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 주고 있는 것 같다. 사실 이런 점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별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왕들의 권위를 높여 주고, 또한 하늘에서 내려온 특별한 존재라는 의미에서 백성들을 이끌어 가는데 일정한 후광 효과를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수로왕 외에도 주몽, 김알지, 예수 등의 탄생은 상식적으로는 생각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을 만큼의 상상력을 보여준다.
보통의 사람들은 지도자에게서 특별한 무엇인가가 있다고 생각할 때 더 따르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가 있다. 그런 점에서 보통 사람들이 그런 미망에서 깨어날 필요가 있고, 지도자를 보는 눈을 보다 과학적으로 가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또 재미 있는 것은 이 작품의 주제를 생명 탄생과 관련시켜 본다면 거북이와 인간의 생식기와 비교해 보면 재미 있는 공통점이 보이는 것 같다. 처음에는 왜 그렇게 생각을 하나 이해가 안가는 부분도 있었는데 여러 논문들과 글들, 그리고 책들을 보니까 학자들 나름대로의 주장 근거가 보인다.
4줄짜리 단지 17자를 가지고 그렇게 다양한 해석이 나왔는지 무척 흥미로웠다. 구지가 같은 상고시가 연구에서 어려운 것은 창작의 주변문제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을 때 흔히 발생한다. 논의자에 따라 노래의 성격이 달리 규정되는 것도 이것과 결부된 문제이다.
내가 만약 학자가 되어서 구지가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해석을 내린다면 무척이나 난감할 것 같다. 지금 내가 내리는 나름대로의 결론은 다른 분들이 연구해 놓은 책이나 논문들을 읽어서 정리를 한 것이지만 직접 김해지역에 남아 있는 유적답사와 수로왕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들 수집, 그리고 A.D 42年 전후의 김해와 관련된 많은 서적들을 직접 찾아봐서 짧은 시간이 아니라 긴 시간동안 구지가에 대해서만 몰두해서 어떠한 결론을 내렸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내가 쓰는 견해는 짧은 시간동안에 자료들을 보고서 쓰는 것이기에 많이 부족한 생각이 든다. 구지가는 많은 학자들이 연구한 것과 같이 신령스런 우두머리(임금)이 오기를 기원하는 제의적이고 그리고 주술적 성격이 강한 노래라고 말하겠다. 거북에 대해서 남근을 상징하는 것은 조금은 무리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든다.
생각을 말하는 것도 무척 어려운 것 같다. 머릿속에는 해야 할 말들이 가득한데 하나로 정리가 되지 않아서 무척 답답하다. 그래도 예전에 배웠던 구지가에 대해서 다시 한번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단지 거북이 임금을 상징하고 수로왕과 관련이 있는 이야기라고만 배웠었는데 이렇게 다양한 해석이 있다니 놀다웠고 많은 사람들과 간과하고 있던 우리 조상들의 역사·문화의식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어서 좋았다.
◎ 참고문헌
이영태, 「龜旨歌의 수록경위와 해석의 문제」,『한국학연구』10호
양태순, 『한국고전시가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임재해, 『민족신화와 건국영웅들』, 천재교육.
김철준,『한국고대사연구』와 문정창,『가야사』. 참조.
이영태,『한국고시가의 새로운 인식』, 경인문화사.
서정범,「고전문학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시론」,『현대문학』75호
정병욱,「구지가」『한국고전시가론』(신구문화사, 1977)
박진태,「구지가의 배경과 구조」『한국시가의 재조명』(형성출판사, 1984)
정상균,「신모의 노래」『한국고대시문학사연구』(한신문화사, 1984)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 1980.
김병욱, 한국상대시가와 주사,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Frazer James George, 김상일 역, 『황금의 가지』, 을류문화사, 1990,
김승찬, 「구지가고」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이지영, 「구지가의 공간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어문집』, 제 40집, 1995.
