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통신언어의 특징
2) 통신언어의 쓰임 사례
3) 통신언어의 효과와 문제점
4) 통신언어와 관련된 문제의 해결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출처
2. 본론
1) 통신언어의 특징
2) 통신언어의 쓰임 사례
3) 통신언어의 효과와 문제점
4) 통신언어와 관련된 문제의 해결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의문형으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이 표준어의 원칙이다. 하지만 통신언어에서는 ‘너 밥먹음?’ 등 경제적인 사용을 위해 어미를 간결하게 줄이거나 명사형으로 문장을 마치는 등이 다수 활용되고 있다. 또한 조사를 생략하여 ‘나 술~’ 등으로 ‘나는 술을 마신다’ 등을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도 과잉분철을 하거나 음절의 수를 늘려 맞춤법을 파괴하면서도 통신언어에서 강조하거나 감정 표현을 하고 싶을 때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둘’을 ‘두우우울’로 표현하거나 ‘하겠습니다’를 ‘하겠습니다아아’로 늘리는 등이 자신이 원하는 대화 효과를 위해 음절의 수를 늘리는 예로 볼 수 있다. 또한 ‘열쉼히’ 등으로 ‘열심히’를 강조하는 등 다양한 표현을 살펴볼 수 있다. 최근에는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생긴 글자를 바꾸어 사용하는 등의 변화 또한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대머리’를 ‘머머리’로 표현하거나 ‘멍멍이’를 ‘댕댕이’로 나타내는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는 ‘대’와 ‘머’의 시각적 생김새가 유사하여 사용되는 단어로, 주로 청소년들이 자주 활용된다.
가장 오랫동안 많이 사용되어 온 통신언어로는 ‘ㅋㅋㅋ’나 ‘ㅜㅜ’등의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는 통신언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대화에서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시각적인 효과를 주며,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과 의견을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언어의 변형과 함께 추가되는 기호들이다. 주로 감정이나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신조어를 만들어 내거나 언어를 변형시키는 등의 활용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통신언어의 사용을 실제 자료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다음에 제시된 내용은 인터넷에서 재미있는 남매의 대화의 예로 활용되고 있는 ‘카카오톡 대화’ 중 일부이다.
대화를 살펴보면 위에서 제시한 특징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선 가장 먼저 시작하는 ‘어땡’이라는 말은 ‘어때’의 어미를 변형시킨 것으로 감정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변형임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졍’도 같은 의미에서의 언어 변형이다. \'ㅇㅇ‘은 ’응응‘을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음만을 사용하여 대답을 한 것이며, ’ㅇㅈ‘은 ’인정한다‘를 줄여서 모음과 자음만을 사용한 것으로 많은 젊은 층들이 사용하고 있는 표현이다. 또한 해당 화자는 ’지웠어‘를 ’지
이외에도 과잉분철을 하거나 음절의 수를 늘려 맞춤법을 파괴하면서도 통신언어에서 강조하거나 감정 표현을 하고 싶을 때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둘’을 ‘두우우울’로 표현하거나 ‘하겠습니다’를 ‘하겠습니다아아’로 늘리는 등이 자신이 원하는 대화 효과를 위해 음절의 수를 늘리는 예로 볼 수 있다. 또한 ‘열쉼히’ 등으로 ‘열심히’를 강조하는 등 다양한 표현을 살펴볼 수 있다. 최근에는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생긴 글자를 바꾸어 사용하는 등의 변화 또한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대머리’를 ‘머머리’로 표현하거나 ‘멍멍이’를 ‘댕댕이’로 나타내는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는 ‘대’와 ‘머’의 시각적 생김새가 유사하여 사용되는 단어로, 주로 청소년들이 자주 활용된다.
가장 오랫동안 많이 사용되어 온 통신언어로는 ‘ㅋㅋㅋ’나 ‘ㅜㅜ’등의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는 통신언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대화에서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시각적인 효과를 주며,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과 의견을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언어의 변형과 함께 추가되는 기호들이다. 주로 감정이나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신조어를 만들어 내거나 언어를 변형시키는 등의 활용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통신언어의 사용을 실제 자료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다음에 제시된 내용은 인터넷에서 재미있는 남매의 대화의 예로 활용되고 있는 ‘카카오톡 대화’ 중 일부이다.
대화를 살펴보면 위에서 제시한 특징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선 가장 먼저 시작하는 ‘어땡’이라는 말은 ‘어때’의 어미를 변형시킨 것으로 감정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변형임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졍’도 같은 의미에서의 언어 변형이다. \'ㅇㅇ‘은 ’응응‘을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음만을 사용하여 대답을 한 것이며, ’ㅇㅈ‘은 ’인정한다‘를 줄여서 모음과 자음만을 사용한 것으로 많은 젊은 층들이 사용하고 있는 표현이다. 또한 해당 화자는 ’지웠어‘를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