므린 입을 통해 숨을 내쉰다. 숨을 내쉬는 동안 복부를 안과 위로 압박한다.
④ 복부는 움직이고 흉부는 움직이지 않는다.
⑤ 약 1분동안 반복한다. 점차 10분으로 늘려 하루에 4회 수행한다.
⑥ 처음에는 누워서 횡격막 호흡법을 배우고, 그 후 앉아서 하도록 한다.
(2) 오므린 입을 통한 호흡
① 코를 통해 2를 셀 때까지 흡기한다.
② 복부근을 완전히 수축시키는 동안 오므린 입을 통해 서서히 숨을 내쉬게 한다.
(3) 하부 흉곽호흡
① 양손을 하부 늑골 양측에 놓는다.
② 양측이 팽창되어 손이 밖으로 움직이는 동안 숨을 깊게 서서히 들이쉰다.
③ 오므린 입을 통해 서서히 숨을 내쉬고 안으로 움직이는 손과 늑골의 움직임을 느낀다.
④ 휴식한다.
(4) 분절호흡
① 양측 하부 늑골에 손을 올려놓는다.
② 우흉곽의 팽창에 의해 손이 바깥으로 움직이는 것에 집중하여 숨을 깊게 서서히 들이쉰다.
③ 왼손이 움직이는 것보다 오른손이 더 바깥으로 움직이는지 확인한다.
④ 손을 그대로 놓고 서서히 숨을 내쉬고 오른손과 늑골이 안으로 움직이는지 느낀다.
⑤ 반복한다. 우측보다 좌측이 더 팽창되는지 집중해 지켜본다.
(5) 환자교육
① 항상 코를 통해 숨을 들이쉬도록 한다. 이것은 공기의 여과와 습화를 유지시킨다.
② 이완상태에서 규칙적으로 서서히 호흡한다. 더 완전한 호기를 할 수 있으며 폐를 더 잘 비운다.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을 극복하며 산소 요구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③ 갑작스러운 활동은 피한다.
④ 여러 가지 체위에서 연습한다.
3) 타진과 진동법
① 환자가 횡격막 호흡을 하도록 교육한다.
② 환자가 처방된 체위배액의 체위를 취하게 한다.
③ 손을 컵 모양으로 하여 폐의 각 분절을 1~2분간 두드린다.
④ 척추, 간, 비장, 신장, 유방, 견갑골, 쇄골 EH는 흉골 위는 두드리지 않는다.
⑤ 환자에게 숨을 서서히 깊게 쉬도록 지시한다. 환자가 오므린 입을 통해 서서히 숨을 내쉴 때 흉벽을 진동시킨다.
⑥ 환자가 숨을 들이쉴 때 흉부 위의 압력을 경감한다.
⑦ 몇 분 동안 환자가 휴식을 취하게 한다.
⑧ 호흡음의 변화를 청진한다.
⑨ 환자의 내성과 임상반응에 따라 타진과 진동의 주기를 반복한다. 대개 15~30분동안 행한다.
4) 산소투여(비강 캐뉼라)
① 환자에게 비강 캐뉼라를 보여주고 절차를 설명한다.
② 가습기에 증류수가 채우져 있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case study (pneumonia)
성인간호학 늑막염 케이스 스터디
만성폐쇄성폐질환
[논문]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간호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에 대한 간호사례연구
COPD 환자의 간호과정 사례 연구
성인간호학 case study - COPD
성인간호학 요약 - 대장 및 소장장애
[성인간호학] 하부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뇌경색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당뇨병 레포트
성인간호학케이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낙상위험성
[성인간호학 ] Case Study - Acute Bronchitis Pneumonia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