보통의 사람들은 지도자에게서 특별한 무엇인가가 있다고 생각할 때 더 따르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가 있다. 그런 점에서 보통 사람들이 그런 미망에서 깨어날 필요가 있고, 지도자를 보는 눈을 보다 과학적으로 가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또 재미 있는 것은 이 작품의 주제를 생명 탄생과 관련시켜 본다면 거북이와 인간의 생식기와 비교해 보면 재미 있는 공통점이 보이는 것 같다. 처음에는 왜 그렇게 생각을 하나 이해가 안가는 부분도 있었는데 여러 논문들과 글들, 그리고 책들을 보니까 학자들 나름대로의 주장 근거가 보인다.
4줄짜리 단지 17자를 가지고 그렇게 다양한 해석이 나왔는지 무척 흥미로웠다. 구지가 같은 상고시가 연구에서 어려운 것은 창작의 주변문제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을 때 흔히 발생한다. 논의자에 따라 노래의 성격이 달리 규정되는 것도 이것과 결부된 문제이다.
내가 만약 학자가 되어서 구지가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해석을 내린다면 무척이나 난감할 것 같다. 지금 내가 내리는 나름대로의 결론은 다른 분들이 연구해 놓은 책이나 논문들을 읽어서 정리를 한 것이지만 직접 김해지역에 남아 있는 유적답사와 수로왕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들 수집, 그리고 A.D 42年 전후의 김해와 관련된 많은 서적들을 직접 찾아봐서 짧은 시간이 아니라 긴 시간동안 구지가에 대해서만 몰두해서 어떠한 결론을 내렸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내가 쓰는 견해는 짧은 시간동안에 자료들을 보고서 쓰는 것이기에 많이 부족한 생각이 든다. 구지가는 많은 학자들이 연구한 것과 같이 신령스런 우두머리(임금)이 오기를 기원하는 제의적이고 그리고 주술적 성격이 강한 노래라고 말하겠다. 거북에 대해서 남근을 상징하는 것은 조금은 무리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든다.
생각을 말하는 것도 무척 어려운 것 같다. 머릿속에는 해야 할 말들이 가득한데 하나로 정리가 되지 않아서 무척 답답하다. 그래도 예전에 배웠던 구지가에 대해서 다시 한번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단지 거북이 임금을 상징하고 수로왕과 관련이 있는 이야기라고만 배웠었는데 이렇게 다양한 해석이 있다니 놀다웠고 많은 사람들과 간과하고 있던 우리 조상들의 역사·문화의식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어서 좋았다.
◎ 참고문헌
이영태, 「龜旨歌의 수록경위와 해석의 문제」,『한국학연구』10호
양태순, 『한국고전시가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임재해, 『민족신화와 건국영웅들』, 천재교육.
김철준,『한국고대사연구』와 문정창,『가야사』. 참조.
이영태,『한국고시가의 새로운 인식』, 경인문화사.
서정범,「고전문학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시론」,『현대문학』75호
정병욱,「구지가」『한국고전시가론』(신구문화사, 1977)
박진태,「구지가의 배경과 구조」『한국시가의 재조명』(형성출판사, 1984)
정상균,「신모의 노래」『한국고대시문학사연구』(한신문화사, 1984)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 1980.
김병욱, 한국상대시가와 주사,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Frazer James George, 김상일 역, 『황금의 가지』, 을류문화사, 1990,
김승찬, 「구지가고」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이지영, 「구지가의 공간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어문집』, 제 40집, 1995.
추천자료
- 우적가[배경설화, 향가해독, 내용분석, 현대시로의 변용]
- [고대가요][구지가]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설화와 고대가요 구지가의 원문, 고대가요 구지가...
- [고대가요 구지가][고대가요][구지가][설화]고대가요 구지가의 연원, 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
- [구지가][고대가요]구지가(고대가요)의 배경설화, 구지가(고대가요)의 작품해제, 구지가(고대...
- 호모 루덴스 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줄거리 요약, 내용 요약, 감상문, 독후감, 느낀점, ...
- [구비문학의세계] 4공통- 설화 가운데 민담 2편을 선택- 각 민담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기존 ...
- [구비문학의세계4학년공통] 설화 가운데 민담 2편을 선택하고 각 민담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
- 『도솔가(兜率歌)』의 현대적 분석 _ 월명사(月明師) 저 {배경설화, 원문 및 현대역, 작품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