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1) 정의
2) 종류
3) 일반적인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6) 진단검사
7) 합병증
8) 치료 및 관리
Ⅱ. 본 론
1. 자료수집
1) 개인력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계도
5) 각 영역별 사정
6) 진단검사
7) 약물요법
** 참고
2. 간호문제 및 간호진단
** 간호 과정
Ⅲ.결 론
1. 연구결과 정리
* 참고문헌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1) 정의
2) 종류
3) 일반적인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6) 진단검사
7) 합병증
8) 치료 및 관리
Ⅱ. 본 론
1. 자료수집
1) 개인력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계도
5) 각 영역별 사정
6) 진단검사
7) 약물요법
** 참고
2. 간호문제 및 간호진단
** 간호 과정
Ⅲ.결 론
1. 연구결과 정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력징후의 확인을 통하여 환자의 상태와 호흡이 어떠한지를 알 수 있다.
1-① 호흡수는 평균적으로 30회 정도 관찰되었으며 청진시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난다.
1-② 체위를 반좌위로 취한다.
1-② 반좌위는 복강내 장기가 아래 쪽으로 내려가게 하여 흉곽을 크게 함으로써 호흡을 용이하게 해준다.
1-② 호흡이 앙와위 체위 보다 편안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③ 기관지 확장제, 점액용해제등의 약물을 투여한다.
1-③ 기관지 확장제는 공기의 흐름을 증진시키고 점액용해제는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점액의 분비운동력을 향상시키는 약리작용을 한다.
1-③ 호흡수가 평균 30회에서 26회로 감소하였다.
1-④ SPO2를 주의 깊게 사정한다.
1-④ SPO2는 동맥혈산소포화도로 대상자의 산소화와 가스교환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를 나타내주는데 95~100%가 정상이다.
1-④ 대상자는 입원시 SPO2가 88%이었고 그 후에도 95가 안되는 수치를 나타내어 가스교환이 좋지 않음을 볼 수 있다.
2. 객담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돕는다.
2-① 가습기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적절한 습도로 유지한다.
2-① 가습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늘림으로써 습도를 높여준다.
2-① 실내의 습도를 높혀 호흡하기가 전보다 편안함을 볼 수 있었다.
2-② 등마사지, 흉부 타진 및 진동법을 시행한다.
2-② 등마사지, 타진법은 기도에 막혀있거나 달라붙은 분비물을 떨어뜨리기 위해 적용한다.
진동법은 분비물을 좀 더 큰 기도로 이동시키기 위해 적용한다.
2-② 등마사지, 흉부 타진, 진동법을 시행한 후 분비물 배출이 용이해져 호흡수, 숨소리가 많이 좋아졌다.
2-③ 다량의 분비물이 기도를 막을 경우 Suction을 하여 분비물을 흡인한다.
2-③ Suction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한 분비물 제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③ 흡인을 한 후에는 호흡도 안정적이며 그르렁 거리는 소리도 감소되었다.
2-④ 하루에 4번 Nebulizer를 시행한다.
2-④ 약물을 기화시켜 작은 입자로 만든 후 분무시켜 환자가 흡입하여 직접 폐로 전달시킨다.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2-④ Nebulizer 사용 후 호흡이 한결 편안해 졌음을 관찰 할 수 있었다.
2-⑤ 금식이 끝난 후 적절한 양의 수분섭취를 권장하였다.
2-⑤ 수분은 가래를 묽게 하고 점막을 축축하게 유지시켜 주므로 분비물 배출이 쉬워진다.
2-⑤ 처음에는 끈적끈적하던 객담이 시간이 지날 수록 묽어졌다.
\"몸이 뜨거워요\"
(보호자)
\"땀이 많이 나요\"
(보호자)
입원 시 BT 38.9℃
(액와체온)
높은 체온을 보임
머리, 등에서 땀이난다.
전반적으로 홍조증상을 보임
#2. 고체온과 관련된 비정상적 체온변화
단기목표
체온이 36.5℃의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1. 대상자의 체온변화 양상을 사정한다.
1-① 1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한다.
1-① 체온의 상승 정도를
알 수 있다.
1-① 대상자의 체온은 입원 시 38.9℃이고 그 뒤 높은 체온을 유지하였다.
1-② 대상자의 전신적인 신체 양상을 사정한다.
1-② 체온의 상승으로 인한 불편감이 없는지를 사정하여 안위를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1-② 신체는 전반적으로 붉고 얼굴은 홍조를 띠며 대상자의 몸은 땀으로 젖어 있었다.
2. 체온을 감소시키는 간호를 제공한다.
2-① Ice Bag을 천에 감싼 뒤 겨드랑이에 대어 주었다.
2-① Ice Bag은 인체의 열을 빼앗는 전도현상으로 체온을 내리게 한다.
