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소설
2-2) 영화 시나리오
2-3) 수필
2-4) 시
2-5) 광고문구
3. 기출문제
4. 연습문제
5. 결론
<참고>
2. 본론
2-1) 소설
2-2) 영화 시나리오
2-3) 수필
2-4) 시
2-5) 광고문구
3. 기출문제
4. 연습문제
5. 결론
<참고>
본문내용
의미의 중복이 없이 군더더기가 없는 표현은? 1
① 농구 공
② 매 순간마다
③ 미리 예방하다
④ 떨어진 낙엽
⑤ 동해바다
→농구라는 단어 자체가 ‘구기 종목’을 지칭하는 것이므로 ‘공’이 중복되었다고 볼 수 없다.
2. 괄호 친 단어 중 한글 맞춤법에 어긋나게 표기된 것은? 2
① (아무튼) 잘 했다.
② (일찌기) 그런 일은 없었다.
③ 우리는 (오손도순) 잘 지낸다.
④ 저 꽃이 (아름다워) 보인다.
⑤ 누구든지 많은 시련을 겪고 (비로소) 성공할 수 있다.
→부사에 ‘이’ 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어근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예)일찍이, 더욱이, 오뚝이, 생긋이
3. 다음 중 문법에 맞는 것은? 1
① 싫증
② 갈께
③ 일찌기
④ 멋장이
⑤ 상치
→ 2번:갈게 3번:일찍이 4번:멋쟁이 5번:상추
4. 외래어 표기 중 맞는 것은? 2
① 데이터, 바비큐
② 에어컨, 글라스
③ 부페, 앙콜
④ 심포지움, 비스켓
⑤ 레이져, 쇼맨쉽
→ date 데이타 ,barbecue- 바비큐
air conditioner 에어컨, glass 글라스
buffer 뷔페 , encore 앙코르
symposium 심포지움 , biscuit 비스킷
laser 레이저 , showmanship 쇼맨쉽
5. 다음 중 표준 발음법에 맞는 것은? 2
① 희망[희망] ② 넓다[널따] ③ 읊다[을따] ④ 핥다[할타] ⑤ 곬이[골시]
→ ① [히망] ③ [읍따] ④ [할따] ⑤ [골씨]
6. 다음 중 국어 사용의 규범에 맞는 것은? 4
① 표준 발음 : 맑고 → [막꼬]
② 띄어쓰기 : 될 수 있는 대로 고유어를 살리는데에 힘썼다.
③ 문장 부호 :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는 질문에 매우 당황했다.
④ 외래어 표기 : Workshop → 워크숍
⑤ 로마자 표기 : 여의도 → Yeoeui-do
→① 표준 발음 : 맑고 → [막꼬] (X) → [말꼬] (O)
② 띄어쓰기 : 살리는데에 (X) → 살리는 데에 (O)
③ 문장 부호 :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 (X) →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 (O)
⑤ 로마자 표기 : 여의도 → Yeoeui-do (X) → Yeoui-do (O)
7. 다음 단어들 중 로마자 표기가 맞게 된 것은? 3
① 성주 Sngju ② 법문 beopmun ③ 같이 gachi ④ 백마 Baekma ⑤ 낳지 nahji
→ ① Seongju ② beommun ④ Baengma ⑤ nachi
8. 다음 중 바르게 표현된 것은? 5
① 아침 일찍 왠일이니? ② 사탕을 열두 째 먹었다. ③ 다리를 오무려라.
④ 창피해 하지 말고 너는 너 대로 앉아라. ⑤ 겉잡아서 십 만원은 든다.
→ ① ~ 웬 일이니? ② 열둘째 ③ 오므려라 ④ 너대로
9. 다음 문장 중 맞는 것은? 5
① 새해에는 더욱 건강하십시오.
② 우리 나라 경제가 앞으로 좋아질 전망입니다.
③ 아직도 그 가차가 도착하고 있지 않습니다.
④ 우리 나라가 호주에게 2:1로 이겼습니다.
⑤ 내일은 날씨가 갤 것으로 예상합니다.