2-① 체온은 3시간 뒤 36.0~37.1℃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2-② 미지근한 물에 수건을 가볍게 적셔 이마, 겨드랑이, 목 등을 닦는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한다.
2-② 미온수 마사지는 전도 현상에 의한 것으로 체온 상승을 경감시킨다.
2-② 미온수 마사지를 한 뒤 체온이 감소되었다.
2-③ 대상자의 이불은 걷고 옷을 얇게 유지한다.
2-③ 아무리 얇은 이불이나 옷이라도 체온 상승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걷어주어 열을 식히도록 한다.
2-③ 대상자는 이불을 덮지 않고 내의도 벗고 환자복을 착용하였다.
2-④ 중환자실의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 준다.
2-④ 방안의 온도로 인하여 체온이 상승되는 것을 막아준다.
2-④ 짧은 시간이지만 창문을 열어 시원한 공기를 제공해주어 체온 상승을 감소시켜주었다.
3.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시킨다.
3-① 대상자의 I/O를 check한다.
3-① I/O를 check함으로써 대상자의 체액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3-① 섭취량보다 배설 량이 조금 더 작았으나 큰 불균형은 보이지 않았다.
3-②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한다.
3-②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함으로써 탈수를 예방한다.
3-② 대상자는 탈수 증세를 보이지 않았다.
“입맛이 별로 안땡기네”
“많이 못먹겠다.”
입원 후 3일 동안 금식함
들어오는 식사의 반 정도를 섭취
힘이 없는 숟가락질
#3. 금식 및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단기목표
영양
부족을 호전시킨다.
장기목표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한다.
1.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1-① 신체검진, 신체측정 등을 통해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1-① 영양결핍 시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하지방층이 얇아지며 근육의 긴장성이 상실되고 잇몸이 붓고 균열이 온다.
1-① 입원 당시보다 피부가 거칠어졌다.
1-② 일반혈액 및 혈중 전해질 등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1-② 영양결핍 시 혈중알부민, transferrin, 총 림프구 수가 저하되고 전해질의 불균형이 온다.
1-② Na와 K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2.영양을 보충한다.
2-① Na80cc, K30cc를 5% 포도당 수액 500ml에 mix하여 정맥 점적 주입한다.
2-① 포도당은 탄수화물로 신체에서 제일 빨리 사용되는 영양소이다.
2-① 대상자의 영양결핍이 악화되지 않았다.
2-② 금식 해제 후 소화기능증진을 위해 유동식을 제공한다.
2-②금식 중 감소되었던 장운동을 서서히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2-② 대상자는 800ml의 유동식을 하루에 네번 비위관영양으로 섭취하였다.
2-③ 구강간호를 자주 실시하고 코와 입술간호를 시행한다.
2-③ 구강을
1-① 호흡수는 평균적으로 30회 정도 관찰되었으며 청진시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난다.
1-② 체위를 반좌위로 취한다.
1-② 반좌위는 복강내 장기가 아래 쪽으로 내려가게 하여 흉곽을 크게 함으로써 호흡을 용이하게 해준다.
1-② 호흡이 앙와위 체위 보다 편안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③ 기관지 확장제, 점액용해제등의 약물을 투여한다.
1-③ 기관지 확장제는 공기의 흐름을 증진시키고 점액용해제는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점액의 분비운동력을 향상시키는 약리작용을 한다.
1-③ 호흡수가 평균 30회에서 26회로 감소하였다.
1-④ SPO2를 주의 깊게 사정한다.
1-④ SPO2는 동맥혈산소포화도로 대상자의 산소화와 가스교환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를 나타내주는데 95~100%가 정상이다.
1-④ 대상자는 입원시 SPO2가 88%이었고 그 후에도 95가 안되는 수치를 나타내어 가스교환이 좋지 않음을 볼 수 있다.
2. 객담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돕는다.
2-① 가습기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적절한 습도로 유지한다.
2-① 가습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늘림으로써 습도를 높여준다.
2-① 실내의 습도를 높혀 호흡하기가 전보다 편안함을 볼 수 있었다.
2-② 등마사지, 흉부 타진 및 진동법을 시행한다.
2-② 등마사지, 타진법은 기도에 막혀있거나 달라붙은 분비물을 떨어뜨리기 위해 적용한다.
진동법은 분비물을 좀 더 큰 기도로 이동시키기 위해 적용한다.
2-② 등마사지, 흉부 타진, 진동법을 시행한 후 분비물 배출이 용이해져 호흡수, 숨소리가 많이 좋아졌다.
2-③ 다량의 분비물이 기도를 막을 경우 Suction을 하여 분비물을 흡인한다.
2-③ Suction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한 분비물 제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③ 흡인을 한 후에는 호흡도 안정적이며 그르렁 거리는 소리도 감소되었다.
2-④ 하루에 4번 Nebulizer를 시행한다.