→ 2번: ‘앞으로는’는 빼고 ‘좋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3번:’아직도 그 기차가 도착하질 않았습니다.’
4번: ‘호주에게’를 ‘호주를’이나 ‘호주에로 바꿔야 한다.
5번: ‘~깰 것으로 예상됩니다.’
10. 다음 문장들 중 가장 어법에 맞게 쓰인 것은? 3
① 그 남자는 미모가 남달리 빼어났다. ② 백인과 동양인은 피부색이 다르다.
③ 우리는 초법적인 어떤 행위도 할 수 없다. ④ 그것은 대회를 임하는 선수의 정신 자세에 관한 문제이다.
⑤ 본격적인 공사가 언제부터 시작되고, 언제 개통될 지는 불투명하다.
→① ‘미모’란 ‘아름다운 얼굴 모습’의 뜻을 지닌 말로 주로 여성의 용모에 쓰이는 말이다.
② 백인은 피부색에 따른 분류요 동양인은 지역에 따른 분류이므로 분류의 기준이 다르 다. ‘백인과 황인은 ~’ 또는 ‘서양인과 동양인은 ~’
④ ‘~에 임하다’는 호응 관계이므로 ‘그것은 대회에 임하는 선수의 ~’
⑤ ‘개통될’에 해당하는 주어가 빠져 있으므로 ‘~ 시작되고, 그 다리가 언제 개통될 지 는 불투명하다.’
11. 다음 중 맞춤법이 맞는것은? 3
① 육상대회에서 새로운 기록을 갱신하였다.
② 동생의 공부를 가리켜 주었다.
③ 나는 더 이상 아무런 바람이 없다.
④ 산을 너머 밤이 새도록 길을 걸었다.
⑤ 지금은 오징어가 한참인 계절이다.
→ ③ \'어떤 것을 희망하다\'는 의미의 \'바라다\'의 명사형은 \'바람\'이 맞다. \'바램\'은 색이 \'바래다\'라는 말의 명사형이다.
① 갱신(更新)→경신(更新) : 갱신(更新)과 경신(更新). \'更\'은 고친다는 뜻으로는 \'경\'으 로, 다시라는 뜻으로는 \'갱\'으로 읽힌다. 다시 말해 \'경신\'은 \'고쳐서 새롭게 함\'을 뜻하 고 \'갱신\'을 \'다시 새롭게 함\'을 이르는 말이다.
㉠ 갱신(更新) : 다시 새롭게 함. 기간을 연장함. 예) 주민등록증 갱신
㉡ 경신(更新) : 이제까지 있던 것을 새롭게 함. 예) 세계 기록 경신
② 가리켜→가르쳐
㉠ 가르치다 : 지식이나 기예를 알게 하여 주다. 예) 글을 가르치다.
㉡ 가리키다 : 무엇이 있는 곳을 말이나 손짓 등으로 알려 주다. 예) 방향을 가리키다.
④ 너머→넘어
㉠ 넘어 : 동사의 어간 \'넘-\'에 어미 \'-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말로서 주로 \'넘어 가다\'처럼 동사가 이어질 때 연결어미로 사용된다.
예) 고개를 넘다. 여기 온 지도 한 달이 넘었다. 국경을 넘다. 위험한 고비를 넘다.
㉡ 너머 : 명사로서 \'산 너머 강촌에는\'처럼 주로 명사 다음에 와서 \'명사\'+\'명사\'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높이나 경계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쓰이어》 높거나 넓은 것의 저쪽. 예) 고개 너머 마을. / 강 너머 저편.
⑤ 한참→한창
㉠ 한참 :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 예) 그가 오기를 한참 기다렸다.
㉡ 한창 : 가장 활기가 있을 때. 예) 모내기가 한창이다.
12. 다음 발음이 맞는 것은? 1
① 송별연 -> [송:벼련]
② 공권력 -> [공꿜력]
③ 맑게 -> [말:께]
④ 밟지 -> [밥찌]
⑤ 늑막염 -> [능마겸]
→2번:공
① 농구 공
② 매 순간마다
③ 미리 예방하다
④ 떨어진 낙엽
⑤ 동해바다
→농구라는 단어 자체가 ‘구기 종목’을 지칭하는 것이므로 ‘공’이 중복되었다고 볼 수 없다.
2. 괄호 친 단어 중 한글 맞춤법에 어긋나게 표기된 것은? 2
① (아무튼) 잘 했다.
② (일찌기) 그런 일은 없었다.
③ 우리는 (오손도순) 잘 지낸다.
④ 저 꽃이 (아름다워) 보인다.
⑤ 누구든지 많은 시련을 겪고 (비로소) 성공할 수 있다.
→부사에 ‘이’ 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어근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예)일찍이, 더욱이, 오뚝이, 생긋이
3. 다음 중 문법에 맞는 것은? 1
① 싫증
② 갈께
③ 일찌기
④ 멋장이
⑤ 상치
→ 2번:갈게 3번:일찍이 4번:멋쟁이 5번:상추
4. 외래어 표기 중 맞는 것은? 2
① 데이터, 바비큐
② 에어컨, 글라스
③ 부페, 앙콜
④ 심포지움, 비스켓
⑤ 레이져, 쇼맨쉽
→ date 데이타 ,barbecue- 바비큐
air conditioner 에어컨, glass 글라스
buffer 뷔페 , encore 앙코르
symposium 심포지움 , biscuit 비스킷
laser 레이저 , showmanship 쇼맨쉽
5. 다음 중 표준 발음법에 맞는 것은? 2
① 희망[희망] ② 넓다[널따] ③ 읊다[을따] ④ 핥다[할타] ⑤ 곬이[골시]
→ ① [히망] ③ [읍따] ④ [할따] ⑤ [골씨]
6. 다음 중 국어 사용의 규범에 맞는 것은? 4
① 표준 발음 : 맑고 → [막꼬]
② 띄어쓰기 : 될 수 있는 대로 고유어를 살리는데에 힘썼다.
③ 문장 부호 :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는 질문에 매우 당황했다.
④ 외래어 표기 : Workshop → 워크숍
⑤ 로마자 표기 : 여의도 → Yeoeui-do
→① 표준 발음 : 맑고 → [막꼬] (X) → [말꼬] (O)
② 띄어쓰기 : 살리는데에 (X) → 살리는 데에 (O)
③ 문장 부호 :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 (X) →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 (O)
⑤ 로마자 표기 : 여의도 → Yeoeui-do (X) → Yeoui-do (O)
7. 다음 단어들 중 로마자 표기가 맞게 된 것은? 3
① 성주 Sngju ② 법문 beopmun ③ 같이 gachi ④ 백마 Baekma ⑤ 낳지 nahji
→ ① Seongju ② beommun ④ Baengma ⑤ nachi
8. 다음 중 바르게 표현된 것은? 5
① 아침 일찍 왠일이니? ② 사탕을 열두 째 먹었다. ③ 다리를 오무려라.
④ 창피해 하지 말고 너는 너 대로 앉아라. ⑤ 겉잡아서 십 만원은 든다.
→ ① ~ 웬 일이니? ② 열둘째 ③ 오므려라 ④ 너대로
9. 다음 문장 중 맞는 것은? 5
① 새해에는 더욱 건강하십시오.
② 우리 나라 경제가 앞으로 좋아질 전망입니다.
③ 아직도 그 가차가 도착하고 있지 않습니다.
④ 우리 나라가 호주에게 2:1로 이겼습니다.
⑤ 내일은 날씨가 갤 것으로 예상합니다.
→ 2번: ‘앞으로는’는 빼고 ‘좋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3번:’아직도 그 기차가 도착하질 않았습니다.’
4번: ‘호주에게’를 ‘호주를’이나 ‘호주에로 바꿔야 한다.
5번: ‘~깰 것으로 예상됩니다.’
10. 다음 문장들 중 가장 어법에 맞게 쓰인 것은? 3
① 그 남자는 미모가 남달리 빼어났다. ② 백인과 동양인은 피부색이 다르다.
③ 우리는 초법적인 어떤 행위도 할 수 없다. ④ 그것은 대회를 임하는 선수의 정신 자세에 관한 문제이다.