2-④ 약물을 기화시켜 작은 입자로 만든 후 분무시켜 환자가 흡입하여 직접 폐로 전달시킨다.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2-④ Nebulizer 사용 후 호흡이 한결 편안해 졌음을 관찰 할 수 있었다.
2-⑤ 금식이 끝난 후 적절한 양의 수분섭취를 권장하였다.
2-⑤ 수분은 가래를 묽게 하고 점막을 축축하게 유지시켜 주므로 분비물 배출이 쉬워진다.
2-⑤ 처음에는 끈적끈적하던 객담이 시간이 지날 수록 묽어졌다.
\"몸이 뜨거워요\"
(보호자)
\"땀이 많이 나요\"
(보호자)
입원 시 BT 38.9℃
(액와체온)
높은 체온을 보임
머리, 등에서 땀이난다.
전반적으로 홍조증상을 보임
#2. 고체온과 관련된 비정상적 체온변화
단기목표
체온이 36.5℃의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1. 대상자의 체온변화 양상을 사정한다.
1-① 1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한다.
1-① 체온의 상승 정도를
알 수 있다.
1-① 대상자의 체온은 입원 시 38.9℃이고 그 뒤 높은 체온을 유지하였다.
1-② 대상자의 전신적인 신체 양상을 사정한다.
1-② 체온의 상승으로 인한 불편감이 없는지를 사정하여 안위를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1-② 신체는 전반적으로 붉고 얼굴은 홍조를 띠며 대상자의 몸은 땀으로 젖어 있었다.
2. 체온을 감소시키는 간호를 제공한다.
2-① Ice Bag을 천에 감싼 뒤 겨드랑이에 대어 주었다.
2-① Ice Bag은 인체의 열을 빼앗는 전도현상으로 체온을 내리게 한다.
2-① 체온은 3시간 뒤 36.0~37.1℃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2-② 미지근한 물에 수건을 가볍게 적셔 이마, 겨드랑이, 목 등을 닦는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한다.
2-② 미온수 마사지는 전도 현상에 의한 것으로 체온 상승을 경감시킨다.
2-② 미온수 마사지를 한 뒤 체온이 감소되었다.
2-③ 대상자의 이불은 걷고 옷을 얇게 유지한다.
2-③ 아무리 얇은 이불이나 옷이라도 체온 상승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걷어주어 열을 식히도록 한다.
2-③ 대상자는 이불을 덮지 않고 내의도 벗고 환자복을 착용하였다.
2-④ 중환자실의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 준다.
2-④ 방안의 온도로 인하여 체온이 상승되는 것을 막아준다.
2-④ 짧은 시간이지만 창문을 열어 시원한 공기를 제공해주어 체온 상승을 감소시켜주었다.
3.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시킨다.
3-① 대상자의 I/O를 check한다.
3-① I/O를 check함으로써 대상자의 체액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3-① 섭취량보다 배설 량이 조금 더 작았으나 큰 불균형은 보이지 않았다.
3-②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한다.
3-②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함으로써 탈수를 예방한다.
3-② 대상자는 탈수 증세를 보이지 않았다.
“입맛이 별로 안땡기네”
“많이 못먹겠다.”
입원 후 3일 동안 금식함
들어오는 식사의 반 정도를 섭취
힘이 없는 숟가락질
#3. 금식 및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단기목표
영양
부족을 호전시킨다.
장기목표
적절한 영양상태를 유지한다.
1.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1-① 신체검진, 신체측정 등을 통해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1-① 영양결핍 시 피부가 거칠어지고 피하지방층이 얇아지며 근육의 긴장성이 상실되고 잇몸이 붓고 균열이 온다.
1-① 입원 당시보다 피부가 거칠어졌다.
1-② 일반혈액 및 혈중 전해질 등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1-② 영양결핍 시 혈중알부민, transferrin, 총 림프구 수가 저하되고 전해질의 불균형이 온다.
1-② Na와 K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2.영양을 보충한다.
2-① Na80cc, K30cc를 5% 포도당 수액 500ml에 mix하여 정맥 점적 주입한다.
2-① 포도당은 탄수화물로 신체에서 제일 빨리 사용되는 영양소이다.
2-① 대상자의 영양결핍이 악화되지 않았다.
2-② 금식 해제 후 소화기능증진을 위해 유동식을 제공한다.
2-②금식 중 감소되었던 장운동을 서서히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2-② 대상자는 800ml의 유동식을 하루에 네번 비위관영양으로 섭취하였다.
2-③ 구강간호를 자주 실시하고 코와 입술간호를 시행한다.
2-③ 구강을
추천자료
COPD(만성폐쇄성폐질환)과 파킨슨병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Case Study
만성 폐쇄성 폐질환 케이스 스터디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케이스 스터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각각의 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c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실습케이스case -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 컨퍼런스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