⑤ 본격적인 공사가 언제부터 시작되고, 언제 개통될 지는 불투명하다.
→① ‘미모’란 ‘아름다운 얼굴 모습’의 뜻을 지닌 말로 주로 여성의 용모에 쓰이는 말이다.
② 백인은 피부색에 따른 분류요 동양인은 지역에 따른 분류이므로 분류의 기준이 다르 다. ‘백인과 황인은 ~’ 또는 ‘서양인과 동양인은 ~’
④ ‘~에 임하다’는 호응 관계이므로 ‘그것은 대회에 임하는 선수의 ~’
⑤ ‘개통될’에 해당하는 주어가 빠져 있으므로 ‘~ 시작되고, 그 다리가 언제 개통될 지 는 불투명하다.’
11. 다음 중 맞춤법이 맞는것은? 3
① 육상대회에서 새로운 기록을 갱신하였다.
② 동생의 공부를 가리켜 주었다.
③ 나는 더 이상 아무런 바람이 없다.
④ 산을 너머 밤이 새도록 길을 걸었다.
⑤ 지금은 오징어가 한참인 계절이다.
→ ③ \'어떤 것을 희망하다\'는 의미의 \'바라다\'의 명사형은 \'바람\'이 맞다. \'바램\'은 색이 \'바래다\'라는 말의 명사형이다.
① 갱신(更新)→경신(更新) : 갱신(更新)과 경신(更新). \'更\'은 고친다는 뜻으로는 \'경\'으 로, 다시라는 뜻으로는 \'갱\'으로 읽힌다. 다시 말해 \'경신\'은 \'고쳐서 새롭게 함\'을 뜻하 고 \'갱신\'을 \'다시 새롭게 함\'을 이르는 말이다.
㉠ 갱신(更新) : 다시 새롭게 함. 기간을 연장함. 예) 주민등록증 갱신
㉡ 경신(更新) : 이제까지 있던 것을 새롭게 함. 예) 세계 기록 경신
② 가리켜→가르쳐
㉠ 가르치다 : 지식이나 기예를 알게 하여 주다. 예) 글을 가르치다.
㉡ 가리키다 : 무엇이 있는 곳을 말이나 손짓 등으로 알려 주다. 예) 방향을 가리키다.
④ 너머→넘어
㉠ 넘어 : 동사의 어간 \'넘-\'에 어미 \'-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말로서 주로 \'넘어 가다\'처럼 동사가 이어질 때 연결어미로 사용된다.
예) 고개를 넘다. 여기 온 지도 한 달이 넘었다. 국경을 넘다. 위험한 고비를 넘다.
㉡ 너머 : 명사로서 \'산 너머 강촌에는\'처럼 주로 명사 다음에 와서 \'명사\'+\'명사\'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높이나 경계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쓰이어》 높거나 넓은 것의 저쪽. 예) 고개 너머 마을. / 강 너머 저편.
⑤ 한참→한창
㉠ 한참 :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 예) 그가 오기를 한참 기다렸다.
㉡ 한창 : 가장 활기가 있을 때. 예) 모내기가 한창이다.
12. 다음 발음이 맞는 것은? 1
① 송별연 -> [송:벼련]
② 공권력 -> [공꿜력]
③ 맑게 -> [말:께]
④ 밟지 -> [밥찌]
⑤ 늑막염 -> [능마겸]
→2번:공
키워드
추천자료
[한글맞춤법][맞춤법][띄어쓰기][띄어쓰기 오용][국어][한글]한글맞춤법의 배경, 한글맞춤법...
남북한 어문규범 차이점 및 통일방안(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 표준 발음법을 중심...
한국어어문규범_한글 맞춤법과 관련하여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조건을 예시와 함께 제시하...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표준발음, 외래어 ...
한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표준발음 외래어 표기 규정에 ...
한국어어문규범 ) 표준 발음법 제1항은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
[국어 어문규범] 성균관 스캔들 대본을 통해 알아보는 한글 맞춤법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표준발음 외래어 표...
어문규범 - text를 통해 본 한글 맞춤법 - 소설에서 적용된 한글 맞춤법 - 대중가요 가사에서...
소개글